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네덜란드 스마트팜 시장 동향과 미래

  • 등록일2023-12-19
  • 조회수2952
  • 분류산업동향 > 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 자료발간일
    2023-10-26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네덜란드#농산물#스마트팜
  • 첨부파일

 

 

네덜란드 스마트팜 시장 동향과 미래

 

◈ 목차

제1장 네덜란드 스마트팜 현황

  제1절 네덜란드 일반 현황

  제2절 네덜란드 농산물 및 농기자재 수출 현황

  제3절 산-학-관 ‘ Golden Triangle’ 협력 체계

  제4절 네덜란드 스마트팜 특징과 현황

  제5절 네덜란드 스마트팜 트렌드

제2장 네덜란드 주요 스마트팜 분야

  제1절 유리온실 제조업체

  제2절 수직농장

  제3절 친환경 에너지 이용

  제4절 기타(드론 등)

제3장 네덜란드 주요 스마트팜 기업

제4장 네덜란드 스마트팜 진출 전략

 

 

◈본문

요 약

□ 네덜란드 스마트팜 시장 동향

  • 네덜란드는 작은 국토 면적, 부족한 일조량, 작물의 노지 재배에 불리한 낮은 기온에도 불구하고 세계 2위의 농산물 수출국임

  • 외부 환경과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연중 내내 최첨단 환경제어장치를 이용해 재배하는 작물에 맞는 최적의 생육 환경을 제공

  • 유리온실의 규모화, 집단화, 첨단화로 원예 농가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에 가구당 유리온실 면적은 증가

  • 스마트팜에서는 토마토, 파프리카, 오이 등의 과채류와 화훼 등의 고소득작물이 주로 재배됨

□ 네덜란드 스마트팜 방향

  • 유리온실 부문에서 2040년까지 기후 중립(climate-neutral) 달성을 목표로 화석 연료의 사용을 지양하고 지열과 태양광 등의 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난방이 증가하고 있음

  •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드론과 로봇을 이용한 농업의 고도화가 진행 중임

  • 살충제, 제초제와 같은 농약 사용을 줄이고 천적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가 활성화됨

□ 진출 전략

  • 수직농장과 유리온실에 사용하는 LED 조명과 유리온실용 Air Fan, 점적 설비 등 우리나라가 강점인 농기자재 분야가 유망함


◈ 네덜란드는 작물 재배에 불리한 기후 조건을 최첨단 농업으로 극복하고, 세계 2위의 농산물 수출국이 됨

◈ 스마트팜 난방에 화석 연료 사용을 지양하고, 지열과 태양광과 같은 재생 에너지 사용으로 에너지 중립 달성을 위해 노력

◈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활용, 환경제어장치 등 첨단 기술 활용과 지속적인 연구 & 개발로 혁신 추구


제1장 네덜란드 스마트팜 현황


제1절 네덜란드 일반 현황


□ 네덜란드 국토 개황

  • ╶︎국토 면적은 4만1543㎢로 우리나라 국토 면적 10만444㎢의 41.4% 정도이고 경상남북도와 충청남도 지역을 합한 면적과 비슷함

  • ╶︎국토 면적은 우리나라보다 좁지만, 네덜란드 농지 면적은 1만8044㎢로 전 국토의 43.4%를 차지하고 우리나라 농지 면적인 1만8487㎢과 비슷함

<네덜란드 국토 개황>

네덜란드 국토 개황

[자료: 네덜란드 통계청(CBS)]


□ 네덜란드 기후 개황

  • ╶︎여름철 평균 온도 17.3℃, 겨울철 평균 온도 3.9℃, 연평균 온도 10.1℃로서 연교차가 크지 않음

  • ╶︎연 강수일수가 192일로 일 년 중 절반 이상은 비가 내리지만 연 강수량은 873㎜(강수 일당 4.5㎜)이며, 일조시간은 1774시간에 불과해 과채류의 노지 재배에는 적합하지 않은 날씨임

  • ╶︎작물 생육에 적합한 환경이 제공된 유리온실에서 외부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사계절 작물 재배를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함

  • ╶︎온실 내 재배 작물에 따른 맞춤형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생육 시기별로 온·습도 조절, 최적의 관수량과 양액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작물의 생육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단위 면적당 세계 최고의 수확량(예: 토마토 80kg/m2)을 달성함

