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이슈별 상표 심층분석_헬스케어기기

  • 등록일2024-03-22
  • 조회수1620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3-12-31
  • 출처
    한국지식재산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헬스케어기기#상표권#연관규칙분석#특허
  • 첨부파일

 

 

이슈별 상표 심층분석_헬스케어기기


 

◈ 목차

  • I.분석개요

  • II.최신 이슈 동향 및 분석 범위 설정

  • III.상표 통계 분석

  • IV.상표 전략 심층분석

  • V.결론

 

 

◈본문

  • I.분석개요 

  • 1.과업 목적

     1.1. 상표 출원 동향 분석의 필요성

  • 상표정보의 의미 분석

  • ╺︎상표란 자기의 상품(지리적 표시가 사용되는 상품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서비스 또는 서비스의 제공에 관련된 물건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과 타인의 상품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표장으로서, 기업이 비즈니스를 영위하기 위해 자신의 제품을 타인과 식별하기 위해 상표를 사용하고 있음.

  • ╺︎표장은 기호, 문자, 도형, 소리, 냄새, 입체적 형상, 홀로그램・동작 또는 색채 등으로서 그 구성이나 표현방식에 상관없이 상품의 출처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모든 표시임.

  • ╺︎따라서, 기업의 비즈니스 활동 분석과 상표의 정보 분석은 밀접한 관련이 있음.

  • 상표 출원 동향 분석을 통한 시장 이해도 제고

  • ╺︎시장이 급성장하는 경우 상표의 출원도 급성장하는 양상을 보이므로 상표 출원 동향에 따라 시장의 성장과 쇠퇴를 파악할 수 있음.

  • ╺︎더 나아가, 상표권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상표의 출원 시기는 기업의 제품 출시 이전에 이루어질 수 밖에 없으므로 상표 출원과 시장의 동향은 밀접한 관련이 있음.

  • 미래 비즈니스 전략 수립

  • ╺︎출원 및 등록 상표의 동향 분석을 통해 기업의 시장진입이나 제품 출시 예정 전략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을 분석할 수 있음.

  • ╺︎더 나아가, 상표의 지정상품 심층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함

  • 2. 과업 내용

     2.1. 주요 과업 내용

  • 국내외 주요 이슈 동향 및 주요 기업 동향 분석

  • ╺︎헬스케어기기 산업에서의 최근 이슈, 시장 동향 및 정부의 정책 동향 분석

  • ╺︎주요 기업의 최근 비즈니스 동향 및 상표권 주요 이슈 분석

  • 분석 대상 데이터 구축

  • ╺︎분석한 이슈에서 키워드를 도출하여 분석 대상 지정상품 목록 선정

  • ╺︎한국, 일본, 중국, 미국, 유럽 및 마드리드의 지정상품명 기반의 상표 출원 빅데이터 모집단 확보

  • ╺︎자문위원회의 감수를 통한, 정확하고 현재 헬스케어기기 산업의 이슈 트렌드가 반영된 상표 출원 빅데이터 모집단 보완

  • 상표 통계 분석

  • ╺︎분석 상표의 국가별, 출원주체별, NICE분류별 출원・등록 현황 분석을 통한 현황 파악

  • ╺︎지정상품별 상표 출원・등록 현황 분석 및 연도별 신규 고시명칭 분석을 통한 지정상품 추이 파악

  • ╺︎출원인 유형, 출원인 국적 및 출원국 등을 고려한 주요 출원인의 상표 출원 추이 파악

  • ╺︎한국, 일본, 중국, 미국, 유럽 및 마드리드의 지정상품명 기반의 상표 출원 빅데이터 모집단 확보

  • 상표 전략 심층분석

  • ╺︎헬스케어기기 산업에서 이슈가 되는 제품의 시계열적 상표 출원과 비즈니스 현황에 대한 표장 분석

  • ╺︎연관규칙분석(Association Rule Mining)을 활용한 동시 출현 지정상품쌍 도출과 관련된 비즈니스 활동 조사 및 비즈니스 영역 분석

  • ╺︎주요 출원인 또는 기술 기반 출원인의 상표 및 특허 출원시기 파악을 통한 시사점 도출

  • 헬스케어기기 상표 비즈니스 전략 수립

  • ╺︎헬스케어기기 이슈 동향, 상표 통계 분석 및 상표 전략 심층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 비즈니스 방향 및 경쟁 전략 제시

  • II.최신 이슈 동향 및 분석 범위 설정

  • 1. 국내외 주요 이슈 동향

    1.1. 이슈 동향 및 키워드 선정

  •  가정용 의료기기 부상

  • ╺︎최근 코로나19 확산 시기를 거치면서 의료기기 산업이 ‘사용자 중심’ 제품 개발에 더 집중하고 있으며, 대형 전시회에서도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제품, 즉 가정용 의료기기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임.

  • ╺︎KIMES 2023에서는 가정용 의료기기를 선보인 업체들이 다수 자리했으며, 치료 및 의료정보시스템관, 헬스케어 및 재활기기관 두 전시관에서는 스마트 헬스기기, 피부 미용기기, 재활 기기, 비만 치료기기, 로봇 재활기기 등 집에서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들을 전시함.

  • ╺︎홈케어 전용 미용 레이저 기기, 척추 교정이 가능한 마사지 침대, 혈압계・체성분 기기 등의 건강관리기기, 만성 통증 개선 또는 우울증 치료를 위한 전자약 등이 전면 배치됨

  • 웨어러블 기기의 건강관리 기능 확장

  • ╺︎2020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10억 개 이상의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되었으며, 웨어러블 스마트 주얼리 및 의류에서 피트니스 모니터 및 건강과 웰빙을 감시하는 신체 센서에 이르기까지 일상생활을 변화시키고 있음. 이 중 웨어러블 의료기기는 특히 혁신적이며, 이러한 기기는 의사가 원격으로 환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웰빙과 관련하여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줌.

  • ╺︎웨어러블 기기는 심박수 및 혈압 모니터링, 산소포화도, 피트니스 추적 및 수면 패턴 분석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개인 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침.

  • ╺︎심혈관 건강을 측정하는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수의 스마트워치가 등장했으며, 이러한 기기는 지속적으로 더 많은 개선 사항을 추가하고 있음. 이러한 개선 사항을 통해 스마트워치 사용자는 생명을 위협하는 고혈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었음.

  •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만성질환으로 매년 약 4,100만 명이 목숨을 잃고 있음. 인구 고령화, 특히 당뇨병, 심장병 등 만성질환이 더욱 만연해짐에 따라 웨어러블 의료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 ╺︎웨어러블 기기의 형태와 방식도 매우 다양하며, 헬멧, 머리띠, 안경, 렌즈, 이어폰, 내복, 틀니, 팔찌, 손목시계, 손목밴드, 패치, 신발, 양말 등 머리부터 발끝까지 적용되고 있음. 최근에는 문신 센서까지 등장했으며, 자연스럽게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자도 증가하고 있음. 이 중 손목시계 형태의 스마트워치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반지 형태도 주목을 받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