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2023 국내·외 의료기관의 ESG 동향 및 시사점
- 등록일2023-12-27
- 조회수2354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3-12-18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기관#ESG#동향#시사점
2023 국내·외 의료기관의 ESG 동향 및 시사점
◈ 목차
I 서론
II 의료기관의 ESG
1. 의료 ESG 개념
2. 의료기관의 ESG 지표
III ESG 인식도 및 경영현황 조사
1. 조사 개요
2. 조사 결과
IV 국내 의료기관 ESG 사례
1. 강동경희대학교병원
2. 강북삼성병원
3. 강원대학교병원
4. 경북대학교치과병원
5. 고려대학교의료원
6. 명지병원
7. 삼성서울병원
8. 서울대학교치과병원
9.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10. 서울아산병원
11. 세종병원
12. 순천향대학교병원
13. 양산부산대학교병원
14. 에스포항병원
15. 세브란스병원
16. 한림대학교의료원
17. 화순전남대학교병원
V 해외 의료기관 ESG 사례
1. 보스턴 메디컬센터(Boston Medical Center, 미국)
2. 시그넷 헬스케어(Cygnet Health Care, 영국)
3. 비타 헬스그룹(Vita Health Group, 영국)
4. IHH 헬스케어(IHH Healthcare, 아시아)
5. 범룽랏 국제병원(Bumrungrad International Hospital, 태국)
6. 아폴로(Apollo, 인도)
VI 시사점
VII 참고문헌
◈본문
I 서 론
•︎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칭으로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의 평가를 통해 ‘지속가능성’을 판단하는 척도로 활용되고 있음
- 2004년 UN Global Compact의 “Who Cares Wins” 보고서에서 ‘투자자들이 기업의 지속가능성 수준을 체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으로 ESG를 처음 제시함
•︎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성과 기업의 책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요구는 높아지고 있는 상황임
•︎ EU 집행위원회는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European Financial Reporting Advisory Group, EFRAG)이 제출한 지속가능 보고 기준인 유럽지속가능성 보고기준(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ESRS)을 채택했으며, ’26년도까지 중소기업을 포함한 기업들에게 공시 의무화할 것이라고 밝힘
•︎ 국내에서도 금융위원회가 ESG 공시 의무화를 ’26년 이후부터 시행하되 일정 규모 이상의 대형 상장기업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등의 개략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함
- 당초 금융위원회는 ’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를 중심으로 ESG 공시 의무화를 시작할 계획이었으나, 주요국의 ESG 공시 의무화 지연 등을 고려하여 공시 시점을 연기하였음
- 금융위원회는 ’23년 9월부터 ESG 평가업무 수행 모범규준인 ‘ESG 평가기관 가이던스’를 시행하였으며, 기업에 적용될 ESG 공시 기준을 ’24년 1분기 중으로 구체화하겠다고 밝힘
•︎ 이처럼 국내외적으로 기업에 대한 ESG 경영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의료기관들에서도 ESG 경영 선포, 위원회 구성 및 ESG 경영 보고서 발간 등의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는 추세임
- ’23년까지 12개 이상의 의료기관이 ESG 경영 선포를, 16개 이상의 의료기관이 ESG 위원회를 발족함
•︎ 이에 따라 본 보고서에서는 작년 국내 최초로 실시하였던 국제의료사업 추진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ESG 경영에 대한 인식도 및 경영현황 조사를 올해도 진행하여 전년대비의 변화와 현 상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
•︎ 또한, ESG경영을 도입하고자 하는 의료기관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의료기관 ESG 지표들과 실제 국·내외 의료기관에서 실천하고 있는 ESG경영 활동 사례들에 대한 조사를 통해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Ⅱ 의료기관의 ESG
1. 의료 ESG 개념
가. ESG 정의
•︎ 기본적으로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로 기업 경영에서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3가지 핵심요소를 의미함
- ESG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세 가지 핵심 요소이며, 재무제표에는 보이지 않아도 기업의 중장기 기업가치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비재무적 지표로 정의할 수 있음
- ESG 각 요소별로 해당되는 사례 예시는 다음과 같음
<그림 1> ESG 구성 요소
•︎ ESG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지속가능한 투자(Sustainability)’ 등의 개념과 혼용되어 왔으며,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 SR),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 CSV) 등의 개념과 함께 발전함
<표 1> CSR, CSV, ESG 비교
구분 | CSR | CSV | ESG |
개념 | 기업의 사회적 책임 | 공유가치창출 | 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관한 비재무적 요소 |
목적 | 기업의 책임이 주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업활동에 관계된 이해 관계자까지 있음을 인식하고 이에 부합하는 자발적인 기업활동을 촉구 | 기업의 가치사슬 내에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업 아이템을 발굴하고 이를 기업의 경영전략에 반영함으로써,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 |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이 안정적으로 수익 창출을 하기 위해 환경, 사회지배구조의 비재무적 요소를 관리하는 기업의 장기투자리스크 관리 전략 |
관점 | 기업의 이해관계자 | 기업, 지역 | 투자자 |
출처: 한국법제연구원, ESG 관련 개념의 정리와 이해, 2021.06.25.
•︎ 이와 같이, ESG는 기업의 환경 문제, 노동 조건, 이사회의 감독 등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를 갖고 등장한 것으로, 기업의 활동과 가치를 재무적 수치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요소에서 찾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음
- 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일부 개념을 확장하여 평가하도록 변형한 것으로, 기업에 대한 투자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로 발전하게 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