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23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 등록일2024-12-31
  • 조회수2407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2023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 목차

I. 조사 개요 

  1. 조사 개요 

  2. 조사의 배경 및 목적 

  3. 조사 방법 

  4. 조사 내용 

  5. 용어 해설 

  [통계 이용상 유의사항] 

II. 조사 결과 

  1. 바이오산업체 일반 현황 

     가. 바이오산업체의 소재지별 분포 

     나. 바이오산업체의 종사자 규모별 분포 

     다. 바이오산업체의 타 사업체 유무별 분포 

     라. 바이오산업체의 재무상태 분석 

     마. 바이오산업체의 바이오분야 매출발생 유형 

  2. 바이오산업 인력 현황 

     가. 2023년 바이오산업 인력 현황 

     나. 최근 인력 변화 추이 

  3. 바이오산업 투자 현황 

     가. 2023년 바이오산업 투자 현황 

     나. 최근 투자 변화 추이 

  4. 타 기관과의 협력관계

     가. 협력관계 형태 

     나. 협력관계 단계 

     다. 협력관계 기관 

5. 바이오산업 수급 현황 

     가. 2023년 바이오산업 수급 현황 

     나. 최근 수급 변화 추이 

  6. 바이오산업 국내판매 현황 

     가. 2023년 국내판매 현황 

     나. 최근 국내판매 변화 추이 

  7. 바이오산업 수출 현황 

     가. 2023년 수출 현황 

     나. 최근 수출 변화 추이 

  8. 바이오산업 수입 현황 

     가. 2023년 수입 현황 

     나. 최근 수입 변화 추이 

III. 통계표 

부록1. 분류체계 해설 

부록2. 조사 설문지 

 

◈본문

  • 1.조사개요

작성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융합산업과(www.motie.go.kr)

○ 통계작성 한국바이오협회(www.koreabio.org)

통계의 종류 및 승인번호

○ 통계의 종류 일반조사통계

○ 승 인 번 호 115015

○ 승 인 일 자 : 2003년 10월 30

조사대상 기간

○ 조사기준 시점 : 2023년 12월 31일 기준

○ 조사대상 기간 : 2023년 1월 1일 ~ 2023년 12월 31

○ 조사실시 기간 : 2024년 5월 28일 ~ 2024년 9월 30

조사범위

○ 국내 생명공학기술을 기반으로 바이오산업의 범위와 정의 등을 표준으로 ·개정한 바이오산업 분류코드(KS J 1009,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2008년 1월 제정 / 2016년 12월 29일 개정)’에 근거해 하기 생명공학기술관련 활동에 종사한 국내 기업체

연구개발단계의 주요기술로 생명공학기술 이용

생명공학기술을 제조생산서비스(연구개발서비스 포함)과정에 이용

연구개발단계나 생산과정 중 생명공학적 과정에 이용되는 기계장비 또는 플랜트 생산

위의 제품을 해당국가에서 직접 수입

※ 위의 활동으로 매출이 발생한 기업뿐 아니라 연구개발을 추진 중인 기업 역시 조사범위에 포함

조사대상

○ 1차 선정 : 2022년 기준 조사 기업

○ 2차 선정 신규기업 발굴

1단계 바이오산업 분류코드(KS J 1009) 연계 한국표준산업분류 (KSIC) 지정 및 해당기업 추출

2단계 바이오산업 분류코드(KS J 1009) 기반 바이오분야 주요 키워드 선별 및 기업의 사업목적취급 품목 및 서비스명보유 연구소명 등을 기반으로 바이오분야 주요 키워드 포함여부 확인

· 바이오 관련 최신동향 및 전년도(‘22모집단 기업정보 통한 키워드 선별 및 확정

· 확정 키워드 기준으로 1단계 추출 기업의 사업목적취급품목 및 서비스연구소기업특허명 등 연계하여 기업정보 추출


<항목별 연계 키워드>

사업목적

취급품목

및 서비스

연구소명

기업명

특허


아미노산

염기서열

생명정보

항원/항체

임상/비임상



단백질

DNA

조직

생분해성

치료제



신약

소재

발효

세포

재생



바이오

제약

생명

헬스케어

미생물



아미노산

염색체

성장인자

펩타이드

리포좀


· 추출 기업의 BT기반 연구개발 및 생산여부 등 검토하여 신규 조사모집단 포함

 

조사단위

○ 기업가의 지배하에 집합된 자본설비 또는 원자재 등을 구입하고 구입한 원자재를 생산과정을 통하여 가치를 부가시킨 후시장에서 제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기업체를 조사단위로 함.

○ 공기업(국영기업공영기업), 공사합동기업사기업(개인기업집단기업합명회사합자회사익명회사유한회사주식회사협동조합등이 포함됨.

○ 사업체가 2개 이상일 경우 산하 사업체의 실적을 합산하였으며총 산업 활동 중 바이오산업 실적을 기준으로 응답받음.

조사 방법 및 조사 체계

○ 조사방법 우편조사팩스조사, e-mail조사전화조사면접조사

○ 조사체계 조사원 → 조사업체 → 한국바이오협회 → 산업통상자원부

결과 공표

○ 공표주기 매년 1

○ 공표방법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발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