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에콰도르 의료기기 세부 품목 분석 및 우리기업의 진출 기회
- 등록일2025-04-10
- 조회수16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료기기
-
자료발간일
2025-03-24
-
출처
Kotra
- 원문링크
에콰도르 의료기기 세부 품목 분석 및 우리기업의 진출 기회
◈본문
내과, 외과, 치과, 수의용 기기 및 장비 전반(HS 코드 9018)이 수입 품목 1위
현지 제조 의료 기기는 13개 품목에 불과해 해외 수입에 크게 의존
에콰도르에 수출되는 한국산 의료기기 1위 품목은 초음파 장비
고품질·가격경쟁력 갖춘 한국 제품은 에콰도르 바이어에게 우호적, 시장 확대 가능성 높아
에콰도르의 의료기기 시장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며, 현지에서 제조되는 품목은 매우 제한적이다. 주요 수입 품목은 내과, 외과, 치과, 수의용 기기이며, 한국산 의료기기는 초음파 영상진단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에콰도르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25년 약 8억36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디지털 헬스 기술의 확대와 최소 침습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 증가 등이 성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지에서는 주로 제조 공정이 복잡하지 않은 의료용품 위주의 생산이 이뤄지고 있다. 에콰도르 식약청(ARCSA, Agencia Nacional de Regulacion, Control y Vigilancia Sanitaria)에 따르면, 에콰도르에서 사용되는 의료기기 중 13개 품목(1%)만이 현지에서 제조된다. 주로 수술 가운, 마스크, 일회용 시트와 같은 소모품에 해당된다.
<현지 제조 의료기기와 관련된 에콰도르 식약청 SNS 게시글>
[자료: 에콰도르식약청(ARCSA)의 페이스북 계정]
에콰도르 의료기기 시장 전망과 수입동향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에콰도르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25년에 8억36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 심장학 기기와 진단 영상기기가 2016년부터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향후 에콰도르 의료장치 시장 규모는 연간 성장률(CAGR 2025-2029) 5.79%로 증가해 2029년까지 10억46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성장은 디지털 헬스 기술의 확대, 최소 침습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 증가, 인구의 고령화, 정부의 의료 인프라 개선 노력 등 여러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에콰도르 의료기기 시장 매출액 동향(2016~2029년) 그래프>
(단위: US$ 백만)
*주: 2024년 이후 자료는 전망치
[자료: Statista, 2025.3.19]
<에콰도르 의료기기 시장 매출액 동향(2023~2029년) 표>
(단위: US$ 백만)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합계 | 745.22 | 791.16 | 835.94 | 882.04 | 933.32 | 987.19 | 1,046.52 |
심장학 장치 | 115.47 | 125.44 | 134.36 | 143.45 | 153.71 | 163.99 | 175.36 |
치과 장치 | 7.35 | 8.02 | 8.7 | 9.44 | 10.25 | 11.1 | 12.02 |
당뇨병 관리 장치 | 25.82 | 29.04 | 32.54 | 36.48 | 41.02 | 46.04 | 51.69 |
진단 영상 장치 | 88.83 | 92.53 | 96.5 | 100.71 | 105.52 | 110.2 | 115.3 |
약물 전달 장치 | 29.99 | 31.01 | 32.29 | 33.84 | 35.55 | 37.45 | 39.53 |
내시경 장치 | 45.84 | 49.11 | 52.51 | 56.23 | 60.46 | 64.91 | 69.76 |
일반 및 성형 수술 장치 | 45.43 | 47.62 | 50.11 | 53.04 | 56.52 | 60.23 | 64.41 |
안과 장치 | 65.96 | 70.59 | 75.13 | 79.42 | 84.1 | 88.69 | 93.69 |
정형외과 장치 | 75.86 | 79.82 | 83.44 | 87.2 | 91.45 | 95.45 | 99.77 |
기타 의료기기 | 244.66 | 257.98 | 270.36 | 282.23 | 294.74 | 309.14 | 325 |
*주: 2024년 이후 자료는 전망치
[자료: Statista, 2025.3.19]
에콰도르에서 수입되고 있는 주요 수입 의료기기는 내과, 외과, 치과, 수의과용 기기(HS코드 9018), 기계용법용, 마사지용 등의 기기(HS코드 9019), 기타 호흡용 기기와 가스 마스크(HS코드 9020), 정형외과용 기기(HS코드 9021), 엑스선, 알파선, 베타선 사용 기기(HS코드 9022) 등이다. 2024년 기준 동 수입 의료기기들의 총 수입액은 3억1352만 달러로 집계된다.
