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호주 의료기기 시장동향
- 등록일2024-12-02
- 조회수40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료기기
-
자료발간일
2024-11-18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기기#TGA인증#의료소모품#환자보조기구#진단영상기기
호주 의료기기 시장동향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에 따른 의료기기의 지속적인 수요 확대
■호주 시장의 높은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 품질 경쟁력과 기술 혁신 필요
■TGA 인증과 현지화 전략을 통한 한국 기업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 기회
HS Code 및 관세율
HS Code 9018, 9019, 9021, 9022에 해당하는 의료기기의 경우, 수입 시 기본세율 및 RCEP 협정세율, 한-호 FTA 세율 모두 0%로 적용돼 무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품목 및 HS Code>
품목 | HS Code |
의료용 기기 | 9018 |
기계요법용 기기 | 9019 |
정형외과용 기기 | 9021 |
방사선 기기 | 9022 |
호주 의료기기 시장 규모
호주는 중국, 일본에 이어 아대양주 지역에서 세 번째로 큰 의료기기 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 규모와 성장 잠재력 모두 긍정적인 전망을 보이고 있다. 의료기기 산업은 호주의 경제적 기반과 높은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기반으로 발전하고 있고, 특히 인구 고령화와 만성 질환의 확산으로 인해 의료 지출이 증가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BMI Research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8년까지 호주의 의료기기 시장은 연평균 6%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8년에는 시장규모가 91억(125억 호주 달러)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2023년 기준으로 환자 보조 기구의 시장 규모는 10억960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17.6%를 차지했다. 정형외과 및 보철학 시장 역시 비슷한 규모인 10억920만 달러를 기록했다. 또한, 의료 소모품의 시장규모는 각각 8억9000만 달러로 지난해 대비 2.1% 성장했고, 진단영상기기의 시장규모는 8억4000만 달러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2018~2028년 호주 의료기기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
[자료: BMI Research]
<호주 의료기기 품목별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구분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소모품 | 739 | 709 | 740 | 886 | 869 | 887 | 951 | 1033 | 1138 | 1210 | 1287 |
진단 영상 | 670 | 679 | 698 | 799 | 839 | 839 | 884 | 954 | 1052 | 1119 | 1190 |
치과 제품 | 270 | 273 | 266 | 329 | 326 | 309 | 340 | 370 | 409 | 435 | 464 |
정형외과 및 보철학 | 977 | 883 | 872 | 1,023 | 1,003 | 1,092 | 1,108 | 1,209 | 1,338 | 1,428 | 1,523 |
환자 보조기구 | 831 | 819 | 1,023 | 1,118 | 1,153 | 1,096 | 1,236 | 1,353 | 1,504 | 1,613 | 1,730 |
기타 의료기구 | 1,755 | 1,703 | 1,687 | 1,891 | 1,807 | 1,992 | 2,118 | 2,305 | 2,543 | 2,718 | 2,891 |
합계 | 5,241 | 5,065 | 5,287 | 6,047 | 5,997 | 6,216 | 6,638 | 7,224 | 7,984 | 8,523 | 9,084 |
* 주: 2024~2028년은 추정치 [자료: BMI Research] |
품목별 시장 동향
① 의료 소모품
호주 의료기기 시장의 주요 성장 동력 중 하나는 인구 고령화로 인한 만성 질환의 증가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술 및 입원 치료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당뇨병, 만성 염증성 질환, 외상성 상처와 같은 의료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 소모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이고, 제품 대부분은 미국, 중국, 유럽 등에서 수입되고 있다. 주요 제품군으로는 붕대, 드레싱, 수술 재료, 주사기 등이 있으며, 환자 편의성에 초점을 맞춘 맞춤형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다.
<2018~2028년 호주 의료 소모품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
[자료: BMI Research]
② 환자 보조기구
환자 보조기구 시장은 경제 성장과 보건 의료 기금의 증가에 힘입어 의료기기 분야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제품으로는 청력 보조기구, 심장 박동기 및 스텐트와 같은 휴대용 보조기기, 기계 치료기기 등이 있고, 아대양주 지역에서 1인당 지출이 가장 높은 수준에 있다. 특히 청력 보조기기는 혁신적인 기술 발전과 미적으로도 디자인이 우수한 제품들이 개발되면서, 시장 수요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도 증가하고 있고, 조기 진단이 가능해짐에 따라 호흡기 보조 기기의 수요도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
<2018~2028년 호주 환자 보조기구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
[자료: BMI Research]
③ 진단 영상 기기
호주는 심혈관 질환, 암, 뇌졸중 및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중추신경계 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짐에 따라 MRI, PET, CT등과 같은 고급 진단 영상 장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CT스캐너가 강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원격 진료 및 영상 유도 수술의 활용 확대와 같은 기술이 도입되면서 시장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진단 영상 기기 시장은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주요 수입국은 미국, 중국, 독일이다.
<2018~2028년 호주 진단 영상 기기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
[자료: BMI Research]
④ 정형외과 및 보철학
정형외과 및 보철학의 주요 제품군으로는 인공 관절, 고정 장치, 기타 인공 신체 부품 등이 있다. 이 시장은 고령화와 운동 및 활동적인 생활 방식을 추구하는 노년층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2028년까지 연평균 5%로 시장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고정 장치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로 미국과 아일랜드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3D프린팅을 통한 맞춤형 인공 관절 제조와 같은 기술 발전을 통해 시장 성장이 촉진될 전망이다.
<2018~2028년 호주 정형외과 및 보철학 의료 기기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
[자료: BMI Research]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