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차세대 첨단산업 핵심 제조장비 개발 로드맵
- 등록일2024-12-16
- 조회수66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장비
-
자료발간일
2024-11-29
-
출처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첨단제조기술#산업용펌프#건설기계SDM플랫폼#CNC제어기술
차세대 첨단산업 핵심 제조장비 개발 로드맵
[KEIT 이슈픽 2024-11월호]
(산업성장동력:첨단기계/장비 기술동향)
◈ 목차
차세대 첨단산업 핵심제조장비 개발 로드맵
산업용 펌프 기술개발동향 및 우수성과 소개
건설기계의 SDM(Software-Defined Machine) 플랫폼 기술동향
스마트 제조장비용 제어기(CNC) 기술
〔특집〕 Science Fiction - 큐브의 계획
◈본문
심창섭 첨단장비 PD | KEIT 기계로봇장비실
이운규 책임 | 한국기계연구원 제조장비정책기획단
요약
▪︎제조장비는 제조업 경쟁력의 근간으로서 미·중 갈등 상황에서 반도체장비 수출을 통제하고 전략 무기화 경향까지 나타나는 가운데 산업 안보 시각에서의 접근이 필요한 중요 분야이다. 정부는 제조장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3년 전에 신산업 제조장비 개발 로드맵을 수립한 바 있으며, 본고에서는 이를 확대·개편하여 6대 첨단산업을 대상으로 수립한 차세대 제조장비 개발 로드맵을 소개하고자 한다.
▪︎제조장비 전문 연구기관의 정책연구 용역 수행을 통해 다수의 산학연관 전문가가 참여한 하향식 기반의 전략적 로드맵 기획이 이루어졌으며, 6대 첨단산업의 핵심 제조장비 65개와 제조장비 경쟁력의 기반이 되는 공통 핵심기술 8개를 도출하여 로드맵을 수립하였다.
▪︎수립한 로드맵이 계획으로만 그치지 않고 적극적인 정부 R&D 예산 지원과 산학연관 전문가가 참여하는 체계적인 이행 점검을 통해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 강화에 실질적인 효과가 나타나기를 바란다.
1. 개요
▪︎IRA(미), 「유럽원자재법」(EU), 중국 리스크 등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신질서, 기술 블록화, 내수 활력 약화로 제조업 공동화 우려가 심화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등의 핵심·첨단 제조업의 이탈은 경제 안보 차원에서 중요한 이슈다.
▪︎제조장비는 제품의 품질, 부가가치, 생산성을 결정하는 제조업 경쟁력의 근간이며, 해외에 의존할 경우 제조 공정 데이터, 제조 시스템 운영, 가치사슬 간 연계 등 산업 안보적 측면에서 많은 우려가 발생한다. 또 미·중 갈등에 따른 반도체장비 수출 통제처럼 전략 무기화 상황이 현실화되고 있다.
▪︎정부는 제조장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제1차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 기본계획’(2020.10.)을 구상했다. 이를 통해 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바이오, 나노 기반 4개 분야 31개 장비에 대한 중장기 개발 로드맵인 ‘신산업 제조장비 개발 로드맵’을 수립(2021.11.)한 바 있다.
▪︎본고에서는 제조장비의 수요산업을 기존 Big 3+나노 기반에서 6대 첨단산업(반도체, 미래차,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바이오, 로봇)으로 확장하여 차세대 첨단산업을 대비하도록 하고, 제조장비 경쟁력의 기반이 되는 공통 핵심기술 발굴을 포함하여 차세대 첨단산업을 위한 제조장비 개발 로드맵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로드맵 수립의 방향 및 프로세스
▪︎기본 방향
기존 신산업 제조장비 로드맵 이행 현황을 검토하여 핵심 장비가 연계되도록 하고, 6대 첨단산업 제조장비와 공통 핵심기술로 로드맵 수립 범위를 확장했다. 산업대전환 초격차 프로젝트, 첨단산업 전략, 로봇 전략 등 정부의 정책·전략에 부합하는 핵심 장비를 우선 발굴하였으며, 기존 로드맵과 달리 전문가 의견에 기반한 top-down 방식을 채택하여 로드맵의 전략성을 극대화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