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중견기업 유형화 분석 및 성장전략 방안

  • 등록일2024-10-31
  • 조회수679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중견기업 유형화 분석 및 성장전략 방안

[이슈페이퍼 24-02]

 

◈ 목차

  • I.연구배경

  • II.국내 중견기업 주요 현황 및 특징
    1. 국내 중견기업 현황
    2. 중견기업 투자 방향 특징

  • III.국내외 중견기업 육성정책 및 특징
    1. 국내 중견기업 육성정책
    2. 해외 중견기업 육성정책 사례

  • IV.주요 분석대상 중견기업의 산업내 포지셔닝 및 유형화 분석
    1. 중견기업 성장요인 관련 선행연구
    2. 주요 분석대상 중견기업 현황 및 특징
    3. 주요 분석대상 중견기업의 산업내 포지션
    4. 주요 분석대상 중견기업의 유형화 및 특징

  • V.중견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육성 방향
    1. 중견기업 성장경로전략
    2. 지역 중견기업 간 협력 강화

  • VI.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본문

요 약 

  • 본 연구는 성장성・혁신성 등을 고려한 중견기업 성장사다리 전략과 성공 요인별 사례분석을 통해 정책 개선 방향 도출을 목적으로 함 

  • 중견기업은 산업・지역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으나, 기업 성장의 데스밸리를 거치면서 많은 기업들이 중소기업으로 회귀하는 현상 발생 

  • 중견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산업 및 지원 정책은 부족한 실정으로, 초기 중견(매출 3천억 원 미만) 육성 중심으로 정책이 추진되고 있어 중견에서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업군은 소외 


  • 중견기업의 다수는 매출액 3,000억 원 미만, 종사자수 100명 미만인 기업 이며, 규모가 큰 중견기업은 10% 미만에 불과 

  • 중견기업 수는 5,576개(2022년 기준)로 제조업은 1,980개(35.5%), 비제 조업은 3,596개(64.5%)를 차지하며, 비제조업 중견기업은 기업수에 비해 매출 규모는 제조업보다 낮은 수준 

  • 매출액 1,000억 원 미만 기업은 3,311개(59.4%), 5,000억 원 이상인 기업은 423개(7.6%)이며, 이 중 1조 원 이상 기업은 153개(2.7%) 


  • 전체 중견기업의 2/3는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으며, 수도권 증가 추세가 더욱 빨라 두 권역 간 격차는 확대 

  • 서울이 2,130개(38.9%), 경기 1,241개(22.7%)로 두 지역에 전체의 60%가 집적해 있으며, 비수도권 중에는 부산 285개(5.2%), 충남 253개(4.6%), 경남 250개(4.6%), 충북 202개(3.7%)로 경남권과 충청권에 다수 분포 

  • 중견기업 중 신사업을 추진 중인 기업은 전체의 25.4%이며, 제조업은 52.7%로 제조업의 절반은 신사업을 생존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관련 R&D와 설비투자를 확대 

  • 제조업 중견기업 중 R&D를 하는 기업은 전체의 68.4%를 차지하며, 대부분 자체 개발 위주로 추진하나 기술경쟁력과 전문인력이 부족한 상황 


  • 중견기업의 정의와 범위는 국가별로 상이하지만, 중견기업 규모에 준하는 기업육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 정부는 중견기업의 양적・질적 성장을 위해 제1차(2015년) 및 제2차(2020년) 중견기업 성장촉진 기본계획 등 중견기업 지원정책을 수립하여 중견기업 기술혁신과 경영여건, 인력양성 등을 위한 지원 정책 추진 

  • 해외에서도 독일과 프랑스, 영국, 일본, 대만 등은 중견기업의 기술혁신과 경영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가별로 직・간접적 지원은 차별화 

  • 매출액 5천억 원 이상의 ‘주요 분석대상 중견기업’은 산업내 포지셔닝에서 최상위에 위치하며, 이러한 특징은 수도권을 포함한 6대 권역별로도 동일한 양상 

  • 제조업, 비제조업 등 R&D투자가 높은 경우 매출액이 높아지는 경향이 더 뚜렷하며, R&D투자가 낮아도 매출액이 비교적 높은 기업도 다수 존재 

  • 수도권 및 비수도권 5개 권역에서 제조업(주력 제조업 포함) 분야 주요 분석 대상 중견기업은 매출액, R&D투자에서 최상위에 위치 

  • 주요 분석대상 중견기업 유형화를 위해 ‘성장역량’, ‘혁신역량’ 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혁신역량보다 성장역량이 양호하며, 혁신역량은 기업별 편차가 존재 

  • 유형① 내 기업간 성장역량・혁신역량 두 가지 모두 편차가 크고, 유형② 에서는 혁신역량의 편차가 크고, 유형③, ④에서는 성장역량・혁신역량 편차 가 적은 수준 
    - 유형① 41개, 유형② 82개, 유형③ 82개, 유형④ 287개 기업 
    * 4개의 유형(①고성장역량・고혁신역량 ②고성장역량・저혁신역량 ③저성장역량・고혁신역량 ④저성장역량・저혁신역량)으로 구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