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00] 항생제 내성, 다각적인 대응방안 마련 필요
- 등록일2024-01-11
- 조회수2010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01-02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항생제#내성#대응방안
항생제 내성, 다각적인 대응방안 마련 필요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본문
■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WEF)은 매년 11월 18~24일에 열리는 세계 항생제 내성(antimicrobial resistance, AMR) 인식 주간을 맞이하여 AMR이 오늘날 세계 보건, 식량 안보 및 개발에 대한 가장 큰 위협 중 하나로 설명하고, 환경과 기후변화가 항생제 내성의 출현, 전파 및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면서 이에 대한 대응을 촉구
[1] 개요
▪︎ 한 세기 동안 항생제(antibiotics)는 혁신적인 발견이었으나 항생제 내성(AMR)으로 인해 효과를 잃어 ’50년까지 연간 천만 명이 사망할 가능성이 있음
▪︎ 전문가들은 항생제의 남용과 오용이 슈퍼버그 확산의 중요한 요인이지만 오염과 기후 변화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 보고서에 따르면 열악한 물과 위생도 항생제 내성요인으로 작용
* 매년 11월 18~24일에 열리는 세계 AMR 인식 주간(World AMR Awareness Week)은 이 현상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개선하고 항생제 사용에 대한 모범 사례를 홍보하기 위한 연례 캠페인임
▪︎ 1928년 알렉산더 플레밍(Alexander Fleming)이 최초의 항생제인 페니실린(penicillin)을 발견했고, 1930년대에는 최초의 항생제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해진 이래로 100년도 채 지나지 않은 지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많은 약물이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고 감염과 싸우기 위한 새로운 치료법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건강 위기에 직면
[2] 항생제 내성의 특성과 확산 이유
▪︎ 일부 박테리아 종은 ‘슈퍼버그’가 되어 다양한 형태의 치료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되었으며, 여기에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클로스트리듐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 C. diff) 및 다제내성 결핵을 유발하는 박테리아가 포함
▪︎ AMR은 모든 국가에 영향을 미치지만 일부 국가는 다른 국가보다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으며, 특히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은 보다 큰 부담을 안고 있을 수 있지만 현재 저소득 지역의 AMR 및 전염병에 대한 고품질 데이터가 부족한 실정
▪︎ AMR은 ’19년 전 세계적으로 127만 명의 사망자를 직접 발생시켰으며 추가로 495만 명의 사망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이것이 HIV/AIDS나 말라리아보다 사망자수가 클 수 있으며, ’50년에는 사망자 수는 연간 1,000만 명으로 확대될 것으로 추정
[AMR과 다른 요인으로 인한 사망자수 비교]
▪︎ 세계보건기구(WHO)는 그 영향이 건강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세계 경제는 의료 비용 증가, 생산성 감소, 항생제 내성으로 인한 빈곤 증가 등의 영향을 받을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WHO는 전 세계 GDP를 3조 4천억 달러 감소시키고 추가로 2,400만 명을 극심한 빈곤에 빠뜨릴 수 있다고 경고
▪︎ 유전 물질을 전달하는 박테리아와 미생물은 모두 자연적으로 발생하지만 무엇보다도 항생제를 제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저항성 발생 및 확산이 가속화될 수 있으며, 만약 항생제 치료로 감염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면 약물과 가장 잘 싸울 수 있는 미생물만 남게 되고 이들은 증식하여 내성이 발생
▪︎ 과도한 항생제 사용은 내성의 중요한 동인이며, 감염에 대한 치료가 너무 짧거나 약하거나 올바르지 않으면 내성을 보유한 미생물이 남을 위험이 있으며, 미생물을 항생제 또는 기타 내성 미생물에 더 많이 노출할수록 내성이 발달하고 증식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가 창출
▪︎ 문제는 인간에게만 처방하는 것이 아니며,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의 2/3가 농업에 사용되며, 저수준 항생제는 질병을 예방하고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건강한 동물에게도 장기간 사용
▪︎ 최근 몇 년간 유럽 농업에서의 항생제 사용은 급격히 감소했지만, 항생제는 이윤에 미치는 영향과 저렴하고 실행 가능한 대안이 부족하기 때문에 다른 지역, 특히 브라질, 중국 및 기타 신흥 국가에서 계속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황
[3] 환경과 기후변화의 역할과 항생제 억제 방안
▪︎ UN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환경과 기후 변화는 항생제 내성의 출현, 전파 및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의료, 의약품, 식품 및 농업(예: 병원 폐수 또는 농업 유출수 등)으로 인한 오염은 항생제와 내성 유기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므로 특히 심각한 문제로 부상
▪︎ 나아가 이를 더 넓은 환경에 도입하면 생물 다양성과 토양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렌셋(The Lancet)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AMR과 대기 오염 사이의 연관성을 지적했으며, 연구자들은 166개국에서 대기 오염(PM2.5)이 항생제 내성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대기 오염 수준이 높을수록 AMR 수준도 높은 것으로 분석
▪︎ 기본적인 위생 조치가 부족한 국가에서는 물이 항균제 내성 및 관련 질병을 확산시키는 주요 매개체이기 때문에 개선된 위생, 수처리, 기본적인 손 씻기 및 위생 시설은 AMR의 확산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단계
[AMR의 소비자 전달과정]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