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KEIT 이슈리뷰 2024-1~2월호] 2023년 추진 성과와 2024년 추진 계획_신산업(바이오, 의료기기)

  • 등록일2024-03-06
  • 조회수1806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KEIT 이슈리뷰 2024-1~2월호] 2023년 추진 성과와 2024년 추진 계획_신산업(바이오, 의료기기)


 

 

◈본문


 1. 2023년 연구개발 분야 및 주요 성과


주요 연구개발 분야

맞춤형 진단·치료 제품

- 차세대 의약품 제조 및 생산 혁신, 급성 감염병 선제 대응,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첨단바이오 분야 산업적 활용 평가 및 분석 시스템 구축


첨단바이오 신소재

- 바이오매스 기반 고분자 소재 제품화, 고부가가치 생리 활성 소재의 산업적 생산기술 확보, 생체친화적 의료용 소재 및 부품 제품화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제품화 지원

-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면역계 질환, 고위험 감염질환, 신경질환 등의 난치성 질환 중심 치료제 개발 및 이와 연계된 제조기술 개발


디지털 전환 기반 의약품 지능형 공정혁신 기술개발 

 - AI·빅데이터·디지털 전환 등 ICT 기반 융합기술과 의약품 품질 고도화 혁신기술이 융합된 의약품 공정혁신 기반 기술 구축


세포 기반 인공혈액(적혈구 및 혈소판) 제조 및 실증 플랫폼 기술개발(다부처)

- 세포 배양, 자동화 등 표준화된 인공혈액 공정 기술개발 및 인공혈액 특성에 맞는 품질관리 등 제조공정 플랫폼 구축



주요성과

줄기세포 분화 기술을 이용한 장(腸) 오가노이드 기술 및 상용화 원천 기술개발

 - 인체 모사도가 높은 3차원 인간 장 오가노이드 체외 성숙화 기술개발

- 오가노이드 성숙화 원천기술,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신규 유산균 발굴 기술 및 배양 시스템 상용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바이콘테크 기반 단백질 약물의 경구 투여 제품 기술개발

- 펩타이드 개선 및 제형 기술을 통한 단백질 의약품 경구 투여 제품화 기술개발

- GLP-1 수용체 항진제 펩타이드를 경구로 전달하는 제2형 당뇨 치료제 개발 및 기술 이전 1건 완료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시제품 및 제조기술 개발

-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공급의 해외 의존성을 낮추기 위한 소재 대량 생산 기술개발, 제품 제조 기술개발, 제품 상용화

- 생분해성 소재 제조 방법 특허 등록 3건


첨단바이오 제조기술 개발 추진 및 혁신 생태계 조성을 통한 바이오제조 경쟁력 강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