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글로벌 산업정책·기술·시장동향] 이스라엘 혁신 클러스터
- 등록일2024-03-19
- 조회수1707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03-06
-
출처
GT Global Tech Korea
- 원문링크
-
키워드
#혁신 클러스터#이스라엘
[글로벌 산업정책·기술·시장동향] 이스라엘 혁신 클러스터
◈ 목차
I.이스라엘 혁신 클러스터
II.이스라엘 혁신 클러스터 성공 요소
III.향후 전망 및 결론
◈본문
1. 클러스터 개요
가. 혁신 클러스터의 개념
✤︎혁신클러스터(innovation Cluster)란 특정 분야의 수평 혹은 수직적으로 관련된 기업과 기관(대학, 연구소, 지자체)들이 상호작용을 통해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창출하는 결집체, 혹은 그러한 활동이 발생하는 지역을 말함
○클러스터에 속해있는 기업들은 기업경영에 필요한 공급자, 기업지원서비스, 노동력 등의 투입요소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음
╺︎경쟁기업들이 일정 지역에 모여 있어 경쟁의 강도가 높고 성과를 측정하기 쉬워 낮은 비용과 높은 품질의 투입 요소를 빠르게 조달
╺︎기술 선도국들은 법 제정, 기관 설립, 지원금 지원제도들을 통해 혁신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해외 기업 유치 및 오픈이노베이션 실행
나. 국가별 혁신 클러스터 현황
✤︎(미국) 바이돌법(Bayh-Dole Act)을 통해 대학과 국책 연구 기관이 연방정부로부터 지원받은 연구를 상업화하도록 장려
○미국은 농업에서 첨단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이 고르게 발달한 국가로, 지역별 산업 육성 정책은 주로 주·시 정부가 담당
╺︎미국 내 전체 클러스터는 약 백여 개(Science Park 72개, Research Park 160개)로 추정
╺︎보스턴 바이오텍 클러스터는 미국 내 가장 대표적인 혁신 클러스터로, 약 800여 개 기업이 해당 클러스터에 입주하여 사업을 영위
✤︎(독일) 정부 산업 육성 정책에 부합되는 산업별로 클러스터 기금이 지원되면서 혁신 클러스터 활성화
○독일 산업에너지부와 교육연구부에서 클러스터 독려 프로그램인 go-cluster* 운영
╺︎독일 내 소규모 클러스터 포함 약 500개의 클러스터가 형성
✤︎ (영국) ‘10년 런던 동부를 미국의 실리콘밸리와 같은 혁신 테크도시로 육성하기로 발표하고, 지원기관인 Tech Nation을 통해 클러스터 재정지원
○Tech Nation은 성장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창업 초·중·마무리 단계를 나누어 네트워킹, 멘토링 등을 지원
╺︎런던 혁신 클러스터 ‘테크시티(Tech City)’는 런던 동부에 위치하여 약 1,500개 혁신산업기업이 입주
✤︎(프랑스) ‘04년 신산업정책의 일환으로 경쟁력클러스터(Pole de competitivite) 주관기관인 국토개발·정비위원회(CIADT) 설립을 시초로, 미래 신산업 육성정책 프랑스신산업(NFI)과 상호보완적인 정책으로 혁신클러스터를 육성하기 시작
○소피아 앙티폴리스는 칸느와 앙티브 북쪽 중간에 위치하여 약 2,500개 기업 및 200개 기관이 입주해있는 유럽 최대 첨단과학기술 연구단지
╺︎주요 업종은 정보기술(IT), 연구 및 교육훈련, 생명과학 및 정밀화학, 환경 및 에너지로 총 4분야
╺︎프랑스 정부는 통신보안솔루션 분야를 중점으로 지원하여 육성
✤︎(이스라엘) 인구수 대비 창업률이 세계 1위인 이스라엘은 클러스터 관련 정책보다는 스타트업 정책을 통해 클러스터가 형성
○창업 초기단계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해주는 트누파(Tnufa) 프로그램과 인큐베이터(Incubator) 프로그램을 통해 스타트업 성장을 지원
╺︎주요 클러스터로는 마탐(Matam), 하르 호츠빔(Har Hozvim), 와이즈만 사이언스파크(Weizmann Science Park)가 있음
2. 이스라엘 혁신 클러스터 특징
가. 특징
✤︎예루살렘의 히브리대, 르호봇의 와이즈만 연구소, 베르셰바의 벤구리온 대학 등 주요 대학, 연구소를 중심으로 다국적 기업 R&D센터가 포진하여 클러스터 형성
○대학발 스핀오프 기업 인수합병과 첨단 기술 확보를 위해 대학 주변에 주요 다국적 기업의 연구개발센터를 건립
○이스라엘 진출 다국적 기업의 33%는 현지 공장 설립뿐만 아니라 이스라엘에서 운영 중인 현지 업체를 인수하여 연구개발센터를 운영
╺︎IBM, EMC, Intel, Cisco 등이 현지 업체 인수를 통해 진출
나. 실리콘와디(Silicon Wadi)
✤︎(개요) 실리콘 와디는 이스라엘 혁신 기술의 요람으로, 텔아비브를 중심으로 하이파, 헤르츨리야 등 이스라엘 동부 해안지역 IT 집산지를 지칭
○이스라엘 실리콘와디는 미국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와 긴밀하게 연결돼 미국 IT업계의 허리 역할을 수행
○(주요기업)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애플, 구글, IBM, HP, 엔비디아, 지멘스, 아마존, 메타, 존슨앤존슨, 엘지, 삼성 등
╺︎(주요성과) 인텔은 이스라엘에서 Comet Lake 10세대, 인텔 6, 7, 8세대 프로세서, Ice Lake Server 데이터 센서, Sky Lake, 인텔 12세대 코어 프로세서 등을 개발
✤︎(주요대학) 다국적 기업은 텔아비브의 텔아비브대, 하이파의 테크니온 공대를 중심으로 파트너쉽을 구축하여 혁신 기술 도입을 통한 기술 경쟁력 제고
○실리콘 와디에 위치한 구글, 엔비디아, 아마존, IBM과 같은 다국적 기술기업은 대학의 혁신 스타트업과 협력하여 이스라엘의 우수 인재와 혁신 기술을 확보
╺︎(주요사례) 미국 엔비디아社는 텔아비브 대학과 ‘22년 공동으로 StyleGAN-NADA모델을 공동으로 개발하여, 2D에서 참조용 예제 없이 3D로 구현하는 최첨단 도구를 개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