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라오스 기능성식품 시장 동향
- 등록일2025-07-21
- 조회수24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식품
-
자료발간일
2025-07-01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기능성식품#프리미엄#건강트렌드#인허가 및 규제대응#현지유통 파트너십
라오스 기능성식품 시장 동향
◈본문
프리미엄 소비층 성장과 함께 주목받는 라오스 기능성식품 시장
상품명 및 HS코드
HS CODE 210690 기타 조제 식료품(기능성식품)
기능성식품 시장동향
라오스의 기능성식품 시장은 경제 발전과 함께 소비자들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데에서 비롯된다. 특히 비엔티안(Vientiane), 루앙프라방(Luang Prabang), 사바나켓(Savannakhet), 팍세(Pakse) 등 주요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소비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소비층은 10대부터 50대까지의 전 연령층으로, 프로바이오틱스, 콜라겐, 글루타치온, 피부 관련 보충제, 전통 한방 성분 기반의 제품, 그리고 디톡스 및 체중 감량을 위한 건강 보조제에 특히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다.
라오스 대표 의약품 유통업체인 Saysaarth Pharma에 따르면, 자사의 매출 구조는 일반 의약품이 70%, 건강기능식품이 15%, 의료 제품이 10%, 의료기기가 5%를 차지하고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단가가 높아 판매량 대비 높은 수익성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유통동향
과거에는 기능성식품이 대부분 약국에서만 유통됐으나, 현재는 소비자들이 건강과 내면의 아름다움을 보다 중시하면서 온라인 채널과 미용 전문매장에서도 활발히 유통되고 있다. 특히 페이스북을 통한 온라인 판매가 활성화돼 있으며, 매장들이 전담 배송 인력을 두고 소비자에게 빠르게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시장에 유통되는 제품은 태국, 한국, 일본,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중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수입된 브랜드와 일부 라오스 현지 브랜드로 구성돼 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인접국인 태국에서 생산된 제품이 주를 이루며, 물류 접근성과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강점을 보인다. 최근에는 ‘천연’ 혹은 ‘클린 뷰티’ 컨셉을 내세운 신생 브랜드가 소비자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OEM이나 자체 브랜드를 통해 시장 진입을 시도하는 현지 창업자들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글
-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동향
-
이전글
- 2023년 바이오헬스산업 실태조사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