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심층분석 8호] 국내 바이오산업 매출,국내시장 현황과 전망

  • 등록일2024-01-10
  • 조회수4962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바이오산업 매출•국내시장 현황과 전망


 


 

◈본문

■ 1. 들어가며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산업 매출 규모는 2018년 10조 6,067억원에서 2022년 23조 4,657억원으로 연평균 22% 성장하였고 국내시장 규모는 2018년 7조 966억원에서 2022년 14조 1,934억원으로 연평균 18.9%의 성장률을 나타내며 최근 5년간 매출 및 국내시장 모두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였다. 이는 2020년부터 전세계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코로나19 백신의 위탁생산(CMO) 확대 및 코로나19 진단키트의 지속적인 수출 증가세 등 높은 수출 성과를 도출하였고, 해당 품목과 연관된 의약품 및 의료기기산업의 매출 및 국내시장 규모 모두 증가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1] 최근 5년간 (‘18~’22) 타 산업별 매출 및 국내시장 현황 (단위 억원, %)

최근 5년간 (‘18~’22) 타 산업별 매출 및 국내시장 현황

* 의약품•의료기기 : 의약품•의료기기 생산실적 보도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 바이오 : 국내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산업통상자원부•한국바이오협회




BT 기반 국내 바이오경제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인「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국가승인통계 , 제115015호) 」 를 통 하 여 최근 5년간 (‘18〜’22)의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산업의 매출 및 국내시장 현황을 8개 바이오분야별 (대분류 기준, 의약•화학및에너지식품-환경•의료기기•장비및기기•자원•서비스) 및 17개 지역별 (서울•부산•인천•대구•광주•대전­울산•세종 •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5개 응용분야별 (RechWhit e-Green•장비및기기.Service)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5년간 (‘23~’27)의 산업전망을 예측하였다. 다만, 코로나19 특수품목의 영향으로 수입 등 국내 시장에 영향을 미친바 향후 해당 품목의 수입변동 추이를 반영하여 추가 보정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보고서에 수록한 통계표의 모든 통계 수치는 단위를 억원으로 통일하면서 반올림 상의 차이로 인해 세부항목 간의 합과 전체 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2.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개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바이오협회는 국내 바이오산업의 전반적인 현황 파악 및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관련 육성정책 수립과 경제 분석•국제 비교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생명공학기술 관련 활동에 종사하는 국내 기업체* 대상으로 매년「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국가승인통계, 제 115015호)」를 실시하고 있다.


* 생명공학기술 관련 활동에 종사하는 국내 기업체

• 연구개발단계의 주요기술로 생명공학기술 이용

• 생명공학기술을 제조, 생산, 서비스 (연구개발서 비스 포함) 과정에 이용

• 연구개발단계나 생산과정 중 생명공학적 과정에 이용되는 기계, 장비 또는 플랜트 생산

 위의 제품을 해당 국가에서 직접 수입

※ 위의 활동으로 매출이 발생한 기업뿐만 아니라 연구개발 추진 중인 기업 역시 포함



동 조사는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바이오산업의 범위와 정의 등을 표준으로 제•개정한 「바이오산업 분류코드 (KS J W09)」를 적용하고 있으며, 현재 의약•화학및에너지•식품•환경 •의료기기•장비및기기•자원•서비스 등 8개 대분류와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한 제품•서비스 유형의 51 개 중분류 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표 2] [KS J 1009] 바이오산업 분류코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