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싱가포르 단백질 대체 식품 시장동향

  • 등록일2024-07-31
  • 조회수98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식품

 

 

싱가포르 단백질 대체 식품 시장동향

개인 건강 및 환경에 대한 인식으로 식물성 대체육 소비 증가

  

◈본문


상품명: 일반적으로 단백질 대체식품은 HS CODE 2106 범주에 속하며, 가장 많이 활용되는 아래의 HS Code 2개를 조사함


상품명

HS Code

단백질 농축물과 텍스처화한(textured) 단백질계 물질

210610

달리 명시되지 않은 기타 식품 조제품

210690


시장동향 및 개요


싱가포르 식품청(Singapore Food Agency, SFA)에 따르면 대체육은 특정 조건에 따라 관리된 환경에서 자란 식물이나 배양육과 같은 동물 이외의 공급원에서 제조된 것으로 정의된다. 대체육의 종류로는 식물성 육류 제품(콩이나 밀 단백질로 만든 것), 세포 기반 육류(동물 세포로 배양한 것) 등이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보고서에서는 싱가포르가 대체 단백질 시장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단백질 시장에서 중추적인 역할로 성장한 데에는 지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면적이 약 700제곱 킬로미터로 도시국가인 싱가포르는 총면적의 1% 미만이 농지로 사용되고 식량의 90% 이상 수입하고 있다. 그만큼 인플레이션 등 외부요인에 취약해 싱가포르 정부는 꾸준히 식량 안보를 관리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2030년까지 식량 수요의 30%를 국가 자체적으로 지속 가능하게 생산하겠다는 뜻의 ‘30 by 30’ 목표를 수립한 바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싱가포르 내 대체육을 포함한 육류 및 해산물 대체식품 판매액은 전년 대비 6.6% 증가해 육류 및 해산물 가공식품 시장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히 식물성 대체육 시장은 초기 채식주의자를 위한 틈새시장에서 출발하였으나, 건강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육류 수급 문제 등에 따라 대체식품 시장으로 급성장하였다.


<싱가포르 육류 및 해산물 식품 시장 규모 (2023년)>

(단위: 백 만 싱가포르 달러, %)

카테고리

판매액

성장률(전년 대비)

육류 가공식품

211.1

5.7

해산물 가공식품

142.2

3.8

육류 및 해산물 대체식품

1.1

6.6

기타 단백질 대체식품 (두부 등)

116.0

4.3


단백질 대체 식품 수입 규모 및 동향


싱가포르의 단백질 대체 식품을 포함한 제품(HS코드 210610)의 2023년 총 수입액은 약 6000만 미국 달러로 전년 대비 수입액이 24.6% 증가했다. Global Trade Atlas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싱가포르의 해당 제품 주요 수입국(점유율)은 영국(57%), 미국(18%), 말레이시아(8%)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국과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각각 49%, 26%씩 증가했다. (HS코드 210610는 단백질 보충제 등 보조식품을 포함하며,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싱가포르 내 영국 제품 소비가 높다고 전했다.)

 

<싱가포르 단백질 대체 식품 수입 동향 (HS코드 210610 기준)>

(단위: US$ 천, %)

싱가포르 단백질 대체 식품 수입 동향 (HS코드 210610 기준


한편, 단백질 대체 식품은 세부 분류에 따라 HS코드 210690 (달리 명시되지 않은 기타 식품 조제품)의 경우, 싱가포르의 2023년 총 수입액은 약 7억 3000만 미국 달러이며 그 중 한국 수입액은 1,692만 달러로 총 13위를 차지했다.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가공육 제조사들은 대체육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에 맞춰 식물성 대체육 등을 개발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통조림 카레 치킨으로 잘 알려진 브랜드인 Amoy Canning의 Amocan은 2023년 9월에 식물성 단백질 기반 상온 보관 제품을 출시하였다. 해당 제품은 콩 단백질을 이용한 제품으로 바질을 곁들인 매콤한 다진 고기와 태국식 카레 치킨 등 맛을 구현했다. 또한, 23년 5월 남아프리카에 본사를 둔 치킨 체인점인 Nando's는 인도네시아의 식물성 단백질 브랜드인 Green Rebel과 협력하여, 싱가포르 내 식물성 대체육을 사용한 PERi-PERi를 출시하기도 하기도 했다.


<Amoy Canning사 식물성 대체육 가공식품 AMOCAN>


<Nando's PERi-PERi 제품>


대체육과 비건 식품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식당 내 메뉴나 밀키트 등 일부 제품 판매에서 그치지 않고 전문 판매점도 등장했다. 싱가포르의 대표주자로는 러브핸들(Love Handle)이 있다. Love Handle은 싱가포르 최초의 식물성 정육점이며 식물성 고기를 사용하는 버거 판매점으로 사업을 시작했으나 현재는 생고기, 양념육, ready-to-cook 형태의 간편식 제품뿐만 아니라 유제품 조미료 등 다양한 비건 및 식물성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엄격한 채식이 아닌 상황에 따라 유연한 채식을 하는 사람인 플랙시테리언(Flexitarian) 소비자층에게도 반응을 얻고 있다.


Love Handle 정육점 내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