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이슈 브리핑] 한국의 대표 화학-제약기업 LG화학 기업 현황

  • 등록일2024-01-31
  • 조회수187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한국의 대표 화학·제약기업 LG화학 기업 현황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본문

□ LG화학 현황 및 구조 

- 1947년 설립해 2023년 설립 76주년을 맞았음. 1947년 화장품 제조를 시작으로 합성 수지, 합성세제, 배터리, 바이오플라스틱 등으로 사업 확대 중 


- 2016년 4월 동부팜한농(현 팜한농)을 인수해 작물보호제 등으로 사업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음. 또한, 2016년 9월에 LG생명과학을 흡수합병해 미래지향적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2022년 10월에는 미국 Aveo Pharmaceuticals를 인수해 미국 항암치료제 시장 진출 추진 중 


- ‘23년 상반기 기준 68개 연결회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별도 종속법인인 LG에너지솔 루션을 제외한 총 직원 14,821명 중 생명과학사업부문에는 1,997명이 근무하고 있음. 


- 사업은 석유화학사업, 첨단소재사업, 생명과학사업, LG에너지솔루션, 공통 및 기타사업 등 크게 5개 부문으로 구성. 생명과학사업은 당뇨신약 ’제미글로‘를 비롯해 성장호르몬, 류마티스관절염치료제, 백신 등의 의약품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으며, 공통 및 기타사 업에는 팜한농이 생산하는 작물보호제 및 종자 등의 농업제품이 포함되어 있음. 



□ LG화학 경영 실적

▶(매출) ‘22년 50조 9832억원으로 ’21년 41조 7865억원 대비 22.0% 증가, ‘23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42조 1150억원 

- (생명과학부문) ’22년 8493억원으로 ‘21년 6903억원 대비 23.0% 증가. ’23년 3분기까지 누적 매출 8471억원 달성 


▶(부문별 매출비중) ‘23년 3분기 누적 기준 LG에너지솔루션 61.0%, 석유화학 31.1%, 첨단소재 4.4%, 생명과학 2.0%, 공통 및 기타 1.5%로 구성



□ LG화학, 2016년 당시 LG생명과학 합병을 통한 제약사업 진출 배경 

- LG화학은 주력사업인 석유화학 사업의 변동성 보완 및 지속적인 신성장동력 발굴을 통한 균형잡힌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에 노력해 왔으며, 이의 일환으로 시장 수익성이 석유사업 보다 높은 레드바이오(LG생명과학 인수)와 그린바이오(동부팜한농 인수) 사업 진출 결정 


- 독일의 바이엘, 일본의 스미토모화학과 같은 해외 화학기업들도 기업 인수 및 지분 투자를 통해 레드바이오 및 그린바이오 사업을 적극 확대하고 있음. 


- LG생명과학은 신약 개발을 위한 핵심 R&D 역량을 보유하고 있어, 안정적 재원 확보를 통한 신약개발 파이프라인 확대가 이뤄질 경우 보다 높은 수준의 성장이 가능할 것임. 


- 국내 신약개발 역량 보유 기업 중 시가총액, 지배주주 지분율, 인수에 따른 추가 프리미엄 발생 여부, 기업 문화 차이로 인한 통합 실패 리스크, 기업 실사 리스크 등을 종합 고려했 을 때 LG생명과학이 다른 기업보다 현실적으로 적정 가격에 인수 가능한 업체로 판단


<참고자료> 

1. LG화학 사업보고서(2023년도 상반기, 3분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2. LG생명과학 합병 배경 및 운영 방안 관련 투자자 대상 설명 자료, LG화학, 2016.9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