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미국 의료기기 시장동향

  • 등록일2024-11-01
  • 조회수103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료기기
  • 자료발간일
    2024-10-16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미국#의료기기#수출#의료용기기

 

 

미국 의료기기 시장동향



◈본문

  • 2024년 미 의료기기 제조 시장 573억 달러 규모

  • 인구 고령화, 웰니스 인식 확산으로 의료기기 수요 증가

  • AI 기술 도입과 최소 침습 혹은 비침습적 치료가 대세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901890은 외과수술용 기기, 레이저 작동식 기기, 내시경, 경피전기신경자극기, 수의과용 기기, 피부과용 기기 등을 포함한다. 이번 해외시장뉴스에서는 미국의 전반적인 의료 기기 시장에 대해 다룬다.


시장 규모 및 동향

시장조사 기관 IBIS월드에 따르면 2024년 미국 의료기기 제조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5.7% 증가한 573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의 인구 고령화 진행의 가속화와 은퇴 연령인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이전 세대보다 웰니스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보이는 점 등은 의료용 기기의 수요로 이어지고 있다. 스스로 건강을 돌보는 부머 세대는 가정 내에서 당뇨나 심장 관련 질환, 그 외 만성 질환 등을 직접 관리하는 데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의료 기술의 발달로 수명이 늘고, 미국도 출생률이 낮아지고 있어 고령 인구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의료용 기기 시장도 동반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퓨리서치센터가 센서스국의 데이터를 분석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현재 미국 내 65세 이상 연령의 인구는 62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8%에 달하며, 이 수치는 오는 2054년까지 23%(84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100세 이상의 초고령 인구 비율도 같은 기간 0.2%에서 0.5%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54년 미국 100세 이상 인구수 예측치>

(단위: 1000)

[자료: U.S. Census Bureau, Pew Research Center]

이밖에 미국 국민의 건강보험 가입률이 오르고, 연방정부와 지방정부도 헬스케어 펀드 지원을 늘리고 있는 것도 동 시장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 의료기기 제조 시장에서 품목별 비중은 심혈관 기기가 28.7%(165억 달러)로 가장 높았고, 신경계 관련 질환 기기는 22.9%(131억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수술용 기기와 조사 장치는 각각 20.4%(117억 달러) 17.8%(102억 달러) 3위와 4위를 기록했다. 보청기는 3.6%(21억 달러)를 기록했다.

 

최근 3년 수입 동향 및 대한국 수입규모

 

지난해 미국의 의료기기의 수입액은 1925391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5.8% 증가했다. 인구 고령화와 웰니스에 대한 미국인의 인식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인 의료 수요가 증가한 것이 의료기기 수입 수요를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의 의료용 기기 제품의 수요 증가로 1~10위 수입국 중 멕시코, 코스타리카는 두 자릿수 수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미국의 의료기기 제품 최대 수입국은 멕시코로 전년 대비 35.3% 증가한 73913만 달러 규모를 미국에 수출했다. 이는 전체 수입 시장의 38%에 달하는 수치다. 2위는 독일이 차지했다. 독일의 대미 수출 규모는 185032만 달러로 9.2% 증가했으며, 수입 시장 점유율은 9.6%로 나타났다. 코스타리카는 184089만 달러로 독일의 뒤를 이었다. 2022년 미국의 4대 의료용 기기 수입국이었던 중국은 지난해 92409만 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수출액이 18.6% 감소해 수출국 중 순위도 두 계단 밀렸다. 중국의 대중 견제 정책 등의 영향이 그 요인으로 보인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수출은 전년보다 9.5% 증가한 14042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체 수입 시장 성장세에 못 미치는 성장률로 수입 시장 점유율은 전년 대비 0.1%p 감소한 0.7%였다. 수입국 순위도 2022 17위에서 2023 19위로 두 계단 하락했다.

 

<미국의 의료 기기 수입 현황(HS Code 9018.90 기준)>

(단위: US$ , %)

순위

국가명

수입액

비중

‘22~’23 증감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


전체

15,008,875

16,631,061

19,253,915

100.0

100.0

100.0

15.8

1

멕시코

4,870,755

5,402,675

7,309,134

32.5

32.5

38.0

35.3

2

독일

1,623,420

1,686,158

1,850,318

10.8

10.1

9.6

9.7

3

코스타리카

1,252,012

1,496,592

1,840,893

8.3

9.0

9.6

23.0

4

아일랜드

1,243,502

1,090,692

1,162,684

8.3

6.6

6.0

6.6

5

도미니카공화국

769,135

905,348

976,455

5.1

5.4

5.1

7.9

6

중국

927,329

1,135,335

924,091

6.2

6.8

4.8

-18.6

7

이스라엘

418,811

541,545

564,833

2.8

3.3

2.9

4.3

8

캐나다

521,035

701,468

525,290

3.5

4.2

2.7

-25.1

9

스위스

528,145

475,253

504,943

3.5

2.9

2.6

6.3

10

일본

334,059

333,688

453,018

2.2

2.0

2.4

35.8

19

대한민국

87,422

128,189

140,419

0.6

0.8

0.7

9.5

[자료: U.S. Department of Commerce, Bureau of Census, World Trade Atlas]

 

경쟁동향

 

IBIS월드에 따르면 미 의료기기 제조 시장은 메드트로닉(Medtronics), 애보트 라보라토리(Abbott Laboratories), 제너럴 일렉트릭 컴퍼니(General Electric Company), 다나허 코포레이션(Danaher Corporation), 보스턴 사이언티픽 코포레이션(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5개 기업이 전체 시장의 72.7%를 차지하고 있다.

 

미 최대 의료기기 제조사인 메드트로닉은 인공지능(AI)을 도입한 기기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AI를 통해 헬스케어 종사자들이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데이터를 분석하고, 환자 개인의 니즈에 맞게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메드트로닉은 최근 AI솔루션인 GI 지니어스를 시장에 선보였고, 세계 최초로 AI 기능을 탑재한 내시경 기기를 시장에 내놨다. GI 지니어스는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대장 내 용종을 찾아내어 의사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메드트로닉은 또 활발한 AI 기업 인수합병을 통해 자사의 포트폴리오 강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메드트로닉의 GI 지니어스 탑재 대장내시경 사용 영상 갈무리>

 

[자료: medtronic.com]

 

애보트 라보라토리는 당뇨병 관리 부문에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2022년에는 무연 심박조율기에 대한 환자 임상 시험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무연 심박조율기는 최소 침습적이며, 일반적으로 기존 심박조율기보다 합병증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주요 의료기기 제조사들은 AI 기술을 활용해 더욱 정밀하고, 환자 개개인에게 맞는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며, 최소 침습 혹은 비침습적 방식의 의료기기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