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의료 산업 기회의 땅, 우즈베키스탄

  • 등록일2025-03-05
  • 조회수48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의료 산업 기회의 땅, 우즈베키스탄

 


◈본문

우즈베키스탄 제약 시장은 대부분 수입산 의약품

의료 보건 분야의 투자와 함께 발전하는 우즈베키스탄 제약 산업


우즈베키스탄 제약 시장


우즈베키스탄 의약품 매출액은 COVID-19를 기점으로 상당히 증가했으며, 약품별로는 백신, 종양학 약물(항암제), 항당뇨제 수요가 높았다.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국내 사망자 7만 9000명 중 51.9%가 순환계 질환으로 사망했으며, 이어 호흡기 질환 11.5%, 종양 9.5%, 소화계 질환 4.4%, 사고, 중독 및 기타 질환 3.6%, 감염성 및 기생충 질환 1.4% 등이 주요 사망 원인으로 나타났다. 순환계 질환의 주요 원인은 고혈압, 당뇨병, 높은 콜레스테롤 등으로, 이는 기름진 음식을 자주 섭취하는 우즈베키스탄의 식문화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항당뇨제의 판매액이 높으며, Statista에 따르면 점점 더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사망 원인의 두 번째 요인인 호흡기 질환 역시 심각한 수준이다. 세계은행(World Bank)의 보고서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세계보건기구(WHO) 연평균 기준치의 6배 이상이다. 이로 인해 호흡기 질환 환자가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016~2029년 우즈베키스탄 의약품별 매출액>

(단위: US$ 백만)

 

[자료: Statista]

*2024년 수치는 추정치

**2025~2029년 수치는 전망치


우즈베키스탄 세무위원회에서 발표한 2024년 10월까지의 영수증 내역에 따르면, 가장 많은 영수증이 발급된 업종은 순서대로 식료품(65만 2000건), 운송 서비스(23만 건), 그리고 의약품(19만 9000건)이었다. 판매된 상품 및 서비스 중 가장 많은 영수증이 발급된 품목은 운송 서비스(24만 7000건), 비알코올 음료(20만 5000건), 그리고 의약품(19만 건)으로 의약품 구매 건이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이때 판매된 의약품 총액은 12억 달러 이상으로 집계되었는데, 이러한 통계치들은 의약품에 대한 현지의 수요가 매우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2024년 10개월간 업종별, 상품 및 서비스별 영수증 발급 통계>


[자료: 우즈베키스탄 세무위원회]


같은 기간 우즈베키스탄에서 1인당 판매된 의약품 평균 금액은 42만1000숨에 달했다. 그중 가장 소비가 많았던 지역은 타슈켄트 시로, 인당 판매된 의약품의 평균 금액은 138만7000숨이었으며 이는 타 지역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숫자이다. 이는 타슈켄트 시에 병원이 밀집되어 있어, 나라 전역에서 진료와 치료를 위해 수도로 집중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부하라와 사마르칸트 지역에서도 같은 기간 1인당 의약품 판매액이 50만 숨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외 지역에서는 1인당 20만 숨에서 38만 숨 사이로 유사한 수치를 보였다. 세무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7개 지역에서 1인당 의약품 소비 금액이 기본 계산 기준 금액(BCV)*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1인당 판매된 의약품 금액>

(단위: 숨)


[자료: 우즈베키스탄 세무위원회]

* 기본 계산 기준 금액(BCV)은 세금, 벌금 등을 책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 금액으로, 2024년 10월 기준 375,000숨


가장 많이 판매된 의약품은 심혈관 질환 치료제, 감염 및 신경계 질환 치료제와 진통제였다. 타슈켄트와 지자흐, 카라칼팍스탄 자치 공화국, 페르가나 등에서는 심혈관 질환 치료제가 가장 많이 판매되었으며, 사마르칸트, 안디잔, 나망간 지역에서는 감염병 치료제가, 나보이는 진통제가 가장 많이 판매되었다.


<지역별 주요 판매 의약품 종류>


[자료: 우즈베키스탄 세무위원회]


2023년 우즈베키스탄 제약 산업은 역대 최고 생산액인 3억 3,82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교역액은 15억 1,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전체 교역액의 2.6%를 차지하는 수치이다.


수출입 현황


2023년 제약 및 의약품 전체 수입은 16억510만 달러, 총 수출은 3790만 달러로 집계됐다.


<2019~2024년 우즈베키스탄 제약 및 의약품 수출입 현황>

(단위: US$ 백만)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우즈베키스탄 약품 소매 시장에서는 수입 의약품이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2024년 1분기 자료에 따르면, 국산 의약품 비율은 금액 기준 13.4%, 수량은 37.2%를 기록했다. 반면, 수입 의약품은 금액 기준 86.6%, 수량 기준 62.8%를 차지해 우즈베키스탄 제약 시장이 높은 수입의존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24년 1분기 의약품 국내산, 수입산 비율 통계>

(단위: %)


[자료: PROXIMA]


2023년 기준 의약품(HS code 3004) 총 수입액은 13억6980만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주요 수입국은 인도, 러시아, 리투아니아, 중국 순이었다. 한국으로부터 수입은 30위에 그쳤으나,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우즈베키스탄 의약품(HS code 3004) 주요 수입국>

(단위: US$ 천)


[자료: TRADEMAP]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