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AI의 혁신적 영향, 인도 헬스테크 발전

  • 등록일2024-09-03
  • 조회수854
  • 분류산업동향 > 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AI의 혁신적 영향, 인도 헬스테크 발전


 

◈본문


■인도 의료 시장에서의 AI 성장


 인도 의료 시장은 AI 채택의 급증으로 202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40.6%를 기록하며, 시장 규모가 16억 달러(약 2조 1,77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나스콤(Nasscom)과 칸다르(Kantar)의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의 전체 의료 부문은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22.5%를 기록했으며, 2025년에는 그 규모가 6,500억 달러(약 878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AI가 인도의 의료 부문에서 제품, 서비스, 시장의 다양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확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인도는 공공 보건 지출 확대, 의료 인프라에 대한 정부 및 민간 투자를 비롯해 가정 의료 및 원격 의료와 같은 새로운 의료 부문의 성장이 요구된다.


 AI 기술은 진단 개선, 운영 간소화, 환자 관리 향상을 통해 인도 의료 시스템에 혁신을 일으킬 태세이다. 아치우타 고시(Achyuta Ghosh) 나스콤 인사이트(Nasscom Insights) 수석 이사 겸 책임자는 질병 발생 예측 분석에서부터 유전적 프로필에 맞춘 정밀 의학에 이르기까지, AI의 변혁적 잠재력을 강조했다. AI를 의료에 통합하면 의사 피로, 행정적 비효율성, 환자 참여 및 치료 지속성 개선 등 중요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 제공자는 진단 및 치료에서 더 높은 효율성과 정확성을 달성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인도 전역의 수백만 명의 환자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AI, 인도의 의료 격차 해소 가능성


 AI 기술은 약물 발견 및 개발, 임상 시험, AI 영상 및 진단 등 다양한 의료 응용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나스콤의 '보건의료 AI 채택 2023-2024년' 조사에따르면, 조사 대상인 의약품 및 생명과학 분야조직의 82%가 소규모로 AI를 채택했고, 2024년에는 AI를 확대할 계획이며, 12%는 이미 AI를 기능 프로세스에 통합했다. 메드테크(MedTech) 분야에서도 AI 도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68%가 AI 솔루션을 구현했지만, 대부분의 배포(92%)는 여전히 개념 증명(PoC, proof of concept)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발전은 의료 기업이 도전 과제를 극복하고 효율성을 달성하며 서비스 제공 속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인도의 의료격차를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고있다. 


 의료 분야에서 AI의 잠재력을 완전히 실현하기 위해, 인도는 강력한 AI 인프라, 숙련된 전문 인력 및 적응형 규제 프레임워크에 투자해야 한다.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안 및 윤리 지침을 보장하는 것은 공공의 신뢰를 유지하고 의료 분야의 혁신을 촉진하는 데 중요하다. 나스콤과 칸다르의 보고서는 인도 의료 분야에서 AI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 필수적인 다섯 가지 핵심 요소로 인프라, 기술, 계획 및 구현, 확장성, 규제 프레임워크를 강조하고 있다. 고성능 컴퓨팅 개발, 광대역 연결성 향상, 클라우드 플랫폼 촉진, 상호 운용 가능한 전자의무기록(EHR) 시스템의 표준화는 이러한 방향에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음성 AI와 전자의무기록(EHR) 통합 사례 


 음성 기반 AI와 전자의무기록(EHR)의 통합은 의사 피로와 행정 비효율성 같은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며 인도의 환자 치료에 혁신을 가져오고있다. 음성AI기술은 자동음성인식(ASR,AutomaticSpeechRecognition)과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를 활용하여 핸즈프리 문서화와 기존 시스템과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임상의가메모,관찰 및치료 계획을 시스템에 직접 지시할 수있게 하여 임상 효율성을 높이고, 이를 환자의 디지털 기록에 통합한다. 이 과정은 문서화 속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정확성과 접근성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더 나은 환자 결과를 도출한다. 


■IIT카라그푸르와 사티야사이병원의 AI기반 빈혈 진단 프로젝트 


 IIT카라그푸르(IITKharagpur)는 스리 사티야 사이산제바니 병원(Sri Sathya Sai Sanjeevani Hospitals)과 협력하여 모자 건강 개선을 목표로 AI 기반 빈혈 검진 이니셔티브를 시작했다. 이 획기적인 기술은 비침습적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머신러닝(ML) 알고리즘으로 헤모글로빈 수치를 추정하여 매우 정확한 주문형 진단 도구를 제공한다. 시범 단계에서는 마마트바(Mamatva) 센터 6곳에서 각각 10만 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빈혈 검진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 이니셔티브는 원격 지역에서 산전 관리를 개선하고, 현장 근로자에게 신뢰할 수 있는 진단 도구를 제공하여 빈곤층의 빈혈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 할 것 으로 기대된다. 


■SigTuple의 AI 기반 디지털 병리학 혁신


 벵갈루루에 기반을 둔 메드테크 스타트업 시그투플(SigTuple)은 AI와 로봇 공학을 활용해 수동 현미경 검토를 자동화하는 주력 제품 AI100으로 디지털 병리학 분야에서 큰 진전을 이루었다. 시그투플은 최근 SIDBI 벤처캐피탈이 주도한 연장 시리즈 C 펀딩 라운드에서 400만 달러(약 54억 원)를 확보하며, 2015년 창업 이후 총 펀딩 규모가 5,000만 달러(약 680억 원)에 이르렀다. 시그투플의 AI100은 인도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동남아시아, 중동, 북아프리카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510(k) 승인을 받아 유럽 및 미국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으며, 2024년 내에 두 개의 주요 신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진단 산업을 혁신하고, 질병 샘플의 현미경 검토를 완전히 자동화할 예정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