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카자흐스탄 의료기기 시장 동향

  • 등록일2024-11-15
  • 조회수67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료기기
  • 자료발간일
    2024-10-30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카자흐스탄#의료기기#알마티#산부인과용기기

 

 

카자흐스탄 의료기기 시장 동향

 


◈본문

  • 카자흐스탄의 성장하는 의료기기 시장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9018.90은 기타 의료기기 및 기구로 ‘임신진단기, 외과수술용 기기, 레이저 작동식 기기, 산부인과용 기기, 내시경, 인공신장기, 경피전기신경자극기, 수의과용 기기, 피부과용 기기’ 등을 포함한다.


시장 동향

카자흐스탄의 의료기기 시장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13.23%의 성장률을 보이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의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22년에 5억 7905만 달러, 2023년에는 6억 7184만 달러였으며, 2024년에는 7억 6716만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4~2030 보건 인프라 개발 개념’이 정부령으로 채택되는 등 국민 건강 증진 및 보건 의료 산업 발전에 대한 카자흐스탄 정부의 관심 또한 점점 높아지고 있다.

<카자흐스탄 의료기기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454.99

478.02

501.06

521.94

462.83

492.28

579.05

625.45

767.16

812.58

(주: 2024~2025년 자료는 예상치)

[자료: Statista]


특히 인구 증가와 여성의 소득 수준 개선에 따른 정말 의료 서비스 수요 발생으로 산부인과용 기기 시장의 성장이 기대된다. 2023년 기준 카자흐스탄의 합계 출산율은 2.96명으로 전 세계 평균인 2.42보다 더 높은 수치이다. 0-14세 인구 비율이 30%에 달하고, 30세 이하 인구 비율이 29.7%에 달하는 인구구조의 특성상 산부인과용 기기 시장의 높은 성장 잠재력을 점쳐볼 수 있다.


<카자흐스탄 최근 5개년 인구 및 합계 출산율>

(단위: 명)

연도

인구

합계 출산율

2019

18,570,300

2.90

2020

18,631,779

3.13

2021

18,879,552

3.32

2022

19,503,159

3.05

2023

19,766,807

2.96

[자료: 카자흐스탄 통계청]

 

의료기기 수입 동향

카자흐스탄의 의료기기(HS CODE 9018.90)의 수입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카자흐스탄으로 의료기기를 가장 많이 수출한 국가는 중국이었으며 그 뒤를 이어 미국, 일본, 독일, 러시아가 높은 수출액을 보였다.


<카자흐스탄의 의료기기(HS CODE 9018.90) 수입 통계>

(단위: US$ 천)

연번

국가

2019

2020

2021

2022

2023

-

전 세계

99,451

116,323

126,272

126,834

173,882

1

독일

30,396

39,776

32,076

28,929

45,599

2

중국

13,820

18,607

18,763

24,213

27,801

3

미국

10,164

9,900

14,246

18,843

27,324

4

일본

9,854

13,464

24,664

13,144

21,774

5

러시아

-

-

-

6,645

5,168

6

대한민국

2,501

2,478

3,877

3,609

4,500

7

프랑스

7,757

2,129

1,605

2,097

4,131

8

리투아니아

1,230

3,584

2,745

1,154

2,725

9

터키

635

662

401

1,334

2,695

10

스위스

2,357

1,881

1,449

1,355

2,586

[자료: Global Trade Atlas(2024.10.11)]


한국산 의료기기의 카자흐스탄 수출은 러시아의 뒤를 이어 6위를 기록했다. 카자흐스탄 의료기기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은 그 성능을 인정 받아 높은 수요가 있으며, 특히 진단 및 치료용 기기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2023년 한국의 대카자흐스탄 의료기기 수출액은 450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24.7% 증가했다.

 

카자흐스탄 정부의 의료 정책

카자흐스탄 보건부는 사회 건강 보험 기금 및 의료 시스템 전반을 감독하고, 의료 서비스 품질과 접근성 개선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2021년에는 ‘국민 건강과 의료 시스템에 관한 코드’를 개정하며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법적 프레임워크를 마련했다. 동 법안은 보편적 의료 접근성을 보장하고, 의료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예방 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여러 정책의 토대가 되었다. 또한 2027년까지 GDP의 5%를 의료에 투자하는 목표를 세우고, 병원 설립 및 개보수와 첨단 의료 장비 도입을 통해 의료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다.


주요 실행 정책

내용

의무 건강 보험제도

(Mandatory Health Insurance)

2017년 도입된 의무 건강 보험 제도로 정부, 고용주, 근로자가 공동으로 기금을 마련하여 의료 비용을 분담. 국민이 경제적 부담 없이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

-의무 보험료 납부: 고용주는 직원 급여의 3%를 고용주세(의료세)로 납부, 근로자는 자기 급여의 2%를 의료세로 의무 납부하며 프리랜서(또는 자영업자는 소득의 5%를 의료세로 납부). 취약 계층(장애인, 노인, 어린이, 임산부)의 경우 국가에서 보험료를 대납

-보험 혜택 적용 확대: 전문 진료, 입원 치료, 응급 치료 등 다양한 의료 서비스에 대한 보험 적용이 가능하며, 공공 병원뿐만 아니라 보험 시스템에 등록된 사립 병원에서도 보험 혜택 적용 가능

디지털 헬스케어 도입

의료서비스와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을 위해 디지털 헬스케어를 핵심 요소로 도입하고, 플랫폼 개발, 최신 기기 도입, 국제 협력 및 해외 투자 유치를 비롯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추진

-전자 건강 기록(EMR) 시스템 도입 : 환자 정보와 기록을 디지털화, 의료 데이터 통합 관리 및 중복 진료를 방지하여 의료수당 부정 수급을 방지

-원격 진료 서비스 강화 : 원격 진단 및 모니터링 장비를 통해 농촌지역의 의료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고 비대면 상담 및 진료를 지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