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국내 AI 반도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우리의 대응 방안은?
- 등록일2025-04-15
- 조회수167
- 분류산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5-04-15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AI#반도체
- 첨부파일
국내 AI 반도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우리의 대응 방안은?
◈본문
지속가능한 국내 AI반도체 생태계 발전을 위하여 양산이 시작되는 국산 AI
반도체 기업의 수요-연계 강화와 R&D 정책의 전략적 개편이 시급
국내 AI반도체 기업의 시작과 양산의 도래
l 2025년에도 AI반도체 시장은 급속한 진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의 시장 진입 기회가 열리고 있음
- 중국 딥시크 쇼크는 NVIDIA 제품을 학습에, 중국 화웨이 어센드 시리즈를 추론에 활용하는 이기종 구성의 가능성을 실제로 입증(조선일보, 2025. 2. 7.)
- AI의 활용 범위가 확대되면서 추론용 NPU에 대한 요구가 급속히 증가하는 한편, 버티컬 AI, 피지컬 AI 등에 활용되는 온디바이스·엣지 NPU와 같은 틈새시장이 생겨나면서 국내 기업들에게 기회의 창이 될 수 있음
l 인고의 세월을 헤쳐 온 국내 AI반도체 기업들에게 2025년이 수확의 계절이 될 수 있을까?
- 국내 기업들은 NVIDIA의 시장장악력이 상대적으로 낮으면서 미래 성장이 기대되는 추론, 온프레미스, 온디바이스, 엣지 NPU 시장에서 기회를 모색해 왔음
* 퓨리오사AI: NVIDIA 제품군 대비 저비용, 저전력을 앞세운 2세대 NPU ‘레니게이드’(RNGD)가 2024년부터 고객 시제품 평가 과정을 거쳐 연내 양산 기대(매일경제, 2025. 2. 12.)
* 리벨리온: 2023년 출시한 NPU ‘아톰’(ATOM)의 매출 확대, HBM3e 192GB 탑재 차세대 고성능 NPU ‘리벨’(REBEL)이 6월 시제품 출시 및 연말 양산 기대(전자신문, 2025. 1. 16.)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글
- 브라질_2025
-
이전글
-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현황 및 전망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