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24년 FDA, EMA 신약 승인 현황

  • 등록일2025-02-27
  • 조회수969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2024년  FDA, EMA 신약 승인 현황


 국가신약개발사업단 R&D기획팀 진주연 연구원


◈본문

Overview


2024년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 의약품청(EMA)은 각각 50 건,  56 건의 신약을 승인하였다. 올해 두 기관에서 모두 승인을 획득한 신약은 8개(Exblifep, Voydeya, Piasky, Winrevair, Vyloy, Iqirvo, Hympavzi, Alhemo)이다.


FDA 승인 신약 50건을 모달리티 별로 분류하였을 때, Small Molecule이 29건(58%)으로 가장 많았으며 mAb가 10건(20%), rProtein과 BsAb가 각각 3건(각 6%), Diagnostics 가 2 건(4%), peptide 1 건(2%), Others*가 2 건(총 4%) 승인되었다. 질병 영역(TA)별로는 Oncology 가 14 건(28%), Immunology 가 7 건(14%), Metabolic Disorders 가 6 건(12%), Hematology 가 5 건(10%), ardiovascular Diseases, Infectious Diseases, Neuroscience 가 각각 4 건(각 8%)가 등을 차지하였다.


*Others: Antisense Oligonucleotide 1 건, Oligonucleotide 1 건


EMA 승인 신약 56건의 경우, 모달리티 분포가 FDA와 유사하게 Small Molecule이 24건(43%)으로 가장 많았으며, mAb가 11건(20%), Vaccine이 8건(14%), rProtein 이 5 건(9%), Diagnostics 가 3 건(5%), Cell & Gene Therapy 가 2 건(4%), Others**가 3 건(5%) 순으로 많았다. TA 별로는 Oncology가 13건(23%), Infectious Diseases가 10건(18%), Hematology가 9건(16%) Immunology가 7건(13%), Metabolic disorders가 4건(7%)순으로 많았으며, Cardiovascular Diseases, Diagnostics, Neuroscience, Ophthalmology 가 각각 3 건(각 5%)등 신약 승인을 받았다.


*Others: Antisense Oligonucleotide 1 건, Antibody Drug Conjugate 1 건, Synthetic Peptide 1 건

 

 

[2024 FDA vs EMA Modality]



[2024 FDA vs EMA Therapy Areas]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