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UAE 단백질 대체식품 시장 동향

  • 등록일2025-09-24
  • 조회수16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식품

 

 

UAE 단백질 대체식품 시장 동향


◈본문

2024년 UAE 대체육 시장 8% 성장, 소규모지만 고성장 기대 분야

단백질 대체식품 수입 10.5% 감소, 말레이시아 급부상·한국 25위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HS Code

단백질 농축물과 텍스처화한(textured) 단백질계 물질

210610

 

HS Code 210610은 '단백질 농축물 및 텍스처화한 단백질계 물질(Protein concentrates and textured protein substances)'을 의미하며, UAE에서는 식물성 원재료(예: 대두, 완두콩, 밀)로부터 추출하거나 압출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단백질 소재 제품에 주로 적용된다. 해당 코드로 수입되는 대표 품목에는 텍스처드 대두 단백질, 고단백 식물성 농축물, 대체육 반가공품 등이 포함된다.  


시장동향 및 개요

 

UAE 정부는 대체육에 대해 아직 명시적인 법적 정의를 두고 있지는 않지만, 글로벌 기준을 반영해 성분 기반(plant-based 또는 cell-based) 접근을 적용하고 있다. 이는 곧 제품이 동물 유래가 아닌 식물이나 세포 배양을 통해 생산됐을 경우, 성분 분석 결과와 제품 용도에 따라 적절한 HS 코드로 분류하고 식품 등록 절차를 통해 시장 유통을 허용하는 방식이다.

 

2024년 기준, UAE의 가공육·해산물 및 대체식품 시장은 건강, 편의성, 지속가능성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전체 시장 규모는 약 4억6000만 달러 수준으로 추산되며, 이 중 육류 가공식품이 약 2억7670만 달러, 해산물 가공식품은 약 1억2780만 달러, 육류 및 해산물 대체식품은 220만 달러, 기타 식물성 단백질 대체식품(두부 등)은 약 10만 달러의 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이 중 특히 주목할 만한 부문은 육류 및 해산물 대체식품으로, 전년 대비 8%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카테고리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이는 대체육·식물성 식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지표다. 비록 절대 금액 기준으로는 아직 소규모 시장이지만, 연간 성장률과 제품 다양성 확대, 신규 브랜드 진입을 고려할 때 향후 중장기적으로 고성장이 기대되는 분야다.

 

UAE 소비자들은 점차 건강과 웰빙을 중시하며, 지방, 나트륨, 식품첨가물의 함량이 낮은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대체식품뿐 아니라 전통적인 육류·해산물 가공식품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항생제 무첨가, 클린 라벨, 고단백·저당 제품에 대한 관심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현지 시장에서는 다양한 제품군이 소형 포장, 간편 조리용으로 유통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특히 외부 활동 증가 및 개인 식사 비중 확대에 대응한 전략이다.

 

<2024년 UAE 가공육 및 해산물 및 대체육 식품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

카테고리

판매액

성장률(전년 대비)

육류 가공식품

276.7

7.3

해산물 가공식품

127.8

7.2

육류 및 해산물 대체식품

2.2

8.0

기타 단백질 대체식 (두부 등)

0.1

7.7

[자료: Euromonitor(2024.11.)]


단백질 대체 식품 수입 규모 및 동향

 

2024년 기준, UAE의 단백질 대체 식품(HS 코드 210610) 수입액은 약 8264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5% 감소했다. 이는 주요 수입국 대부분에서 수입 규모가 줄어든 가운데 시장 내 조정 또는 공급망 재조정 흐름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Global Trade Atlas(2025.8.)에 따르면, 2024년 기준 UAE의 해당 품목 주요 수입국은 미국(5428만 달러), 영국(1104만 달러), 인도(532만 달러) 순이며, 미국과 영국으로부터의 수입은 각각 11.4%, 11.6% 감소했다. 다만 말레이시아의 경우 전년 대비 121배 이상 증가한 61만 달러를 기록하며 신규 유망 공급처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의 경우, 전년 대비 3.8% 감소해 전체 수입국 중 25위를 기록했다.

 

<UAE 단백질 대체 식품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수입규모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1

미국

48,784

61,274

54,287

-11.4

2

영국

6,941

12,493

11,046

-11.6

3

인도

5,311

5,534

5,327

-3.7

4

스페인

1,330

1,716

1,463

-14.7

5

루마니아

1,989

1,573

1,373

-12.7

6

폴란드

2,000

1,962

1,254

-36.2

7

중국

1,085

1,165

1,126

-3.4

8

캐나다

1,142

426

1,098

157.8

9

벨기에

732

804

719

-10.6

10

말레이시아

-

5

610

12,100.0

25

대한민국

94

106

102

-3.8

전체

76,305

92,338

82,641

-10.5

* 주: HS 코드 210610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8.)]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UAE 가공육 및 대체육 시장은 건강과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힘입어 변화하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기존 가공육 제조사들은 식물성 대체육에 대한 소비자 수요 확대에 발맞춰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으며, 특히 식물성 단백질을 활용한 냉장·상온 간편식, 밀키트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다.

 

예를 들어, UAE 대표 가공육 브랜드 중 하나인 알 이슬라미 푸드(Al Islami Foods)는 최근 식물성 대체육 제품군 개발에 착수했으며, 중동 소비자들의 입맛에 맞춘 Kofta(꼬프타), Kabab(케밥) 등 향토 요리 기반의 플랜트베이스 제품을 출시해 눈길을 끌었다. 이 제품들은 주로 완두콩·대두 단백질 기반으로, ‘할랄 비건(Halal Vegan)’이라는 새로운 콘셉트를 내세워 UAE 내 무슬림 소비자뿐 아니라 건강 중심의 외국인 거주자들에게도 인기를 얻고 있다.

