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연구현장 실험용 시약 시장현황 및 시사점
- 등록일2024-12-05
- 조회수64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자원
-
자료발간일
2024-11-25
-
출처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실험용시약#연구데이터신회성#글로벌시장성장#고부가가치제품개발
연구현장 실험용 시약 시장현황 및 시사점
[연구산업 이슈페이퍼] (2024-06, 통권18호)
◈ 목차
I.연구의 배경 및 목적
II.실험용 시약의 정의 및 특성
III.국내·외 실험용 시약 시장분석
IV.국내 실험용 시약업체 현황
V.시사점
VI.참고문헌
VII.연구산업 이슈페이퍼 발간 목록
◈본문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실험용 시약과 연구현장에서의 필수성
■실험용 시약은 연구 및 실험 과정에서 필수적인 고순도 화학 및 생화학적 물질로, 연구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보장함
- 생명과학, 환경 분석, 제약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이며, 실험 데이터의 재현성을 높이는 데 주요 역할을 수행
- 고품질 시약은 ISO 6353, ASTM D1193 등 국제 표준을 준수하며, R&D 성과 창출에 기여
- 특히, 데이터 신뢰성과 정밀도를 요구하는 생명과학 및 의료 분야에서, PCR 시약, DNA/RNA 추출 시약 등 진단 및 분석용 고부가가치 시약이 국제 경쟁력 확보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음
◆글로벌 및 국내 실험용 시약 시장의 성장배경
■글로벌 실험용 시약 시장은 2022년 약 326억 달러 규모에서 2029년 499억 달러로, 연평균 성장률 6.2%를 기록하며 꾸준히 확장되고 있음
- COVID-19 팬데믹 이후 유전체 연구, 신약 개발, 환경 보호 연구 등에서 시약 수요가 급증하며, Merck 및 Thermo Fisher Scientific 등 주요 기업이 시장을 주도 중
- 생화학적 시약과 분자 생물학 시약의 빠른 성장세는 정밀 의료 및 맞춤형 진단의 확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국내 실험용 시약 시장은 2022년 약 5억 4,310만 달러에서 2030년 약 9억 3,290만 달러로 연평균 7.0% 성장할것으로 전망됨
- 바이오산업 및 제약 연구의 활성화로 고품질 시약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 추세임
- 대정화금, 삼전순약공업, 덕산약품공업 등 주요 기업으로 매출이 편중되는 중심 구조에서 자생할 수 있는 기술력강화와 연구지원 정책 확대가 필요함
◆국내 실험용 시약 산업의 도전 과제
■중소기업 중심 산업구조와 자본·기술의 한계
- 국내 실험용 시약 산업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약 80%를 차지하고 있어, 자본력과 기술력에서 대기업 대비 제한이 있음
- 대규모 R&D 투자와 품질 관리 인프라 구축에 어려움이 있으며, 국내 기업들이 고부가가치 시약을 개발하는 데 한계가 존재함
- 주요 기업인 대정화금, 삼전순약공업 등이 R&D 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나, 전체 산업 구조의 성장에는 한계가 있음■기술혁신 및 품질 관리 강화 필요성
- 국내 시약 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혁신 기술 도입, 그리고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품질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특히 연구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고품질 시약 생산은 과학적 성과 창출의 중요한 요소이므로 기술 개발과 품질 관리 역량 강화가 필요함■정부의 지원 필요성과 정책적 방향성
- 국내 연구 재료의 자급화와 연구 성과의 질적 향상을 위해, 고부가가치가 있는 전문 연구용 시약 개발에 대한 지원이 중요함
- 고품질의 전문 연구용 시약 개발은 연구 재료의 국산화를 촉진하고, 수입 의존도를 낮추며, 국내외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그림 1> 연구 추진 방법 및 절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