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25년 네덜란드 농업 산업 정보

  • 등록일2025-08-05
  • 조회수77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2025년 네덜란드 농업 산업 정보

 

◈본문


스마트농업, 정밀농업, 생분해성 소재 등 지속가능 기술을 중심으로 민관 R&D 협력 확대

WUR 등과의 협업 및 EU 규제 대응을 통한 현지화·인증 전략이 진출의 핵심 요건

산업 특성


네덜란드는 세계 2위의 농산물 수출국으로, 고도로 조직화된 농업 생산 시스템과 효율적인 유통망을 갖춘 국가다. 2024년 기준, 농업 부문 수출은 1289억 유로로 추정되며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총 수출 중 약 65%는 네덜란드 국내에서 생산된 제품이며, 나머지는 외국산 제품의 재수출이다. 주요 수출 품목은 유제품과 계란, 화훼류, 육류, 코코아 가공품, 감자 및 채소로, 전체 농산물 수출의 42%를 차지한다.


<네덜란드 농산물 수출 규모>

(단위: 십억 유로)

[자료: 네덜란드 통계청(CBS)]


정책 현황


네덜란드는 경제부 및 기후부(MinEZK)의 감독 아래, 톱섹터 정책(Topsectorenbeleid)을 통해 농업·식품 분야의 연구 및 혁신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지식 및 혁신을 위한 최고 컨소시엄(TKI Agri & Food)은 Agri & Food 톱섹터의 지식 및 혁신 아젠다(Kennis- en Innovatieagenda Landbouw, Water, Voedsel, 이하 KIA-LWV)를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년간 미션 주도형 혁신 프로그램(Multi-year Mission-driven Innovation Programs, 이하 MMIP)을 통해 연구개발(R&D)과 민간 참여를 연계하는 핵심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KIA-LWV는 농업, 물, 식품 분야의 지속가능성, 식량안보, 기후 회복력 제고 등을 핵심 목표로 하는 미션 기반 R&D 전략으로, 네덜란드 정부의 톱섹터 정책에 따라 설정된다. 이 아젠다에 기반한 프로젝트들은 EU 공동 연구사업과 연계되며, 연구기관과 기업, 산업단체, NGO, 공공기관 등이 함께 참여하는 민관협력(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방식으로 추진된다.


TKI Agri & Food는 이러한 KIA-LWV 기반의 민관협력 프로젝트를 기획·운영하며, 네덜란드 농식품 분야의 연구·혁신 정책을 총괄하는 지식 및 혁신 컨소시엄으로서 연구 프로그래밍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경제부와의 주요 협약 체결에 대해 자문 역할도 수행한다. 자체 기획 프로그램은 물론, EU 프로젝트에 대한 공동 자금(co-financing) 지원을 통해 지금까지 약 500건의 대·소규모 프로젝트가 실행된 바 있다. 자금 지원 방식 및 참여 절차, 책임 보고에 필요한 서류는 공식 홈페이지(https://topsectoragrifood.nl/meedoen/)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