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인프라동향

과학기술선진국 유지를 위한 미국의 과학.기술인력관리

  • 등록일2001-11-19
  • 조회수5895
  • 분류인프라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1-11-19
  • 출처
    과학재단소식
  • 원문링크
  • 키워드
    #???????

과학기술선진국 유지를 위한 미국의 과학.기술인력관리
 
우리는 마라톤 경기를 보면서 치밀한 계산과 경기 운영으로 선두를 유지하며
마침내 1위로 골인하는 선수를 보고 아낌없는 격려의 박수를 보낸다.
그러나 그 뒤에 숨은 수많은 땀과 연습 그리고 많은 사람들의 지
원이 그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은 과연 얼마나 될까?

올해 1백주년 노벨상의 발표에서 우리는 다시 한 번 과학기술에 있어서 미국의
위상과 미국이 기초과학 분야의 1인자임을 재확인했다. 노벨 물리학상, 노벨
화학상, 노벨 생리학상에서 가장 기초적인 학문 분야가 수상자로 선정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과학기술에 대한 미국의 저력과 과학기술 선진국 유지의 가능성
을 보았다.

그렇다면, 그러한 저력이 과연 어디에서 나오는 것인가?
그러한 저력의 하나라고 생각되는 미국의 과학,기술인력 관리 시스템에 대해
조사한 자료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인력자원 외에는 별다른 자원이 없는 나라에서 과학,기술
에 근간한 지식경제사회를 이루기 위해서 특히 관심을 기울여 볼 내용이다.

미국 국립과학재단(NSF1))의 SRS2) 에서는 과학기술정책 수립을 위한 과학 통계를 유지 관리하고 있으며 그
중 과학,기술관련 인력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별도의 관리를 하고
있다.

과학,기술자 교육(Education of Scientists and Engineers)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조사(SED3))
미국 내 연구기관에서 수여 받은 연구박사학위자에 대한 수와 특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한다. 조사
의 결과는 자연계 박사학위자 수급 조절에 이용되고 있으며 연방정부와 학계에서 교육 및 노동력 계획자들
에 의해 자주 사용되고 있다.
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공되고 있다.

“Science and Engineering Doctorate Awards”
“Science and Engineering Degrees”


이공계 대학원과정 학생 및 Post-doc. 이수자 조사(GSS4))
미국 내 각 기관에서 수여 받은 이공계 석,박사학위자 수와 특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한다. 조사
의 결과는 대학원생과 Post-doc. 이수자에 대한 재정지원 유형 및 이동에 관한 경향의 평가 등에 이용되고
있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공되고 있다.
“Graduate Students and Postdoctorat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고등교육조사(HES5))
미국 내 연방정부의 정책수립자와 교육계 등에서 현재 주요 관심이 되고 있는 주제에 대한 고등교육기관의
특별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며, SRS의 다른 조사와 달리 설문조사가 아닌 일방적인 조사의 형태이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공되고 있다.

“Women, Minorities and Person with Disabiliti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Postsecondary Education Data System(IPEDS)

국가교육통계센터(NCES6))에 의해 수행되는 조사로 미국 내 학사과정 이상(Postsecondary) 기관에 의해 수
여되는 학위의 유형과 수여 받은 자에 대한 정보 수집 및 이들에 대한 특성을 수집하여 다음과 같이 제공하
고 있다.

“Science and Engineering Degrees”

과학,기술 노동력(Science and Engineering Work Force)
박사학위 취득자 조사(SDR7))
미국 내 박사학위 취득자에 대한 조사로 개별적 인적통계 및 경력을 제공한다. 조사결과는 연방정부와 학술
기관의 교육계획에 대한 원천적인 자료로 활용된다. 또한 교육계,산업계,정부 등 각 분야에서 고용주체
가 자연계 박사학위자에 대한 고용 균등과 급여에 대한 동향 예측을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고
용 균등 노력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공되고 있다.

“Characterstics of Doctoral Scientists and Engineers in the United States”
“Scientists and Engineers Statistical Data System”(SESTAT)


최근의 대학졸업자 조사(NSRCG8))
이 조사의 결과는 미국내 자연계 학사 및 석사학위 취득자에 대한 개별 정보를 제공해 준다. 최근 대학 및
대학원을 마치고 직업을 가진 자에 대한 대표적인 그룹으로 많은 의사결정자들이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
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공되고 있다.

“Characteristics of Recent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s”(SESTAT)


대학졸업자 조사(NSCG9))
이 조사의 결과는 미국 내 자연계 분야에서 연수 중이거나 고용된 개인들의 특성과 숫자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 조사는 SRS에 의해 수행된 과학,기술자와 관련된 다른 조사의 보안을 위해 실시하고 있다.
조사결과는 SESTAT로 제공되고 있다.