제2절 네덜란드 농산물 및 농기자재 수출 현황


□ 네덜란드, 세계 2위 농산물 수출국

  • 연도별 네덜란드 농산물 수출액 - 2022년 기준, 수입액 882억 유로의 1.4배 가량인 1223억 유로를 수출했음

  • ╶︎국내 생산물 수출 798억 유로, 수입 후 일부 가공을 거친 재수출은 425억 유로로 재수출 비중이 34.8%에 달함

  • ╶︎이는 스마트팜을 통해 농작물 재배에 불리한 자연환경을 극복하고, 첨단 기술과높은 생산성으로 농업 경쟁력을 높인 결과임

  • ╶︎생육 분석 플랫폼, 영상 분석 등 데이터 기반 생산기술과 자동화, 생산·품질관리, 수확까지 전 과정에 걸쳐 선진 기술을 적용함

<연도별 네덜란드 농산물 수출액 및 재수출 비중>

(단위: € 억, %)

연도

국내산

재수출

재수출 비중

2016

618

230

27.1

2017

653

248

27.5

2018

657

247

27.3

2019

687

260

27.5

2020

684

273

28.5

2021

690

353

33.8

2022

798

425

34.8

[자료: 네덜란드통계청 CBS]

  • 네덜란드 농산물 주요 수출국 개요

  • ╶︎네덜란드 농산물 수입 1위 국가인 독일은 2022년 전년 대비 13.4% 증가한 296억 유로를 수입해 수출 비중은 24.2%에 달함

  • ╶︎벨기에는 전년 대비 17.9% 증가한 145억 유로(수출 비중 11.9%)로 2위를 기록, 그다음은 프랑스가 104억 유로(수출 비중 8.5%)를 수입

  • ╶︎네덜란드 농산물의 주요 수출 대상 지역은 유럽(수출액의 70%)임

<2022년 네덜란드 농산물 수출 10대 국가>

(단위: € 억, %)

순위

국가명

2021

2022

증감률

(2022/2021)

1

독일

261

296

13.4

2

벨기에

123

145

17.9

3

프랑스

87

104

19.5

4

영국

84

95

13.1

5

이탈리아

40

47

17.5

6

스페인

33

42

27.3

7

중국

37

42

13.5

8

폴란드

33

37

12.1

9

미국

30

37

23.3

10

스웨덴

22

26

18.2

[자료: 네덜란드통계청 CBS]

  • 네덜란드 원예 부문별 수출 동향

  • ╶︎농산물 수출 1위 품목은 낙농품으로 119억 유로 수출

  • ╶︎원예 부문 중 수출이 가장 많은 품목은 화훼류로 115억 유로 수출해 전년 대비 3.4% 감소함

  • ╶︎채소 부문 수출액은 78억 유로로 2021년 대비 9.9% 증가함

  • ╶︎과실 수출은 2021년 대비 2022년에 2.3% 소폭 감소한 70억 유로를 기록함

<네덜란드 원예 부문별 수출액>

(단위: € 억, %)

품목

2021

2022

증감률

(2022/2021)

화훼

119

115

-3.4

채소

71

78

9.9

과실

72

70

-2.3

[자료: 네덜란드 통계청(CBS)]


□ 네덜란드 농기자재(Agricultural related goods) 수출 현황

  • ╶︎2022년 기준, 네덜란드는 스마트팜 기술을 포함 비료, 농기계, 식품 산업용 기계, 온실 기자재 등 134억 유로 수출함

  • ╶︎수출액은 2021년 108억 유로 대비 24% 증가했음

  • ╶︎비료는 전년 대비 76% 증가한 44억 유로 수출함

  • ╶︎ 농기계는 전년 대비 15.4% 증가한 30억 유로 수출함

  • ╶︎식품 산업용 기계는 전년과 동일한 19억 유로를 수출함

  • ╶︎온실 기자재는 전년과 동일한 14억 유로를 수출함

<네덜란드 농기자재 품목별 수출액>

(단위: € 억, %)

품목

2021

2022

증감률

(2022/2021)

비료

25

44

76.0

농기계

26

30

15.4

식품 산업용 기계

19

19

0

온실 기자재

17

17

0

기타

21

24

14.3

총계

108

134

24.1

[자료: 네덜란드 통계청(CBS)]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