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KBIOIS Vol.73] 글로벌 비만 및 당뇨병 치료제 현황과 전망

  • 등록일2024-09-11
  • 조회수2152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글로벌 비만 및 당뇨병 치료제 현황과 전망

[KBIOIS Vol.73]

 


 

◈본문

 * 본 브리프는 Frost&Sullivan에서 발간한 「Growth Opportunities in Global Diabetes and Obesity Therapeutics, 2024-2028」 보고서의 일부 내용을 발췌하여 작성하였음. 

1. 글로벌 비만 및 당뇨병 치료제 R&D 파이프라인 현황 

① 비만 R&D 임상 파이프라인 현황 

● 비만 R&D 파이프라인 수는 2023년 총 121개(임상1상 49개, 임상2상 50개, 임상3상 22개)를 기록하였음. 

  • 비만 관련 R&D 파이프라인은 점진적으로 증가해왔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만 유병률 증가의 영향으로 2021년부터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냄. 

  • 2021년 이후에는 임상2상 후보물질의 성장률이 임상1상 후보물질보다 증가함. 이는 약물의 작용기전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되고 파이프라인 후기단계로 갈수록 제약사들의 투자가 증가한 영향임.

[Figure 1] Drug Development Trends by Obesity R&D Pipeline, Global, 2024

Drug Development Trends by Obesity R&D Pipeline, Global, 2024

* 한국바이오협회 그래프 재가공


② 당뇨병 R&D 임상 파이프라인 현황 

● 당뇨병 R&D 파이프라인 수는 2023년 총 333개(임상1상 134개, 임상2상 123개, 임상3상 76개)를 기록하였음. 

  • 대형 제약사의 연구개발 투자증가 및 표적 식별 개선 영향으로 2021년 이후 임상1상 후보물질의 성장률이 증가하였음. 

  • 연구자들은 단일 후보물질 연구를 통해 공동 당뇨병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트렌드를 보이고 있음. 예를 들어, 임상3상 잠재적 블록버스터인 CagriSema(Novo Nordisk)와 Orforglipron(Eli Lilly)은 T2D와 비만 모두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 중임. 

  • 기업은 다양한 대사장애 및 기타 질병 영역에 대해 단일 분자를 테스트하여 광범위한 대사 스펙트럼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Empros Pharma(스웨덴)는 이전에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치료를 위해 개발 중이었으며 현재 T2D 및 과체중, 비만 등 치료를 위해 개발 중인 Acarbose와 Orlistat의 고정용량 조합인 EMP-16(임상2상 시험)를 연구개발 중 

[Figure 2] Drug Development Trends by Diabetes R&D Pipeline, Global, 2024 

Drug Development Trends by Diabetes R&D Pipeline, Global, 2024

* 한국바이오협회 그래프 재가공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