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기후 위기 대응과 연계한 바이오헬스산업 동향 및 시사점
- 등록일2024-10-30
- 조회수693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10-10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헬스#기후위기#첨단기술
기후 위기 대응과 연계한 바이오헬스산업 동향 및 시사점
[보건산업브리프 Vol. 413]
◈ 목차
I.서론
II.보건 의료 분야, 기후 위기 대응 국제 동향
III.첨단기술 적용
IV.기후 위기 대응 관련 국내 정책 동향
V.제언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
I. 서론
●기후 위기는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의 자연환경과 인간 사회에 심각하고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의미함. 이는 주로 사람의 활동, 특히 화석연료의 연소와 산림 파괴로 인해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이 원인이라고 할 수 있음.
●기후 위기의 주요 원인은 몇 가지로 정리될 수 있는데, 첫째는 온실가스 배출의 영향으로,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와 같은 온실가스의 배출이 있는데, 이러한 가스는 지구의 대기 중에 축적되어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를 유발함.
●둘째는 산림 파괴로, 산림 벌채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주요 수단인 나무를 제거하여 온실가스 농도를 증가시킴.
●의료기관이나 환자치료에 사용하는 의료기기 등, 보건산업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전 세계 온실가스 순 배출량의 약 5%(2기가톤 이상의 이산화탄소 상당량)에 해당하며,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임.
●한편, 기후변화의 영향은 나빠진 건강 문제로 더 많은 사람이 의료기관을 찾게 되는 악순환으로 연계됨. 특히, 24시간 운영되는 의료기관에서 환자들을 위한 치료에 사용되는 각종 전자장비나 기기 등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전체 보건 산업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70% 수준임.
●보건 의료 관련 탄소 배출량 대부분이 간접적이며, 재생 에너지 및 건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투자 등 탈탄소화에 조정을 둔 조치들은 문제 해결을 위한 일부 조치에 불과할 수 있음. 의료기관 차원의 폐기물 및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것 외에도,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지속 가능한 환자 돌봄 원칙-예방, 환자의 자가 치료 능력향상, 저탄소 대안 적용, 건강기후 연구, 필수 의료 제품 및 기술 개발, 기후 기반 건강 프로그램 등 종합적인 대응 방안이 필요함.
●2023년 6월, 코로나19 종식, 엔데믹 전환 및 기후 위기 확대와 함께, 전 세계 여러 정부는 자국의 보건 의료 안보를 확보하기 위한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정책들을 수립, 시행 중.
<표 1> 해외 바이오헬스산업 정책(예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