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KISTI R&I Report] 주요기업 기반 국가전략기술(첨단바이오) 산업 분석
- 등록일2024-05-07
- 조회수2825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03-29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전략기술#첨단바이오#mRNA 백신 플랫폼#유전체·바이오 빅데이터
- 첨부파일
[KISTI R&I Report] 주요기업 기반 국가전략기술(첨단바이오) 산업 분석
◈ 목차
1.서론
2.특징·환경·이슈·시장 분석
3.산업 분석
4.결론 및 시사점
◈본문
I.배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술패권 구도 및 경제·외교·안보적 가치를 종합하여 국가전략기술을 선정
●2022년 10월에 12대 국가전략기술 선정 및 정책·투자지원을 집중할 50개 세부 중점 기술을 도출
●첨단바이오를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로 지정하고 중점기술로 합성 생물, 감염병 백신·치료, 유전자·세포치료, 디지털 헬스데이터 분석·활용 기술을 선정
●첨단바이오는 기술군 유형 중 미래도전형(급격한 성장과 국가안보 관점 핵심이익 좌우 기술군)으로 지정
●2022년 10월에 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을 통해, 수개월 내 개발 가능한 mRNA 백신 플랫폼 확보와 한국인 특유 유전체·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을 단기(5년 이내) 목표로, 선도국 수준 유전자·세포치료 파이프라인 확보와 합성생물학 기반 바이오제조·생산 고도화를 중장기(5~10년) 목표로 선정
●본 보고서는 첨단바이오 분야의 산업 분류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특징, 환경, 이슈, 분류별 시장 분석과 함께 최근 자료(2023년 8월), 시계열 자료(2018년~2022년)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산업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첨단바이오 기술과 산업의 발전 방향과 정책을 수립하는 데 참고가 되고자 함
II. 분석 방법
●KISTI에서 기존에 발행한 첨단바이오 국가전략기술 논문특허분석 요약 보고서 중 미국 특허 출원인에 대해서 특허 수 기준 상위에 속하는 출원인을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첨단바이오 분야의 선도기업 정보 확보
●기업이 속한 산업군의 분류(S&P Global Primary Industry Classification)를 검색할 수 있는 S&P Capital IQ를 통해, 선도기업을 기반으로 첨단바이오 분야의 산업 분류를 광범위하거나 부적합한 산업 분류는 제외하며 파악
●한국,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일본을 분석 대상 5개 국가로 정하고, 산업 분류에 기반하여 본사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국, 미국, 중국, EU, 일본의 첨단바이오 분야 기업 정보 파악
●총매출액(Total Revenue) 기준으로 국가별 상위 100개 기업 선정 후 총 매출액, 세전영업이익(EBITDA), 연구투자액, 고용인원 정보 확보. 세전 영업이익, 연구투자액, 고용인원에 대한 정보가 없는 기업은 총매출액 대비 평균 적용하여 추정
●본 보고서에서 사용되는 자료는 다음과 같이 S&P Capital IQ를 통해 수집함
╺︎최근 자료는 2023년 8월 기준으로 수집하였으며 고용인원에 대한 정보를 제외하고 최근 12개월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함
╺︎시계열 자료는 회계연도 기준으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확보
╺︎매출액은 총매출액, 영업이익은 세전영업이익을 각각 나타내며 연구투자액과 함께, 최근 자료와 시계열 자료가 있으며 단위는 일백만 미국달러($USDmm). 본 보고서에서는 금액 단독 표기의 경우 단위를 생략
╺︎고용인원은 최근 정보만 존재하여, 2023년 8월 기준으로 정보 확보. 단위는 1명이며, 본 보고서에서는 인원 단독 표기의 경우 단위를 생략
III.산업 분류 정의
●본 보고서에서 사용되는 첨단바이오 분야에 속하는 산업 분류는 분석 방법에 따라 파악되었으며, 그 정의는 다음과 같음(S&P Global Primary Industry Classification 참고)
(1)Biotechnology
╺︎유전자 분석 및 유전 공학을 기반으로 한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 및/또는 마케팅에 주로 종사하는 회사. 인간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단백질 기반 치료제 전문 회사 포함. 생명공학을 사용하여 제품을 제조하지만 의료 분야가 아닌 회사는 제외
(2)Health Care Equipment
╺︎의료 장비 및 장치 제조업체. 의료 기기, 약물 전달 시스템, 심혈관 및 정형외과 기기, 진단 장비 포함
(3)Health Care Technology
╺︎주로 의료 서비스 제공자에게 정보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주로 의료 부문에서 의사, 병원 또는 기업에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또는 데이터 처리 소프트웨어, 인터넷 기반 도구 및 IT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포함
(4)Life Sciences Tools and Services
╺︎분석 도구, 장비, 소모품 및 공급품, 임상 시험 서비스, 계약 연구 서비스를 제공하여 약물 발견, 개발 및 생산 연속체를 가능하게 하는 회사. 주로 제약 및 생명공학 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포함
(5)Pharmaceuticals
╺︎의약품의 연구, 개발 또는 생산에 종사하는 회사. 동물용 의약품 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이슈 브리핑] 10억 달러 펀딩받은 미국 AI신약개발기업 출범
-
다음글
-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08] 미국 FDA, ‘Italfarmaco’의 뒤센 근이영양증 치료제 Duvyzat 승인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