 

또한, 스위치 푸드(Switch Foods)는 2023년 아부다비에 설립된 UAE 로컬 스타트업으로, 중동 전통 요리와 식물성 단백질을 결합한 독창적인 대체육 브랜드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대표 제품은 중동식 소시지 수죽(Soujuk), 다진 고기(Minced Meat), 버거 패티(Burger Patties) 등이며, 모두 100% 식물성 원료로 제조돼 유통되고 있다.

 

<UAE로 유통되는 주요 비건 브랜드>

UAE로 유통되는 주요 비건 브랜드

[자료: Be Vegan 웹사이트]

 

국제 브랜드의 진출 및 파트너십도 활발하다. 예를 들어, 글로벌 브랜드인 비욘드 미트(Beyond Meat)와 임파서블 푸드(Impossible Foods)는 UAE 내 주요 리테일 체인인 스피니스(Spinneys), 까르푸(Carrefour), 초이드람(Choithrams)을 통해 유통되고 있으며, 일부 레스토랑 프랜차이즈인 페리페리 버거(PERi-PERi Burger) 등에서는 비건 메뉴를 정규 메뉴로 도입했다. 특히 일부 매장은 아예 식물성 단백질 중심 콘셉트 매장으로 전환하며 UAE 내 식물성 식품 소비문화 정착에 기여하고 있다.

 

<Beyond Meat 사 식물성 대체육 식품>

Beyond Meat 사 식물성 대체육 식품

[자료: 브랜드 자사 웹사이트]

 

<Impossible Foods 사 식물성 대체육 제품>

Impossible Foods 사 식물성 대체육 제품

[자료: 브랜드 자사 웹사이트]

 

이처럼 UAE 시장은 전통적인 냉동 가공육 강자들이 여전히 시장 주도권을 보유하고 있는 동시에, 지역 소비자 취향에 기반한 로컬 대체육 스타트업, 글로벌 브랜드와의 협업, 전문 유통 채널의 확대라는 3가지 축을 중심으로 경쟁 구도가 형성되고 있다.

 

유통구조

 

UAE의 높은 기후로 인해 가공육, 해산물, 대체육 가공 제품 특성상 신선도 유지를 위해 냉장/냉동 배송이 필요한 만큼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판매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4년 UAE 대체육 유통구조에서 하이퍼마켓이 60.2%, 슈퍼마켓이 21.5%, 기타 소매점이 12%, 편의점이 1.6%, 전자상거래가 4.8%를 차지했다.

 

<UAE 육류 및 해산물 가공식품 유통구조>

UAE 육류 및 해산물 가공식품 유통구조

[자료: Euromonitor(2024.11.)]


관세율·수입규제·인증

 

UAE는 2015년 제정된 식품안전법(Federal Law No.10 of 2015 on Food Safety)과 이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각 에미리트의 등록 시스템(FIRS, MONTAJI, ZAD 등)을 통해 모든 식품의 수입과 유통을 규제하고 있다. 이 법은 식품이 소비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안전하고 위생적인 방식으로 제조, 보관, 유통될 것을 요구하며, 특히 새로운 형태의 식품(예: 대체육, 유전자 편집 식품, 기능성 식품 등)에 대해서는 사전 등록과 평가를 통해 관리한다.

 

UAE는 대체육·식물성 식품을 식품첨가물이 아닌 일반 식품 원료로 분류하며, 유통을 위해서는 제품 성분표, 영문·아랍어 병기 라벨, 제조 공정 설명서 등을 포함해 현지 시스템에 등록해야 한다. 등록 시 제품의 성분 중 동물성 유래 물질이 포함돼 있으면 HALAL 인증서 제출이 필요하며, 포함돼 있지 않을 경우 HALAL 요건은 적용되지 않는다.

 

라벨링 측면에서도 식물성 고기와 실제 고기를 혼동하지 않도록 ‘Plant-based’, ‘High protein’, ‘Meat analogue’ 등 명확한 표현을 사용해야 하며, GSO(걸프표준화기구) 기준에 따라 성분 표시, 영양 정보, 보관 조건 작성 등이 엄격히 요구된다. 특히 유전자변형(GMO) 원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DNA 분석 보고서 제출 및 GMO 라벨링 요건(GSO 2141/2011) 준수 여부가 심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시사점

 

UAE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세계적인 흐름과 마찬가지로 건강과 웰빙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지방, 나트륨, 첨가물 함량이 낮고 항생제 무첨가, 유기농 등 ‘클린 라벨’ 제품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장 참여 기업들은 건강 지향 성분과 투명한 원재료 공급망을 바탕으로 한 제품 리뉴얼에 나서고 있다. 단백질 함량이 높고 당분이 적은 제품, 그리고 다양한 포장 단위와 간편식 형태로 제공되는 제품도 확대되고 있다. 한편, 제품의 편의성이 여전히 핵심 성장 동력이다. 냉동 가공육은 조리와 보관이 용이하고 다양한 요리에 활용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수요가 견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기업이 UAE 대체육·식물성 식품 시장에 진출하려면 현지 입맛을 반영한 제품 포트폴리오 구성, 클린 라벨 및 HALAL 인증 확보, 소포장 및 간편 조리 형태 제공이 중요하다. 가격 경쟁력 확보와 더불어 할인점, 대형마트, 온라인몰 등 다양한 유통 채널을 활용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며, 소비자 교육과 시식·체험 마케팅을 병행해야 시장 안착과 점유율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자료: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각 브랜드 웹사이트 등 KOTRA 두바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