<주요 의료기기 수입동향>
(단위: US$ 천)
HS 코드 | 제품 | 2022 | 2023 | 2024 | 주요 수입국 |
9018 | 내과, 외과, 치과, 수의과용 기기 | 187,554 | 215,654 | 192,056 | 중국, 미국, 독일, 멕시코, 일본 |
9019 | 기계용법용, 마사지용 등의 기기 | 17,460 | 14,140 | 15,257 | 중국, 미국, 독일, 홍콩, 타이완 |
9020 | 기타 호흡용 기기와 가스 마스크 | 2,594 | 5,655 | 4,648 | 미국, 중국, 라트비아, 스페인, 네덜란드 |
9021 | 정형외과용 기기 외 | 51,291 | 61,425 | 58,970 | 미국, 중국, 인도, 아일랜드, 독일 |
9022 | 엑스선, 알파선, 베타선 사용 기기 | 29,671 | 49,986 | 42,597 | 미국, 독일, 중국, 벨기에, 이탈리아 |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3.12]
수입이 가장 많은 의료기기는 내과, 외과, 치과, 수의용 기기(HS코드 9018) 등이다. 해당 품목의 수입은 2023년 2억1565만 달러로 2022년 대비 14.98% 증가를 기록했다. 2024년 기준 수입 규모는 1억9205만 달러 수준으로 전년 대비 10.9% 하락했으며, 주요 수입국은 중국(32.4%), 미국(19.1%), 독일(11.6%) 순으로 한국은 시장점유율 2.4%로 8위를 차지했다.
최근에는 가격경쟁력을 내세운 중국산 제품들이 많이 수입되면서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산 제품의 수입은 2022년 611만 달러에서 2024년 467만 달러로 하락해 시장 점유율 확대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현지 바이어들은 한국 제품에 대체로 우호적이나, 현재 에콰도르에는 한국 의료기기 기업이 많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고품질·가격경쟁력 갖춘 우리기업이 에콰도르 시장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진출이 필요한 때다.
<에콰도르 의료기기(HS Code 9018) 수입 상위 10개국(2022~2024년)>
(단위: US$ 천, %)
순위 | 국가 | 2022 | 2023 | 2024 | 2024 점유율 | 증감률 (‘24/23) |
1 | 중국 | 53,475 | 62,906 | 62,199 | 32.4 | -1.1 |
2 | 미국 | 39,660 | 38,185 | 36,759 | 19.1 | -3.7 |
3 | 독일 | 22,680 | 29,328 | 22,317 | 11.6 | -23.9 |
4 | 멕시코 | 7,082 | 8,291 | 7,406 | 3.9 | -10.7 |
5 | 일본 | 6,780 | 7,362 | 6,374 | 3.3 | -13.4 |
6 | 인도 | 3,315 | 8,794 | 5,830 | 3.0 | -33.7 |
7 | 이탈리아 | 3,079 | 5,340 | 5,044 | 2.6 | -5.5 |
8 | 한국 | 6,112 | 4,827 | 4,674 | 2.4 | -3.2 |
9 | 말레이시아 | 4,110 | 3,686 | 4,060 | 2.1 | 10.2 |
10 | 스위스 | 2,378 | 2,146 | 2,830 | 1.5 | 31.9 |
| 전체 | 187,554 | 215,654 | 192,056 | 100 | -10.9 |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3.12]
HS코드 9018 품목은 의료기기뿐만 아니라 의료용 바늘이나 주사기 등 의료 장치 및 소모품도 포함한다. 주요 품목으로는 기타 의료기기 및 장비 또는 부속품(HS 코드 901890)와 카테터 또는 의료용 바늘(HS 코드 901839), 주사기(HS 코드 901831)가 있다. 특히, HS 코드 901890 품목은 임신 진단기, 외과수술용 기기, 레이저 작동식 기기, 내시경, 인공신장기, 수의과용 기기, 피부과용 기기 등을 포함한다.
<2022~2024년 에콰도르의 상위 10개 의료기기 수입 품목>
(단위: US$ 천, %)
순위 | HS 코드 | 품목 | 2022 | 2023 | 2024 | 2024 점유율 | 증감률 (‘24/23) |
- | 9018 | 의료기기 전반 | 187,554 | 215,654 | 192,056 | 100.00 | -10.94 |
1 | 901890 | 기타 의료기기 및 장비 또는 부속품 | 59,398 | 74,081 | 70,100 | 36.50 | -5.37 |
2 | 901839 | 카테터 또는 의료용 바늘 | 49,718 | 60,132 | 51,941 | 27.04 | -13.62 |
3 | 901831 | 주사기 | 14,821 | 15,348 | 13,065 | 6.80 | -14.87 |
4 | 901812 | 초음파 영상 진단기 | 14,154 | 16,796 | 12,809 | 6.67 | -23.74 |
5 | 901813 | 자기공명영상장치(MRI) | 7,384 | 13,688 | 10,542 | 5.49 | -22.98 |
6 | 901819 | 의료용 전자진단기기 | 14,672 | 11,224 | 10,145 | 5.28 | -9.61 |
7 | 901850 | 안과용 의료기기 | 11,254 | 9,867 | 9,785 | 5.09 | -0.83 |
8 | 901849 | 치과용 의료기기 | 10,126 | 8,426 | 8,246 | 4.29 | -2.14 |
9 | 901832 | 금속제 바늘 및 봉합용 바늘 | 4,519 | 4,274 | 3,911 | 2.04 | -8.50 |
10 | 901811 | 심전계 | 947 | 1,615 | 878 | 0.46 | -45.65 |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3]
한국이 에콰도르로 제일 많이 수출하는 의료기기는 초음파 영상진단기(HS 코드 901812)이다. 한편, 치과용 의료기기 및 치과용 드릴 수입은 2023년 감소세를 보였지만, 2024년에는 수입액이 회복되고 있다.
