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와 디지털헬스케어 스타트업의 혁신적 접근

  • 등록일2024-10-29
  • 조회수1074
  • 분류산업동향 > 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와 디지털헬스케어 스타트업의 혁신적 접근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28]

 

◈ 목차

  • 1.FOCUS |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와 디지털헬스케어 스타트업의 혁신적 접근

  • 2.의료서비스

  • 3.디지털헬스케어

  • 4.제약•︎의료기기•︎화장품

  • 5.고령친화산업

 

◈본문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와 디지털헬스케어 스타트업의 혁신적 접근 

청소년 정신건강의 현황 

전 세계 청소년의 정신건강 현황 

  • 미국에서는 매년 6세에서 17세 사이의 아동 중 약 6명 중 1명이 정신건강 장애를 경험하며, 전 세계적으로는 약 20%의 아동이 정신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 

  •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정신건강 장애로는 △불안 장애 △행동 장애(ADHD 포함) △우울증이 있으며, COVID-19 팬데믹은 이러한 기존의 문제들을 더욱 악화시킨 것으로 나타남 

  • 특히 우울증과 자살은 15~19세 사이 청소년의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WHO에 따르면, 이 시기의 정신건강 문제는 제대로 인식되지 않거나 치료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문제는 성인기까지 이어져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경제적 불평등 △사회적 배제 △폭력 △차별 등도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저소득 국가나 갈등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이 더 큰 위험에 처해 있음 


【주요 정신건강 문제】 

  • (1)정서적 장애(Emotional Disorders): 정서적 장애는 청소년기에 흔하며, 그중에서도 불안 장애가 가장 보편적임. 특히 10-14세 청소년의 3.6%, 15-19세 청소년의 4.6%가 불안 장애를 겪음. 우울증은 10-14세의 1.1%, 15-19세의 2.8%에서 발생하며, 불안 장애와 우울증은 급작스러운 기분 변화 등의 공통된 증상을 가짐 

  • (2)행동 장애(Behavioral Disorders):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이 대표적으로, 반항성 장애(Conduct Disorder)는 파괴적이거나 도전적인 행동을 포함하며 교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심각한 경우 범죄 행위로 이어질 수 있음 

  • (3)섭식 장애(Eating Disorder):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과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이 대표적으로, 식습관이 비정상적이고 음식과 체중, 체형에 대한 집착이 특징이며, 모든 정신 질환 중 가장 높은 사망률을 가짐 

  • (4)정신증(Psychosis): 환각이나 망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험은 청소년의 일상생활과 학업 참여에 큰 장애가 될 수 있음 

  • (5)자살과 자해(Suicide and Self-Harm): 청소년의 주요 사망 원인 중 네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알코올 남용 △아동기 학대 △의료서비스 접근성 부족 등이 있음 

  • (6)위험 행동(Risk-Taking Behaviors): 청소년기에는 위험 행동, 예를 들어 물질 남용이나 성적 위험 행동이 시작될 수 있음. 이는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비효과적인 대처 전략일 수 있으며, 정신적 및 신체적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7)폭력과 가담(Violence and Perpetration): 폭력 가담은 저학력, 부상, 범죄 가담 또는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음. 2019년 기준으로 15-19세 청소년 남성의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폭력이 지목됨


 청소년 정신건강분야의 디지털헬스 투자 동향 

  • 2020년 이후 정신 및 행동 건강분야가 디지털헬스 투자에서 가장 주목받는 분야가 되었으며, 2024년 2분기에는 7억 달러(한화 9,479억 원)가 투자되어 △심장학 △종양학 △비만관리 등 다른 분야에 비해 두 배 이상 많은 금액이 모금됨

  • 팬데믹 기간 동안인 2021년에 청소년 정신건강분야에 대한 투자금이 최고조에 달해 6억 9,100만 달러(한화 9,357억 원)에서 17억 달러(한화 2조 3,020억 원)로 두 배 이상 증가했으나, 그 후 2022년과 2023년에 각각 47%, 52%씩 감소해 4억 2,300만 달러(한화 5,728억 원)로 감소함

  • 2021년에서 2023년 사이 최소 200만 달러(한화 27억 원) 이상의 벤처 자금을 받은 기업 중 63%는 여러 정신건강 문제를 다루고, 24%는 ADHD,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 질환에 집중함

  • 특히, 2023년의 투자금 중 79%는 시드 단계(Seed Stage)*와 시리즈-A 단계(Series A Stage)**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는 청소년 정신건강분야에 많은 신규 스타트업이 진입하고 있음을 나타냄 
    * 스타트업이 초기 사업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자금을 모으는 단계 
    ** 스타트업이 제품을 시장에 출시하거나 확장하기 위한 자금을 모으는 단계



청소년이 가장 선호하는 헬스케어 도구 

  • 디지털헬스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시드펀드인 록 헬스(Rock Health)는 2024년에 청소년 정신건강을 위한 디지털 혁신을 모색하기 위해 △피보털(Pivotal), △피오레 벤처스(Fiore Ventures), △호프랩(Hope Lab), △아서 엠 블랭크 패밀리 파운데이션(Arthur M. Blank Family Foundation)과 협력하여 디지털 청소년 정신건강 이니셔티브(Digital Youth Mental Health Initiative)를 시작함 <관련 내용 보기> ▶디지털 청소년 정신건강 이니셔티브(Digital Youth Mental Health Initiative) 

  • 최근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영상 △전화 △문자 메시지 △건강 앱/웹사이트 가상의료 도구 중 18-24세 사이의 45%가 문자 메시지 기반 가상 의료 도구를 선호하는 반면, 25세 이상에서는 34% 만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은 문자 메시지 기반 가상의료 도구를 선호하는 경향을 알 수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