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14] 라이프가드 디지털헬스: 앱을 통해 100명의 생명을 구하다

  • 등록일2024-07-02
  • 조회수1269
  • 분류산업동향 > 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라이프가드 디지털헬스: 앱을 통해 100명의 생명을 구하다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14

 

◈ 목차

◈ FOCUS

- AI 혁신이 이끄는 뷰티산업의 미래: 주요 글로벌 브랜드 사례


◈ 의료서비스

- 대만 중국의과대학병원, 말레이시아 국제의과대학과 MOU 체결

- 나이지리아, 의료시스템 개선 필요성과 인도로 향하는 의료관광 증가의 배경

- 튀르키예 의료관광, 방문자의 경험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KPJ 헬스케어, 1분기 순이익 39% 상승 및 의료관광시장 확대 전망

- 인도, 아유시(AYUSH) 치료를 위한 국제 의료 보험 추진

- 북아일랜드, 국경을 넘은 의료서비스로 더 나은 치료를 받는 환자들

- 그리스 관광부, 의료관광 발전의 새로운 기회로서 원격의료서비스 도입

- 이란 테헤란대 연구진, 콘텐츠 마케팅을 통한 그린헬스관광의 스마트 경험 평가


◈ 디지털헬스케어

- 라이프가드 디지털헬스: 앱을 통해 100명의 생명을 구하다

- 뉴질랜드, 디지털헬스케어 예산 삭감 우려 및 예산 재조정

- OSF HealthCare, 디지털케어 전략 원칙 제시

- 인도, 디지털헬스의 역할과 글로벌 협력 강조

- 미국 크레센트 지역 병원, 홀로그램 환자 방문 도입

- 캐나다, 베트남 디지털헬스 시장에 주목

- 미국 연방거래위원회, 디지털헬스케어 데이터 보호 강화

- 인도, 디지털헬스 기술을 통한 폐 재활 프로그램 접근성 확대


◈ 제약·의료기기·화장품

- 조지아뮤네, 새로운 암 치료제 파이프라인 확장으로 혁신 주도

- 글리코넥스와 프리시셈앱, 암 치료를 위한 항체 개발 라이선스 계약 체결

- 비테스트로, 로봇 혈액 채취 장치 임상 시험 성공적 결과 발표

- 메드트로닉, Infuse 골이식재로 FDA 혁신기기 지정 획득

- 이큐텍, 관절 대체 수술용 차세대 GPS 기술 출시

- 사이베이스, AI기반 피부 장벽 평가도구 eBarrier Score 출시

- 로레알, 감각을 느낄 수 있는 바이오프린팅 피부 개발

- 이스라엘 의료 기술 스타트업 13곳, 바이오메드 2024에서 주목


◈ 고령친화산업

- 일본, 1인 고령자가구 증가에 따른 주거지원사업 제도 도입

- 스웨덴 KTH 왕립 공과대, 고령자 참여형 연구를 통한 대화형 반려로봇 설계

- 심업그룹 산하 주거서비스, 홍콩 사회복지부의 공식 인증 획득

- 영국 테크불리온, 고령자를 위한 은퇴자 마을 가이드 제시

- 일본, 돌봄복지사 국가고시 파트 합격 제도 도입 방안 검토

 

◈본문

라이프가드 디지털헬스: 앱을 통해 100명의 생명을 구하다

-­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에 본사를 둔 라이프가드 디지털헬스(Lifeguard  Digital  Health)는 LifeguardConnect* 앱과 LifeguardLite**를 통해 100명의 생명을 구했다고 발표함

* 스마트폰 앱으로, 사용자가 약물 과다 복용 시 긴급 구조 서비스 호출 가능

** 벽걸이 장치로, 약물 사용 후 응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음


-­ LifeguardConnect는 2023년까지  50명의  생명을  구했고, LifeguardLite는 취약한  개인들을  위한  지원  주택  환경에서 사용되어 이 두 플랫폼은 최근 50명의 생명을 추가로 더 구함


-­ LifeguardLite는  총  2,137회  사용되었고,  217회의  긴급  구조 호출 및 101회의 긴급 구조대의 과다 복용 예방에 성공함


- 라이프가드  디지털헬스는  제품  개선과  확장을  통해  더  많은  생명을  구하고자  미국,  캐나다,  호주,  인도 등지로의 글로벌 확장을 목표로 함


- 오피오이드 위기***   대응에 있어 디지털헬스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통해 더 나은 예방 전략을 개발하고, 중독 관련 낙인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 1990년대 이후 오피오이드 계열 약물에 대한 남용, 오용, 과다 복용, 중독으로 인한 사망자가 증가하면서 발생한 사회적 문제