<2022~2024년 에콰도르의 한국산 의료기기 상위 10개 의료기기 수입 품목>
(단위: US$, %)
순위 | HS 코드 | 품목 | 2022 | 2023 | 2024 | 2024 점유율 | 증감률 (‘24/23) |
| 9018 | 의료기기 전반 | 6,112,162 | 4,827,031 | 4,674,391 | 100 | -3.2 |
1 | 901812 | 초음파 영상진단기 | 3,475,599 | 2,822,372 | 3,269,999 | 69.96 | 15.9 |
2 | 901819 | 의료용 전자진단기기 | 863,353 | 354,541 | 449,239 | 9.61 | 26.7 |
3 | 901890 | 기타 의료 장비 및 기기 또는 부속품 | 673,122 | 859,488 | 346,799 | 7.42 | -59.7 |
4 | 901839 | 의료용 바늘 | 475,984 | 290,090 | 281,208 | 6.02 | -3.1 |
5 | 901832 | 금속제 바늘 및 봉합용 바늘 | 338,173 | 271,057 | 186,974 | 4.00 | -31.0 |
6 | 901850 | 안과용 의료기기 | 203,065 | 162,040 | 86,841 | 1.86 | -46.4 |
7 | 901849 | 치과용 의료기기 | 64,849 | 26,816 | 44,514 | 0.95 | 66.0 |
8 | 901841 | 치과용 드릴 엔진 | 7,498 | 523 | 4,860 | 0.10 | 829.2 |
9 | 901831 | 주사기 | 1,402 | 7,231 | 3,958 | 0.08 | -45.3 |
10 | 901820 | 자외선 또는 적외선 기기 | - | 31,864 | - | - | - |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3]
초음파 영상진단기(HS 코드 901812)의 국가별 수입 현황을 살펴보면, 중국이 시장 점유율 46.6%로 1위, 한국(25.5%)은 2위, 미국(12.4%)은 3위를 차지했다. 최근 3개년 수입 증감률을 살펴보면, 한국은 2024년 기준 전년대비 수입액이 15.9% 증가한 반면 중국과 미국은 각각 -38.1%, -2.3%로 감소했다.
<에콰도르 초음파 영상진단기(HS Code 901812) 수입 상위 10개국(2022~2024년)>
(단위: US$ 천, %)
순위 | 국가 | 2022 | 2023 | 2024 | 2024 점유율 | 증감률 (‘24/23) |
1 | 중국 | 4,826 | 9,636 | 5,965 | 46.6 | -38.1 |
2 | 한국 | 3,476 | 2,822 | 3,270 | 25.5 | 15.9 |
3 | 미국 | 2,563 | 1,632 | 1,594 | 12.4 | -2.3 |
4 | 홍콩 | 1,039 | 622 | 459 | 3.6 | -26.2 |
5 | 오스트리아 | 661 | 411 | 367 | 2.9 | -10.7 |
6 | 일본 | 219 | 322 | 288 | 2.3 | -10.5 |
7 | 덴마크 | - | - | 274 | 2.1 | - |
8 | 이탈리아 | 248 | 659 | 102 | 0.8 | -84.6 |
9 | 독일 | 24 | 63 | 88 | 0.7 | 39.7 |
10 | 말레이시아 | - | - | 87 | 0.7 | - |
| 전체 | 14,154 | 16,796 | 12,809 | - | -23.7 |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3.20]
에콰도르 의료기기 수출 시 위생 등록은 필수
공공부문에 공급되는 의료기기는 에콰도르 공공조달청(SERCOP, Servicio Nacional de Contratación Pública)을 통한 입찰 방식으로 공공 의료기관에 공급된다. 공공병원 구매 담당자는 제품의 기술 요구사항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달청에 수요를 제기하는 구조다. 또한, 각 공공병원이 필요한 의료기기를 개별적으로 구매 요청하기 때문에, 소규모의 다수 입찰로 분산돼 구매가 이뤄진다. 즉, 에콰도르 공공조달청은 전체 공공병원의 수요를 파악한 뒤 일괄 구매하는 시스템이 아니라, 각 병원의 개별적인 구매 요청에 따라 분산된 방식으로 진행된다.
