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경제안보·통상 환경변화와 보건산업 GVC 재편 관련 영향조사

  • 등록일2024-02-20
  • 조회수1585
  • 분류산업동향 > 기타 > 기타

 

 

글로벌 경제안보·통상 환경변화와 보건산업 GVC 재편 관련 영향조사


 

◈ 목차

⑴ 사업 배경 및 필요성
⑵ 국내 보건산업 수출 현황과 정책
⑶ GVC 관련 대내외 환경 분석
 GVC 전략품목 선정 및 분석
⑸ 보건산업 GVC 민감도 요인 분석
⑹ 보건산업 GVC 전/후방참여도 분석

⑺︎ 마치며

 

 

◈본문

■ 1. 사업 배경 및 필요성

01 사업 배경


최근 코로나19 확산과 함께 정치, 경제안보 기술패권 등 글로벌 통상환경의 급격한 변 화에 따라 보건산업 분야의 전 세계 GVC 재편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감염병의 지속 적 위협과 함께 고유가, 고환율, 인플레이션 위험, 각국의 안보·통상정책 강화 등에 따른 보건산업 분야의 생산, 유통 및 물류 및 교역 혼란이 가중되고 우리 기업의 지속적 성장 및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예측되고 있다. 이에 글로벌 수출 환경의 급격한 변화 요인을 다각도로 파악하고 보건산업 분야 주요 전략 품목을 선정하여 경제적 영향을 평가 및 GVC 구조적 변화에 적극적이고 지속가능한 대응 방안 도출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림 1> 사업 배경 및 필요성



[국내 보건산업의 해외 진출 성장]

우리나라 보건산업은 한국 제품에 대한 국제적인 신뢰와 국내산 제약·의료기기의 높은 가격·기술 경쟁력, 한국 제품에 대한 해외 신뢰도 및 코로나19로 인한 제약 바이오, 신약, 진단기기, 면역용품 수요 급증, 건강·위생·안전에 대한 관심 고조 등 대내외적 환경 으로 인해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위기상황 속에서도 오히려 급성장하면서 새로운 글로벌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 


2019년도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등 보건산업은 국내 총수출의 2.9%를 차지, 수출 순위에서는 10위를 차지하였으나 코로나19 발생 이후인 2020년 수출액 은 전년대비 38.22% 증가하였다. 보건산업은 국내 수출품목 중 반도체를 제외하고 유일하 게 전년대비 성장세를 나타냈고 수출 순위에서도 3단계 상승한 7위를 기록하면서 우리나 라 수출을 선도하는 신성장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한국 의약품에 대한 해외 신뢰도가 높아 지면서 의약품의 해외 진출도 바이오시밀러를 선두로 확대되고 있으며 코로나19 이후인 2020년 의약품 수출액도 전년 대비 62.6% 성장한 84.3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표 1> 한국 보건산업 대외 수출분야 및 순위 변화 (단위: 백만 달러, %)


 

국내산 보건산업 제품 중에는 바이오시밀러, 체외진단기기, 면역용품 등이 강점을 보이고 있으며 제약·의료기기 전반에 새로운 세계시장 진출 가능성과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 정부는 이러한 보건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강화하기 위해 3대 신산업에 미래차 시 스템 반도체와 함께 바이오를 포함하여 해외시장 진출과 산업 육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 의료기기 및 의약품의 기술 향상과 신뢰도 지속, 세계적인 한류 열풍과 K-뷰티에 대한 관심, 코로나19로 인한 제약 바이오와 신약, 백신에 대한 높은 수요와 위생, 건강, 안정에 대한 관심 고조 등 대내외적 환경과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육성, 우리 바이 오헬스 산업의 자생적 성장으로 향후 바이오헬스 산업은 우리나라의 해외 수출시장을 선 도해나갈 신성장 산업이 될 전망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