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Biotech 투자 현황과 성공으로 가는 길(1부) - 임상진입 시 고려사항

  • 등록일2024-07-26
  • 조회수1061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Biotech 투자 현황과 성공으로 가는 길(1부)

임상진입 시 고려사항

 

◈본문


Overview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 따르면 2017 년부터 2020 년까지 신설 기업이 1500 곳에 이르는 바이오 중소·벤처기업 창업 붐이 일었다. 그러다 치솟는 개발비, 높은 실패율, 감소하는 수익률, 팬데믹 이후 긴축기조 등으로 바이오의약업계는 위기에 직면하였다. 지난해 국내에서 100 여개의 바이오기업이 문을 닫았다. 적절한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바이오의약업계는 신약이 개발되기까지 10 년 이상의 기간과 수백억~수천억 원의 비용이 필요한 산업적 특성을 갖고 있다. 매출과 밸류가 일치하지 않아 다른 사업의 밸류에이션과 구분된다. 신약개발의 긴 여정에 자금조달은 필수적이므로 바이오의약업계 VC 들의 Funding 현황과 투자 Trend 를 살펴 보고자 한다. 더불어 바이오기업 밸류에이션에 직결되는 임상진입을 위하여 고려할 사항들을 다루고자 한다.


Biotech 투자 현황

수많은 신생 바이오기업들이 수백개의 혁신적인 의약품 개발을 과감하게 진행하고 있으나, 기술력을 기반으로 성장하는 바이오벤처가 상업화 단계에 이르기전에 자금난을 버티지 못하고 폐업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지속적인 투자 유치가 필요한 시점에서 글로벌 바이오의 약계 투자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림 1. VC funding in biotech companies, 2019-2023>


<그림 1. VC funding in biotech companies, 2019-2023>


Crunchbase에 따르면 글로벌 바이오의약업계 VC의 자금 조달은 2023년에 1,363억 달러로 역대 3번째로 큰 신규 자본유입 규모를 달성했다. 2021년 시장 사상 최고치인 1,499억 달러보다는 낮은 수치이지만, 팬데믹 이전대비 높은 수준이다


<그림 2. Biotech Investment : Biotech VC, Global. 2019-2023>

<그림 2. Biotech Investment : Biotech VC, Global. 2019-2023>


그러나 <그림2>에서 볼 수 있듯이 Biotech VC 투자현황은 가장 활발했던 2021년 거래량 513건(311억 달러)에서, 이후 2022년 320건(173억 달러), 2023년 301건 (146억 달러)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2021년 대비 각각 45%, 53% 감소한 수준이다. VC Funding규모에 비해소극적인 투자 규모에서 글로벌 경기 둔화, 고물가,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인한 긴축 기조를 유추할 수 있었다. 더불어 글로벌 의약품 시장의 투자 여력이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해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도 할 수 있었다.


<그림 3. Venture totals : Biopharma Therapeutics and platforms, 2019-1Q 2024>

<그림 3. Venture totals : Biopharma Therapeutics and platforms, 2019-1Q 2024>


DealForma의 분기별 바이오의약산업 치료제 및 플랫폼 투자현황을 살펴보면, 이 또한 벤처 투자가 가장 활발했던 ‘21년 1분기 138억 달러에서 ‘24년 1분기 65억 달러 규모로 2년만에 고점 대비 약 47% 수준으로 감소한 상황이다.


<표/그림 4. 국내 바이오/의료 분야 신규투자 금액>

표/그림 4. 국내 바이오/의료 분야 신규투자 금액>


국내 바이오 기업 역시 글로벌 경제 영향으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바이오·의료 분야 신규 투자액은 8844억원으로 전년 대비(1조1058억원) 23.1% 감소했다. 바이오 투자가 가장 활발했던 지난 2021년(1조6670억원)과 비교하면 신규 투자액이 절반수준(52.7%)으로 감소한 수치이다. 긴축 기조에 따라 벤처투자가 감소하며 IPO가 원활하지 않은 시점에서 옥석 가리기가 진행되는 시기라고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임상진입 시 고려사항

이러한 변화의 시기에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인가? 무엇을 바이오기업의 성공이라고 볼 것인가? 탄탄한 기술 위주의 바이오기업은 살아남을 것이고, 임상진입을 통해 기술력과 가치를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2023년 KoNECT의 임상시험 산업실태 조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제약사의 지역별 임상시험 R&D 비중은 ‘국내 임상시험’이 85.3%, ‘다국가 임상시험’이 14.7%로 조사되었다. 일반제약사의 경우 바이오벤처보다 국내 임상건수 비율이 더 높았는데, 제네릭이나 바이오시밀러를 대상으로한 국내 임상도 포함되었을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 임상건수가 우세한 상황에서 임상 이후 Next step은 무엇인가? 국내 수요가 충분한가? 되물어 보아야 한다


<그림 5. 임상 지역별 수행 현황(비중)>

<그림 5. 임상 지역별 수행 현황(비중)>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