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바이오산업 매출 및 국내시장 현황과 전망

  • 등록일2025-01-09
  • 조회수3263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바이오산업 매출 및 국내시장 현황과 전망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심층분석 9호]

 

◈본문


1. 들어가며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산업 매출 규모는 2019년 12조 6,586억원에서 2023년 20조 7,546억원으로 연평균 13.2% 성장하였고 국내시장 규모는 2019년 8조 1,836억원에서 2023년 12조 4,104억원으로 연평균 11%의 성장률을 나타내며 최근 5년간 매출 및 국내시장 모두 높은 증가세를 기록하였다. 이는 2020년부터 전세계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코로나19 백신의 위탁생산(CMO) 확대 및 코로나19 진단키트의 수출 증대 등에 기인하며 2023년 코로나19 엔데믹 전환에 따라 관련 품목의 수출이 급감하였으나 바이오산업 주력품목인 바이오시밀러 및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등의 매출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바이오산업이 전반적으로 성장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1] 최근 5년간(‘19~’23) 주력 바이오산업분야별 매출 변화 추이

(단위: 억원)



BT 기반 국내 바이오경제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인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국가승인통계, 제115015호)」를 통하여 최근 5년간(‘19~’23)의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산업의 매출 및 국내시장 현황을 8개 바이오분야별(대분류 기준, 의약·화학및에너지·식품·환경·의료기기·장비및기기·자원·서비스) 및 17개 지역별(서울·부산·인천·대구·광주·대전·울산·세종·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5개 응용분야별(Red·White·Green·장비및기기·Service)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5년간(‘24~’28)의 산업 전망을 예측하였다. 본 보고서에 수록한 통계표의 모든 통계 수치는 단위를 억원으로 통일하면서 반올림 상의 차이로 인해 세부항목 간의 합과 전체 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2.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개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바이오협회는 국내 바이오산업의 전반적인 현황 파악 및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관련 육성정책 수립과 경제 분석·국제 비교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생명공학기술 관련 활동에 종사하는 국내 기업체* 대상으로 매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국가승인통계, 제115015호)」를 실시하고 있다.


* 생명공학기술 관련 활동에 종사하는 국내 기업체

    · 연구개발단계의 주요기술로 생명공학기술 이용

    · 생명공학기술을 제조, 생산, 서비스(연구개발서비스 포함) 과정에 이용

    · 연구개발단계나 생산과정 중 생명공학적 과정에 이용되는 기계, 장비 또는 플랜트 생산

    · 위의 제품을 해당국가에서 직접 수입

※ 위의 활동으로 매출이 발생한 기업뿐만 아니라 연구개발 추진 중인 기업 역시 포함


동 조사는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바이오산업의 범위와 정의 등을 표준으로 제·개정한 「바이오산업 분류코드(KS J 1009)」를 적용하고 있으며, 현재 의약·화학및에너지·식품·환경·의료기기·장비및기기·자원·서비스 등 8개 대분류와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한 제품·서비스 유형의 51개 중분류 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표 1] [KS J 1009] 바이오산업 분류코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