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25 제약바이오 산업 전망

  • 등록일2025-01-10
  • 조회수912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4-12-23
  • 출처
    한국제약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2025#제약#바이오#전망
  • 첨부파일

 

 

2025 제약바이오 산업 전망

[2025년에도 주목받는 AI · CDMO]

 

 

◈본문


2025 제약바이오 산업 전망(P.19~P.23, p.33)




(1) 바이오의약품 중심의 시장 확대, CDMO 성장기회


-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대사질환 치료제 등이 주목받으며 성장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바이오의약품 비중 확대로 CDMO시장 또한 동반 성장할 것으로 전망. 이에 따라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수혜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됨.


- 글로벌 의약품 치료 분야별 기준, 종양학 분야가 시장 성장을 견인


- 글로벌 제약산업에서 바이오의약품 수요 증가에 따라 CDMO 시장규모도 확대되는 추세


- 바이오의약품 CDMO시장 성장세에 따라 수주 확대가 예상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수혜 기대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5년 4월부터 5공장을 가동할 예정이며 32년까지 132만 리터 이상의 생산능력 확대를 추진 중.


- 셀트리온은 24년 CDMO 자회사를 설립하고, 24년 본격적인 설비 증설 및 영업에 나설 계획.



(2)   AI확산


- AI신약개발 경쟁 본격화로 공동 개발/협업 증가


- 글로벌 빅파마는 빅테크 기업과 오픈 이노베이션 등의 전략을 통해 생성형 AI 신약개발 플랫폼 사업을 확장하고 있음.


- 국내 제약사도 바이오테크, IT기업과 업무협약을 통해 AI기반 혁신신약 공동개발에 나섬



(3)   인구구조 변화


-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난임 관련 R&D및 투자 지속


- 애니젠은 23년 난임 치료에 사용되는 조기 배란 억제제 가니렐릭스 개발 이후 LG화학에 공급 중이며, 24년 10월 美FDA에 원료의약품 품목 허가를 신청하는 등 난임 시장 지속 공략.


- 한국 오가논은 자사 난임 치료제의 패키지에 자가주사법 안내 영상을 담은 QR코드를 삽입하여 난임 환자의 부담 감소에 기여.

 



시사점 및 기업 대응 전략(P.51)




(1) 2025년 전망


-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종양학 분야를 중심으로 성장세가 지속되며. 바이오의약품 매출 비중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바이오의약품 수요 증가에 따라 CDMO 시장규모도 확대되며, 특히 ADC등 항체치료제와 세포유전자 치료제 중심의 성장세가 기대됨.  



(2) 대응 전략


- 항암제뿐만 아니라 비만과 같은 대사질환 치료제 등 시장 성장성이 유망한 분야에서도 글로벌 기업과의 적극적인 파트너십 검토가 필요.


- 기존 CDMO 기업뿐만 아니라 전통 제약사 등의 CDMO 시장 진출로 경쟁 본격화가 예상됨에 따라 의약품별 글로벌 시장 맞춤 전략이 필요함.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