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바이오의약품 일회용 소부장 글로벌 시장 전망
- 등록일2025-02-27
- 조회수688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5-02-06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바이오의약품 일회용 소부장 글로벌 시장 전망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본문
□ 바이오공정 전문지인 바이오프로세스 인터내셔널이 시장조사기관인 BCC리서치자료를 토대로 보도한 바에 따르면, 바이오의약품 생산에 사용되는 싱글유즈 글로벌 시장은 2024년 65억 달러에서 2029년 112억 달러로 연평균 11.6% 고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지역별로 보면, 북미는 2023년 글로벌 싱글유즈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였고 2024년 20억 달러에서 2029년 34억 달러로 연평균 10.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러한 성장에는 강력한 제약 인프라, 과감한 R&D투자와 지속적인 정부의 지원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됨.
*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일회용 시장 전망 : ‘23년 58.0억$ → ’24년 65.0억$ → ‘25년 72.6억$ → ’26년 81.1억$ → ‘27년 90.5억$ → ’28년 101.0억$ → ‘29년 112.0억$-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경우 2024년 18억 달러에서 2029년 33억 달러로 연평균 13.3%의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중국, 인도와 같은 국가는 저렴한 의료 솔루션에 대한 수요 증가와 바이오제약 산업 확장, 바이오의약품 생산 능력에 대한 투자 증가가 이러한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됨.
- 이 밖에 남미, 중동 및 아프리카와 같은 나라도 시장 점유율은 작지만 계속해서 완만한 성장 궤적을 보이고 있음.
- 국가별로 보면, 2024년 기준 미국이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고 일본과 독일이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영국, 한국, 프랑스, 캐나다 등이 중간 정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특히, 2024년부터 2029년까지 성장세를 예측해 보면 미국은 완만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나 한국과 인도, 중국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 이와 같은 성장의 주요 요인은 개인 맞춤형 치료제에 대한 수요 증가와 생산방법의 자동화 그리고 단일클론 항체(mAb) 제조에서 일회용 채택 증가에 따른 것임.
- 현재 바이오의약품 싱글유즈 시장은 항체생산, 연구개발, 백신생산, 유전자치료제생산 등의 순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음.
- 싱글 유즈는 다운스트림 공정에서 장비간의 교차 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복잡한 세척 및 멸균절차를 거쳐야 하는 기존 다회용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 또한, 싱글 유즈 사 용으로 제조 공정의 처리 시간을 단축하고 설계를 간소화하여 제조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함.
- 치료제가 점점 더 개인의 유전자 프로파일에 맞게 조정되는 등 맞춤형 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또한, 인공지능과 의약품 생산 방법의 자동화에 따라 시장에 진입하는 신제품의 꾸준한 증가는 또 다른 중요한 성장 요인임.
- 아울러,바이오의약품에서 가장 큰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단일클론 항체 생산에서 일회용 소부장 사용이 확대되는 것도 일회용 시장 확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