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398] 글로벌 공공조달시장의 보건의료 분야 입찰 추이 분석
- 등록일2024-01-16
- 조회수1939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01-03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산업#공공조달시장#보건의료
글로벌 공공조달시장의 보건의료 분야 입찰 추이 분석
◈ 목차
⑴ 서론
⑵ 정의
⑶ 조사방법
⑷ 글로벌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분석
⑸ 보건의료 분야 글로벌 공공조달시장 현황 및 분석
⑹ 보건의료 분야 글로벌 공공조달 고급자 및 품목 분석
⑺︎ 결론
◈본문
1. 서론
■ 추진배경 및 필요성
◎︎ 글로벌 공공조달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팬데믹, 전쟁, 원조 등 다양한 이슈로 인해 조달 규모와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으나 한국은 경제규모에 비해 글로벌 공공조달시장에서의 참여와 점유율이 매우 낮은 상황임
◎︎ 한국 보건의료 기업은 기술수준이 높아 글로벌 공공조달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으며, 진출 시에는 수익창출 등의 직접적인 성과뿐만 아니라,국제협력 네트워크 확대, 지속가능한 사업기회 창출 등 간접적인 성과도 확보할수있음
-(기술력과 혁신) 한국의 보건의료 산업 기술수준은 최고기술보유국 대비 79.4%로 평가되고 있으며, 보건의료산업 기술 77개 중 폐암, 줄기세포, 의료정보 시스템 등 선도기술 그룹이 절반 이상 (43개, 55.8%)을 차지하고 있음
-(글로벌 시장 확장성) 글로벌 공공조달시장은 규모가 크고 다양한 국가와 기관이 수요자와 공급자로 참여하고 있어, 잠재적 고객과의 접근성 향상뿐만 아니라, 국제시장에서의 경험축적과 네트워크 형성에 도움이 됨
-(사업의 지속가능성) 보건의료 산업은 인구증가, 고령화 등으로 수요증가가 전망되는 산업이며, 공공조달을 통해 획득한 계약은대개 장기적인 프로젝트로 이어져 안정된 고객 기반을형성할수 있음
-(글로벌 표준 및 인증) 글로벌 공공조달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경우, 다양한 국가와 국제기구에서 제시하는 표준과 안전기준을 준수해야하기 때문에 제품과서비스의 안전성과 신뢰성을확보할수 있음
-(글로벌 투자기회 확보) 글로벌 공공조달시장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주함으로써 재무적 안정성 강화와 성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수주과정을 통해 획득한 정보 등을 기반으로 글로벌 투자기회를 확보할 수 있음
◎︎ 한국기업의 글로벌 공공조달시장 참여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장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선행되어야함
■ 조사목적
◎︎한국기업이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글로벌 공공조달시장에 효과적으로 진출하고 경쟁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미국정부 (United States Government, US Govt.), 국제연합 (United Nations, UN), 세계은행 (World Bank Group, WBG), 아시아개발은행 (Asian Development Bank, ADB) 등 대표적인 글로벌 공공조달시장의 조달 현황을 분석함
-(시장이해 및 기회 파악) 각 정부 및 국제기관의 조달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특정 시장에서의 수요 동향과 기회를 파악할 수 있으며, 낙찰 상위 국가들의 조달품목 등을 분석하여 향후 입찰 참여시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전략을수립할수 있음
-(경쟁상황 파악) 다양한 국가 및 기업의 참여 현황과 경쟁력을 분석하여 경쟁이 전개되는 상황을 이해하고, 경쟁상황 분석을통해 차별화 우위 및 전략 개발이 교능함
-(파트너십 및 네트워킹 기회 식별) 낙찰 상위국가의 경험과 파트너십을 통한 협력 기회를 식별함으로써 협력을 통한 낙찰 가능성 증대 및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기회 발굴을 기대할 수 있음
◎︎ 이와같은분석을통해 한국보건산업체나정부기관이 미국정부(US Govt.), 국제연합(UN), 세계은행(WBG), 아시아개발은행 (ADB) 등의 글로벌 공공조달시장 참여율을 높이고 성공적 사업수주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함
2. 정의
■ 글로벌 공공조달시장 정의 및 특성
◎︎ (글로벌 공공조달시장 정의) 국제기구, 해외 정부 등이 공공 프로젝트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입찰 및 계약을 통해 외부업체로부터 재화나 용역을 구매하는 시장을 의미함
◎︎ (글로벌 공공조달시장 특성) 글로벌 공공조달 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공정한 경쟁과 투명성이 강조되며, 입찰과정이 법적으로 규제되어 있을수 있음
- (다양한 분야와 프로젝트) 글로벌 공공조달시장은 건설, 인프라, IT 서비스, 방위 산업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프로젝트를 포함함
- (투명성과 공정한 경쟁) 모든 입찰자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입찰 과정이 법으로 규제되는 등 투명성과 공정한 경쟁이 강조되고 있음
- (시장참여자의 다양성) 글로벌 공공조달 시장은 국경을 초월하여 다양한 국가와 기업이 참여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범위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경쟁이 벌어짐
- (국제표준 및 규제 준수) 입찰자들은국제표준 및 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문서와 절차를준수하고 있음
■ 글로벌 공공조달시장분류
◎︎ 글로벌 공공조달시장은 조달 발주처 (조달주체)에 따라 해외정부와국제기구 공공조달시장으로 구분할수 있음
◎︎ 해외정부 공공조달 체계는 한국 나라장터와 같이 공공기관에서 물품 구매포털에 기업과 제품을 등록하는 간접 방식 (벤더등록)과 입찰을 통해 직접 구매하는 방식 (Procurement)으로 구성됨
- 해외정부 공공조달은 국가별로 법인등록과 해당국가에서 인정되는 물품별 허가와 인증을 요구하기 때문에 물품등록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절차가 복잡하므로 기업들에서 해당국가의 공급자를 통해 간접 등록하는 경로를 선택하기도함
- 해외 공공기관들은 한국과 같이 조달 포털로부터 입찰공고를 통해 물품과 용역을 구매하기도 하며, 이 경우 해당국가에서 등록된 제품과 기업들을 대상으로 함
- 해외정부 공공조달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자사의 제품이 경쟁우위를 갖출 수 있는 시장의 선정부터 법인등록, 제품등록 및 허가등의 복잡한절차, 시간 및 비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의사결정이 어려움
◎︎ 국제기구 공공조달 시장은 국제연합(UN) 산하기관, 다자개발은행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MDBS) 등이 있으며, 국제기구에서 발주한 입찰내역으로, 각발주처별 별도의 입찰체계가존재함
-국제연합(UN)의 경우 국제연합조달시스템(United Nations Global Marketplace, UNGM)에서 산하기관들과 협력기관들의 입찰공고를 취합하여 게시하고 있으며, 2022년 기준 산하 32개 기관이 국제연합조달시스템(UNGM)에 공고를 게시하며 최근 5년간 조달 규모가 다자개발은행(MDBS)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됨
- 다자개발은행(MDBS) 조달시장은 세계은행 (WBG),아시아개발은행(ADB),미주개발은행(Inter American Development Bank, IDB), 아프리카 개발은행 (African Development Bank, AfDB), 유럽부흥개발은행(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EBRD), 중미경제통합은행 (Central American Bank for Economic Integration, CABEI) 등이 포함되며, 주로 해당지역의 기반시설 구축등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개발사업에 필요한자금을 정부에 차관하는 방식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