뉴질랜드, 디지털헬스케어 예산 삭감 우려 및 예산 재조정

-­디지털헬스협회(Digital  Health  Association)의  최고  경영자  릴  젠슨(Ryl  Jensen)은  2024년  예산에서 디지털헬스케어 자금 지원의 감소에 대해 우려를 표명함


-2024년 예산으로  Health  New  Zealand  | Te  Whatu  Ora*는 △데이터  및 디지털  인프라, 혁신, 보건 시스템 변화 △병원 조제약, 공중보건, 병원 진료 및 수술 등 의료 최전선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해 167억 달러(한화 23조 142억원)를 투입할 계획임

* 뉴질랜드의 새로운 공공 보건 기관으로, 2022년 7월 1일에 설립. 뉴질랜드 전역의 건강 서비스 제공을 통합하고 관리하는 역할


-릴 젠슨은 디지털헬스케어 자금 감소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정부가 경제 상황과 일선 직원 및 서비스에 투자할 필요성을 이해하지만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함


-또한,  정부가  기존  예산  할당에서  절감된  자금은  향후  투자  준비를  위한  보류  작업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하며 이는 디지털헬스 분야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언급함


-디지털헬스협회는 Health New Zealand와 협력하여 강력한 비즈니스 사례를 제시하고, 디지털헬스의 기반 변화를 위한 추가 자금을 확보하려고 함


-디지털헬스  투자  삭감은  임상  일선과  의료  소비자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디지털헬스 투자와 설득력 있는 사례 개발이 필요함


OSF HealthCare, 디지털케어 전략 원칙 제시

­-2024년 5월 5일 개최된  ATA  Nexus  2024* 컨퍼런스에서  OSF HealthCare**의 전문가들이 디지털케어 전략을 개발할 때 준수해야 할 원칙들을 제안함

* 미국  원격의료협회(ATA:  American Telemedicine  Association)가 주최하는  연례 행사로, 원격의료와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의 최신 기술과 혁신을 논의

** 미국 일리노이주 피오리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비영리 가톨릭 헬스케어 시스템


- OSF  HealthCare는 디지털헬스  프로그램인  OSF  OnCall을 통해 환자와  제공자의  경험을  개선하고  있으며, 이 프로그램은  800명의 직원이 참여하고 기술을 활용한 즉각적인 서비스를 제공함


­- 또한  △24시간  사용  가능  △적절한  디지털  도구  사용  등의  원칙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케어  전략  수립

△다양한  기술과  도구를  통합하여  실시간  데이터  바탕의  환자  개인  맞춤형  진료  등을  통해  환자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함


- OSF  HealthCare는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정부  및  규제  기관과  협력하고,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더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임



인도, 디지털헬스의 역할과 글로벌 협력 강조

­- 2024년 5월 9일, 인도  보건부  장관  아푸르바  찬드라(Apurva Chandra)가 제네바에서  열린  제77차 세계  보건총회에서 디지털헬스의 중요성과 인도의 성과를 강조함


- 아푸르바  찬드라는  인도의  디지털  공공  인프라  구축  성과를 강조하며, 특히 Aadhaar(디지털 신원), UPI(통합 결제 인터페이스), Co-WIN(코로나  백신  관리  시스템)을 통한  효율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을 다음과 같이 언급함

❶ Co-WIN  시스템이  UWIN*(Unified  Web-based  Immunization  Network)으로  전환되어  국가 예방접종 프로그램을 지원할 예정이며, 이는 매년 3천만 신생아와 어머니의 예방접종 기록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것임

* 통합된 웹 기반 예방 접종 네트워크, 여러 보건 기관 및 조직이 협력하여 백신 접종 데이터를 관리하고 공유하는 시스템

➋  Ayushman  Bharat  Digital  Mission(ABDM)  하에  6억  1,800만  개의  고유  건강  ID가  생성되었고, 26만 8천 개의 의료시설과 35만 명의 의료 전문가가 등록됨

➌ AB PMJAY와 같은 공공 건강 보험 계획이 5억 5천만 명의 취약 계층에게 의료 보장을 제공함

➍  e-Sanjeevani  텔레메디슨  서비스가  2억  4천만  명의  환자를  지원하며,  약  21억  달러(한화  2조 8,944억원)의 비용을 절감함


- 인도는 디지털헬스케어 생태계를 글로벌 수준으로 확장하고, 다른 국가들과 협력하여 디지털헬스 솔루션을 통한 건강 격차를 줄이는 데 중점을 둘 계획이며 디지털 공공 인프라를 통해 더욱 포괄적이고 접근 가능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려고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