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미국 관세 조치의 글로벌 공급망 영향 분석
- 등록일2025-11-19
- 조회수53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5-11-05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미국#관세 #글로벌 공급망
미국 관세 조치의 글로벌 공급망 영향 분석
[2025년 20호 산업‧기술동향]
◈본문
○ 컨설팅 기업 Rhodium Group이 미국 정부의 對중국 관세 격차가 제조업 이전을 비롯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 지난 10년간 미국의 관세 정책 및 중국의 제조 비용 상승으로 인해 의류·가구·가전 등 노동 집약적이거나 정밀도가 낮은 산업의 이전이 가속화되면서 아세안이 최대 수혜 향유
- 반면, LED 램프, 모듈과 같이 설비투자(CAPEX) 요건, 제조 복잡성이 높고 숙련 인력이 필요한 부문의 경우 효율성과 규모의 경제를 확보한 중국이 미국의 최대 공급국 입지를 유지해 온 것으로 관찰
○ 최근 미국 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경쟁국보다 현저히 높은 수준의 무역가중평균 관세율(41%, RHG 추정)을 부과하면서 제조업체들이 중국을 벗어나 저관세 국가로 생산거점을 옮기는 현상 확대
※ 미국 정부가 무역 관계에 따라 대미 무역 적자국·균형 무역국 10%, 선진 유사입장국 약 15%, 신흥 제조 허브국 19~20% 등 관세를 차등 부과할 것으로 예견
- 경쟁국의 무역가중평균 관세율은 베트남(18%), 태국(16%), 말레이시아(11%) 등으로 신규 관세 부가로 인해 이들 국가와 중국 간의 관세 격차가 ’25년 1월 약 7%p에서 현재 24~30%p까지 확대
- 이에 따라 ▲(베트남) 신발, 의류, 가구, 소비자 가전 분야 투자 확대 및 대미 수출 증가 ▲(태국) 미국의 수출용 프린터, 복사기, 팩스 최대 공급국으로 복잡도가 낮은 수출용 전자제품의 제조 확대 ▲(말레이시아) 반도체 조립·테스트·패키징(ATP)의 허브 지역으로서 입지 강화 예상
※ 그 외 인도, 아프리카·라틴 아메리카 국가들도 부분적으로 다각화 투자 유치 등 가능
○ 1기 트럼프 행정부의 첫 무역전쟁 당시 관세 차등 정책은 공급망의 중국 유지·이전 여부를 결정짓는 주요 변수였으나, 현재는 공급망 다각화를 촉진·억제하는 여러 추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 위험 감수 성향 감소 추세, EU·인도 등 다수 국가의 대중 무역 장벽 강화, 관세 불확실성, 중국 경제 상황, 자원 제약, 중국의 투자·장비·인력·노하우 제한 조치
○ 이에 미·중 협상, IEEPA 판결, 환적 관세 및 원산지 규정 등이 향후 중국과 무역 대체국 간의 관세 격차 및 그에 따른 공급망 다각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 ▲미·중 협상으로 대중 관세가 완화될 경우 일부 기업의 중국 이탈, 제조 다변화 계획 철회 가능성 제기 ▲현재 대중 관세 부과 근거법인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의 권한 제한·무효화 시 중국과 기타 제조국 간 관세 격차 축소 가능 ▲미국 정부가 싱가포르 등 저관세 국가를 통한 우회 수출을 단속하고 원산지 비율 제한 등의 협정을 추진함에 따라 중국 외 지역으로의 공급망 다각화가 저해 또는 가속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견
(참고 : Rhodium Group, Chain Reaction: US Tariffs and Global Supply Chains, 2025.10.09.)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 루마니아, 스마트팜으로 유럽 농업의 패러다임 바꾼다
지식
- BioINwatch 미국, FY2026 대통령 R&D 예산(안) 주요내용 2025-10-15
- BioINwatch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2026년 예산안 공개 2025-08-14
- BioINwatch 미국 하버드대 벨퍼센터, 2025년 5대 핵심신흥기술(CET)에 대한 경쟁력 지수 발표 2025-08-08
- BioINwatch 미국 하원, 여야 의원 손잡고 ‘바이오테크 코커스(BIOTech Caucus)’ 출범 2025-07-31
- BioINwatch 미국 과학 가속화 프로젝트 (ASAP, American Science Acceleration Project) 2025-07-22
동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