민간 부문에 공급되는 의료기기는 주로 수입 유통업체를 통해 민간병원과 클리닉에 납품된다. 의료기기를 수출할 때는 반드시 에콰도르 식약청(ARCSA, Agencia Nacional de Regulacion, Control y Vigilancia Sanitaria)에서 위생 등록(Registro Sanitario)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에콰도르에 의료기기 수출 시 현지 업체와의 협력은 필수적이다. 현지 컨설팅 회사나 수입업체와 협력하면 이 절차를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생 등록 절차는 약 15일에서 최대 6개월까지 소요된다. 비용은 약 904.34 달러가 든다. 한국 식약청 인증 서류를 요청하는 경우도 있다.
에콰도르 의료 산업에서도 디지털 전환이 트렌드
한편 세계적인 추세에 맞춰 에콰도르 의료 산업에도 디지털 전환이 주요 이슈다. 2023년 12월부터는 에콰도르 내 2000개 이상의 병원 및 보건소에서 의약품 및 의료기기 대상 디지털 재고 관리 시스템이 도입됐으며 이를 위해 190만 달러가 투자됐다. 2024년 12월 16일에는 에콰도르 보건부(MSP, Ministerio de Salud Publica)는 약 100만 명의 환자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건강 부문 디지털 의제 2024~2034년(Transformación Digital del Sector Salud 2024-2034)를 발표했다. 환자들이 자신의 휴대폰을 통해 의료기록 검색, 진료 예약, 예방 검진 알림 및 의약품 조달 진행 상황 등에 손쉽게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에콰도르 보건부, 디지털 의제 발표>
[자료: 에콰도르 현지 언론 Primicias, 2024.12.16 기사]
KOTRA 키토 무역관은 의료기기 최근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에콰도르에서 한국산 내시경 용품, 비혈관 스텐트, 당뇨 환자용 혈액 채취 장치(란세타) 등 다양한 의료기기를 수입하는 현대 메디컬(Hyundai Medical S.A.) 오창호 지사장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오 지사장은 "현재 에콰도르 의료기기 시장에서는 중국산 제품이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언급했다. 예를 들어 일부 한국산 제품과 비교했을 때 중국산이 절반 수준의 가격에 판매되고 있어, 가격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는 "특히 가격대가 높은 내시경 장비의 경우, 동물용 제품을 포함해 한 기업이 현지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장비 판매를 넘어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장비 사용법 교육과의 연계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시사점
코로나19 이후 에콰도르에서는 원격 의료 시장이 특히 성장했으며, 이에 따라 대면 진료보다 상담 대기 시간과 이동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비대면 의료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한국 기업들은 원격 의료 서비스, 전자 진단 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접목한 제품 및 솔루션으로 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
현재 한국이 에콰도르에 수출하는 주요 의료기기는 초음파 기기와 의료용 전자 기기이며, 고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갖춘 한국산 제품의 시장 확대 가능성이 크다. 특히, 품질 차별화, 사후 서비스(A/S) 강화, 브랜드 인지도 제고 등의 전략과 함께 의료진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병행하면 더욱 효과적인 시장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에콰도르에서는 한국산 제품의 우호적 이미지가 형성돼 있어 우리기업들은 에콰도르 바이어 유치에 관심을 가지고 이 기회를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2025년 9월 25일부터 27일까지 열리는 에콰도르 최대 의료 컨벤션 ‘메디콘(Medicon)’은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한 중요한 플랫폼이 될 수 있다. 이 행사에서는 바이어 및 의료 관계자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제품 홍보와 진출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만큼, 한국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행사명 | Medicon |
개최기간 | 2025.9.25(목)~9.27(토), 11:00~20:00, 3일간 |
로고이미지 | |
장소 | Centro de Convenciones Simón Bolívar, 에콰도르 과야킬 |
개최주기 | 매년 1회 (9월경) |
주최 | Lubermo Cia. Ltda. |
참가 규모 | 7,000명 이상의 참관객, 전시참가 업체 약 120개 기업 |
전시품목 | 의료기기 및 장비, 의료 소모품, 소프트웨어 등 |
웹사이트 |
[자료: Medicon 공식 웹사이트]
자료: Agencia Nacional de Regulacion, Control y Vigilancia Sanitaria, Ministerio de Salud Publica, Global Healthcare Information Portal, Servicio Nacional de Contratación Pública – Ecuador, Statista, Global Trade Atlas, 현지 주요 언론사(Primicias, El Universo, Ecuavisa), Hyundai Medical S.A 관계자 인터뷰, KOTRA 키토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