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방글라데시 엑스레이기기 시장동향
- 등록일2024-06-26
- 조회수1162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료기기
-
자료발간일
2024-06-14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방글라데시#엑스레이션#의료기기
방글라데시 엑스레이기기 시장동향
향후 5년간 약 8.6% 연평균 성장률(CAGR)이 예상되는 엑스레이 기기시장
기 수입규모 3위 수준으로 현지 반응이 좋은 한국 엑스레이 기기
◈본문
방글라데시 엑스레이기기 시장개요
방글라데시는 1970년대 평균 기대수명이 52세였으나, 현재는 72세까지 늘어난 상황이다. 산모 사망률도 1990년 이후 약 25년간 67% 감소했으며, 영아 사망률은 1981년 9.4%에서 2019년 기준 1.9%까지 낮아졌다.
이처럼 방글라데시 정부는 의료 부문의 발전을 국가 경제 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여기며 집중 지원해왔다. 특히,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를 거치며 의료서비스 시장은 약 66억 달러 규모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아직도 의료장비 및 기기 산업은 약 85%를 수입에 의존하는 초기단계로 분석된다. 방글라데시 의료기기 시장의 경우 2020년 6월 기준 약 4억4200만 달러 규모로 나타나며, 2025년에는 약 8억2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약 4000개 이상의 의료기기 및 장비가 사용되고 있으며, 현지 생산되는 품목은 대부분 소모품, 일회용품 및 수술용 멸균기 등 소형기기 수준인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체외진단(IVD) 키트시장이 가장 빠르게 성장중인 것으로 나타나지만 엑스레이와 같은 진단영상 장비가 이어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엑스레이 브랜드 및 가격동향
방글라데시에 엑스선 기기(HS 코드 9022)는 크게 '엑스선 기기(치과용)-HS코드 9022.13'와 '엑스선 기기(내과용, 외과용, 수의과용)-HS 코드 9022.14'로 구분되어 수입 및 유통되고 있다. 특히, 동 시장은 지멘스(독일), 후지(일본), 도시바(일본), 히타치(일본), JPI(한국), 동문(한국), 알렌거스(인도) 등이 전체 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수입업체 담당자에 따르면 지멘스가 20%의 점유율로 시장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후지, 도시바, 히타치, JPI, 동문이 그 뒤를 잇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외 트리업, 브라우너, 완동 등 약 15개 중국 브랜드가 나머지 2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방글라데시 주요 엑스레이 브랜드 및 시장가격>
(단위: US$)
[자료: 현지 수입업체 인터뷰, The Daily Stars]
현지 엑스레이기기 유통구조
엑스레이 기기는 수입업체 대리점 또는 공식지정 유통업체를 통해 방글라데시로 들어온다. 외국 제조기업이 직접 지사를 설립하는 경우도 있으나, 지사가 없는 경우에는 공식 유통업체를 통해 판매 뿐 아니라 유지보수까지 지원을 하고 있다. 주로 정부 병원, 개인 클리닉 및 검진전문센터 등에 판매되고 있다.
<방글라데시 엑스레이기기 유통구조>
[자료: 현지 수입업체 인터뷰]
방글라데시 엑스레이기기 수입현황
방글라데시에서 엑스레이 기기는 거의 100% 수입에 의존하는 품목이다. 아직 현지에서 생산중인 브랜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전체 엑스레이 기기 수요 중 5%는 치과 부문에서, 나머지 95%는 일반 의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5년 엑스레이기기(치과용) 수입통계>
(단위: US$)
[자료: 방글라데시 통계청(BBS)]
[자료 : 방글라데시 통계청(BBS)]
<최근 5년 엑스레이기기(내과용,외과용,수의과용) 수입통계>
(단위: US$)
[자료 : 방글라데시 통계청(BBS)]
[자료: 방글라데시 통계청(BBS)]
현지 수입관세 및 규제현황
아직 방글라데시에는 엑스레이에 대한 수입 시 별도의 강제 및 임의 인증 제한이 없다. 수입관세는 방글라데시 국세청 산하 세관 및 소비세 부서에서 징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CIF(원가, 보험료, 운임 및 기타 비용)에서 세율을 계산하여 징수하게 된다. 엑스레이 기기는 HS코드 9022.13(치과용) 및 9022.14(내과용,외과용,수의과용)로 수입되고 있으며 관세율은 아래 표와 같다.
<방글라데시 엑스레이기기 수입세율>
*주: CD(관세), RD(규제 관세), SD(추가 관세), VAT(부가가치세), AT(선급세), AIT(선급 소득세), TTI(총 세율)
[자료 : 방글라데시 2023-24 관세율 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방글라데시의 엑스레이 시장은 향후 5년간 약 8.6%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보이며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2028년에는 시장규모가 약 46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미 현지에서 3위 규모로 수입이 되고 있을 정도로 한국산 엑스레이 기기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도 좋은 편이다. 이에 다른 한국 기업들도 현지 진출 시 빠른 시장반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00% 수입에 의존하는 시장인만큼 타 브랜드의 현지 시장가격도 크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지 마케팅, 유지보수 기술지원 역량이 큰 현지 에이전트를 선정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이다. 향후 시장규모에 따라서 현지 기업과의 합작투자를 통해 제조 공장을 설립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방글라데시 의료기기관련 전시회 정보>
[자료: ICCB 전시장 사이트]
자료: 방글라데시 통계청, The Daily Star, 다카 무역관 자료 종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