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인공지능 산업의 최신 동향
- 등록일2025-10-27
- 조회수204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5-10-02
-
출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공지능#인공지능 산업#AI 브리프
- 첨부파일
인공지능 산업의 최신 동향
2025년 10월호 AI 브리프
◈ 목차
정책·법제
▹ 중국 국무원, ‘AI 플러스’ 심화 추진을 위한 정책 로드맵 발표
▹ 대만 행정원, AI 기본법 통과 후 입법원에 제출
▹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2024년 영국 AI 산업 현황 분석 보고서 발간
▹ 미국 캘리포니아주 의회, 미국 최초로 미성년자 보호를 위한 AI 챗봇 규제 통과
▹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 AI 안전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2.0 버전 발표
기업·산업
▹ 구글, 이미지 편집 모델 ‘제미나이 2.5 플래시 이미지’ 공개
▹ xAI, 에이전트 코딩 특화 AI 모델 ‘그록 코드 패스트 1’ 공개
▹ 청소년 자살로 피소된 오픈AI, 챗GPT 안전성 개선 방안 발표
▹ 앤스로픽, AI 저작권 침해 소송에서 작가들에 15억 달러 배상 합의
▹ 딥엘, 기업용 AI 에이전트 ‘딥엘 에이전트’ 발표
▹ 알리바바, 훈련과 추론 효율성 높인 ‘Qwen3-Next’ 신규 모델 공개
▹ 구글, AI 기반 결제 지원 ‘에이전트 결제 프로토콜(AP2)’ 발표
▹ 오픈AI, GPT-5 기반 ‘코덱스’ 업그레이드 발표
기술·연구
▹ 세일즈포스, 실제 사용 환경에서 LLM 성능 검증을 위한 벤치마크 개발
▹ 텐센트, 스스로 진화하는 추론 LLM 학습 프레임워크 ‘R-Zero’ 개발
▹ MBZUAI와 G42, 추론 AI 모델 ‘K2 Think’ 오픈소스 공개
▹ 취리히연방공과⼤, 다국어 언어모델 ‘아페르투스’ 오픈소스 공개
▹ 구글, 과학적 발견을 위한 실증 소프트웨어 생성 AI 시스템 개발
인력·교육
▹ 마이크로소프트, 교육 분야의 AI 활용 현황 보고서 발간
▹ 스탠포드⼤ 연구 결과, AI 노출도 높은 직종의 신입 근로자 고용 감소
▹ 구글 클라우드, 2025년 AI 투자수익률 보고서 발표
주요행사일정
◈본문
중국 국무원, ‘AI 플러스’ 심화 추진을 위한 정책 로드맵 발표
KEY Contents
■중국 국무원이 2035년까지 3단계에 걸쳐 전면적인 지능형 경제사회로 이행한다는 중장기 목표하에 AI 플러스 행동의 심화 추진을 위한 정책 로드맵을 발표
■로드맵은 AI 플러스의 6대 핵심 영역으로 과학기술, 산업 발전, 소비 품질 향상, 민생, 거버넌스 역량, 국제협력을 제시하고, 인프라와 인재 육성 등 기본 지원 역량의 강화 방침도 공개
□︎과학기술, 산업, 소비, 민생, 거버넌스 역량, 국제협력의 6대 영역에서 AI 플러스 추진
■중국 국무원이 AI와 경제·사회의 심층 융합을 목표로 ‘AI 플러스(AI+) 행동 심화 추진에 관한 의견’을 발표
∙2027년까지 폭넓고 심도 있는 AI 융합의 실현 및 차세대 지능형 단말과 지능형 에이전트 등의 보급률 70% 돌파, 2030년까지는 차세대 지능형 단말과 에이전트 등의 보급률을 90% 이상으로 높이고 지능형 경제를 중국 경제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만들며, 2035년까지 전면적 지능형 경제·사회 체계 구축을 목표로 제시
■‘의견’은 AI 플러스 행동을 추진할 6대 핵심 영역으로 △과학기술 △산업 발전 △소비 품질 향상 △민생 △거버넌스 역량 △국제협력을 제시
∙(AI+과학기술) AI 기반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탐색해 과학적 발견을 촉진하고, AI와 바이오 제조, 양자 등에서 기술 협력과 혁신을 강화하며, 철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AI를 적극 활용해 연구 방법을 혁신
∙(AI+산업 발전) AI가 내재된 新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제조업의 전 주기적 스마트화와 농업 분야에서 AI 도입을 촉진하며, 디지털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에서 AI 기반의 서비스 모델로 서비스 산업을 혁신
∙(AI+소비 품질 향상) 체험 소비, 개인 맞춤형 소비 등 새로운 소비 시나리오를 확대하고 지능형 커넥티드카, AI 스마트폰과 컴퓨터, 스마트 로봇 등 차세대 지능형 단말을 적극 개발해 지능형 상호작용 환경을 구축
∙(AI+민생) 인간과 기계의 협업을 촉진하는 새로운 조직 구조와 비즈니스 모델을 모색하고 교육 전반에 AI를 통합해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장려하며, 의료·보건, 문화, 육아와 노인 돌봄 등에 AI를 활용해 민생을 개선
∙(AI+거버넌스 역량) 도시와 농촌 인프라를 지능화하고 행정 전반에 AI를 접목해 효율성을 높이며 공공안전과 재난 대응, 국가안보에 AI 활용을 확대하며, 환경과 생태 관리에서도 AI 기반의 모니터링과 예측, 시뮬레이션을 강화해 정밀한 거버넌스 모델을 개발
∙(AI+국제협력) AI를 인류에게 이로운 국제 공공재로 삼아 AI 역량 강화를 위한 개방 생태계를 조성하고 컴퓨팅 자원, 데이터, 인재 등에서 국제협력을 강화하며, UN 주도의 글로벌 AI 거버넌스 체계를 공동 구축
■‘의견’은 목표 달성을 위해 AI 모델 개발의 기초 역량 강화와 데이터 공급 혁신 및 지능형 컴퓨팅 역량 강화, AI 응용 개발 환경 최적화, 오픈소스 생태계 촉진, 인재 육성을 비롯한 기본 지원 역량의 강화 방침도 제시
∙AI 분야에 대한 재정 지원을 강화하고 AI 관련 법률과 윤리 기준을 개선하는 한편, 모델 알고리즘과 데이터 자원, 인프라와 응용 시스템의 보안 역량도 강화할 계획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SPRi AI Brief_10월호_산업동향_1002_F.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