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행정명령 14257): 바이오헬스 산업 관점
- 등록일2025-05-21
- 조회수21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5-04-28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미국#상호관세#바이오헬스#산업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행정명령 14257): 바이오헬스 산업 관점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동향 Vol.546(2025.04.28)
◈ 목차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동향 Vol.546(2025.04.28)
- Global Bio-Health Industry Trend
◈ FOCUS
-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행정명령 14257): 바이오헬스 산업 관점
◈ 무역통상
- 미 상무부, 의약품 수입이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 평가 착수
- 인도, 미국 관세 압박 속 제조업 도약의 기회 모색
- 미국 의약품 관세, 네덜란드 경제에 5억 유로 손실 우려
- 미국 의료기기 업계, 트럼프 관세에 강력 반발 “혁신과 환자 건강권 위협”
- IMF, 미 관세 여파로 2025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 대폭 하향
- 트럼프, 미국 약가를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는 '국제 기준 가격제' 도입 검토
- 트럼프의 반도체 관세, 미국 의료기기 가격 상승 부추겨
- 트럼프 정부 규제 불확실성 속, 의료기기 업계, AI 개발 지속 추진
- 유럽 제약업계, 미국 관세에 EU에 신약 가격 인상 촉구
- 영국 옥스퍼드셔 의원들, 제약업계 보호 위해 정부에 긴급 대응 촉구
- 트럼프 정부의 의료제품 관세로 미국 의료업계 분열과 공급망 불안 심화
- 미국 관세 우려 속 인도 보건부, 제약산업 보호 방안 논의
◈ 디지털헬스케어
- NASA 기술로 개발된 비접촉형 홈 헬스 모니터링 기기
- 트라이헬스, AI 기반 폐암 조기진단 기술 도입
- AI 기반 디지털 치료제, 편두통 발작 감소에 효과 입증
-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화이자, AI 기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공동 개발 협약 체결
- 호주, 앰플러 헬스와 고령자 가상간호 시범사업 추진
- 미국, 의료 AI 기기 위한 메디케어 보상 법안 발의
- 구글과 IBM, 의료분야 AI 활용 확장을 위한 프로젝트 발표
- 디지털헬스 모니터링 기기 시장, 2032년까지 177억 달러 규모로 성장 전망
◈ 제약·의료기기·화장품
- 2026년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개편, 입원 승인 번복 제한 및 약값 부담 완화
- 징코 바이오웍스, 밀 배아 기반 의약품 생산기술 개발에 ARPA-H 계약 수주
- FDA, 동물실험 대신 인간 기반 테스트 도입 발표
- 싱가포르 연구진, 피부암 진단 위한 비침습 3D 영상기술 개발
- 3D 시스템즈, 세계 최초로 병원 내 맞춤 안면 임플란트 직접 제작 성공
- FDA 인력 감축과 글로벌 관세, 의료기기 개발에 심각한 위협
- 3D 프린팅 인공 피부, 화장품 동물실험 대체할 새 모델로 주목
- 사우디아라비아 제약시장, 2034년까지 167억 달러 규모로 성장 전망
◈ 의료서비스
- 헬스케어 아시아 서밋 2025, 환자 중심 AI 전략 논의
- 필리핀 세인트 루이스 대학교 성심의료센터, 의료관광시설 인증 획득
- UAE-인도, 저소득층 위한 우정병원 설립 추진 및 의료협력 강화
- 아마라바티에 국제의료관광 중심지 ‘메가 글로벌 메디시티’ 조성 추진 예정
- UPMC, 자택에서 받는 전문 진료 원격의료서비스 확대 운영
- 홍콩 병원관리국-싱가포르 MOH 홀딩스, 공공의료 협력 양해각서 갱신
- 미국 CMS, 뉴욕 메디케이드 자택 돌봄 프로그램 개편안 검토 중
- WHO, 독일 DIT-ECRI를 디지털헬스 협력센터로 지정
◈ 글로벌 행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이전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 2024년 기준 미국 API 절반 이상 인도 및 EU에서 수입
지식
- BioINwatch 미국 ARPA-H가 추진하고 있는 23개 프로그램 2025-04-24
- BioINwatch 미국 정부효율부(DOGE)의 R&D 예산 및 인력 축소 정책 2025-04-16
- BioINpro [국내·외 BT 투자 및 정책 동향] 2025년 미국 정부 R&D 예산(안) 2025-02-19
- BioINwatch 시행 가능성이 높아진 미국의 생물보안법(US Biosecure Act), 바이오산업 공급망 재편 압박 2024-12-04
- BioINpro [바이오 산업] 미국 생물보안법 입법화와 국내 바이오산업의 대응방향 2024-11-22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