산업고용통계조사(OES10))
이 조사는 미국 내 산업 고용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미국 노동 통계국에서 실시하고 있다. NSF의 SRS는
과학,기술자, 테크니션 등의 고용(특히 산업계의 연구개발활동에서 과학,기술 관련 고용)에 관한 상세 정
보를 얻기 위해 이 조사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 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공되고 있다.

“Scientists, Engineers and Technicians in Industry”

이민 과학,기술자(Immigrant Scientists and Engineers)
이 조사는 미국 내에 이민을 오고 있는 이민 과학,기술자에 대한 수준과 동향 및 이민 과학,기술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SRS에서 INS11)에서 얻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공되
고 있다.

“Immigrant Scientists and Engineers”
특히 과학,기술 인력관리를 위해 유지되고 있는 SESTAT12)는 다음과 같다.

개요
미국의 과학,기술인력수급에 대한 정책분석 및 연구를 위한 자료 제공하기 위해 NSF가 운영하고 있는 포괄
적이고 통합적인 미국의 과학기술인력 통계시스템이다. SESTAT는 다음의 세 가지 조사에 의한 자료를 통합
하여 만든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다.
The National Survey of College Graduates(NSCG), The National Survey of Recent College Graduates
(NSRCG), The Survey of Doctorate Recipients(SDR), NSF 내의 SRS가 관리하고 있으며, 현재 SESTAT에 구축
되어 있는 자료는 1993, 1995, 1997년에 격년으로 3회에 걸쳐 NSF가 지원한 인구통계학적 조사에 의해 얻어
진 자료들이다.
조사자료에는 응답자의 직업, 경력, 직업관련 훈련 및 회의 참가에 관한 정보 등 과학,기술인력의 고용현
황, 취득 학위 및 최근 이수과정 등 학력수준 기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1993년 이후부터 SESTAT 조사는 미국 내의 신규 학위취득자만을 포함시켰으므로, 1995년부터의 통합 데이
터 베이스는 다음의 두 가지 하위 표본을 포함하고 있다.
(1)미국 외에서 과학,기술분야 학위 취득한 자로 1990년 이후 미국으로 이민한 인력(2)1990년 이후부터
비 과학,기술전공자로서 과학,기술계 종사인력

추진배경
1980년대 말 NSF는 기존의 미국 과학,기술인력통계에 관한 조사자료의 포괄적 재검토 및 1990년에 시행될
10년 단위 인구,주택 조사 자료의 가치와 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새로운 조사방법과 절차를 제안토록
NRC13) 의 국가통계위원회(CNSTAT14))에 의뢰했다.
이에 따라 CNSTAT는 1989년 “Surveying the Nation’s Scientists and Engineers: A Data System for
1990s”를 통해 기존 통계자료에 대한 분석결과와 1990년 조사를 위한 제안을 발표했고, NSF는 CNSTAT의 보
고서를 바탕으로 과학,기술인력 통계시스템(SESTAT) 구축을 착수하게 되었다.

SESTAT의 구성 및 규모
SESTAT의 자료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SCG, NSRCG, SDR의 세 가지 조사 결과로 구성된다.
NSCG는 1993부터 격년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박사 제외)와 과학,기
술분야에 종사하는 비 과학,기술분야 전공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를 포함하고 있다. NSRCG는 1970년대 초부
터 실시하고 있으며, 1993년 조사는 1990년까지의 자료에 1990-1992학년도에 학위를 받은 과학,기술분야
학사 및 석사 학위 소지자를 포함하고 있다. SDR은 1970년대 초부터 실시하고 있으며, 미국 내에서 과학,
기술분야 박사학위를 취득한 75세 이하의 인력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NSF가 지원하는 또 다
른 조사인 Survey of Earned Doctorates에서 얻어지는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들에 대한 자료를 격년으로 부
가해가고 있다.

SESTAT의 통합 DB는 과학,기술 관련 다양한 학문분야뿐 아니라 직업분야의 인력을 포함하고 있다(그림1 점
선 부분). 1993 SESTAT 통합 DB는 11,615,200명에 대한 자료이며, 11,021,600명의 과학,기술분야 학위
(학, 석, 박사 중 최소한 하나) 소지인력, 593,600명의 비전공 과학,기술계 종사인력을 포함하고 있다.

1995 SESTAT 통합 DB는 12,036,300명에 대한 자료이며, 11,456,800명의 과학,기술분야 학위(학, 석, 박
중 최소한 하나)소지인력, 334,100명의 비전공 과학,기술계 종사인력과 245,400명의 비전공 또는 미취업자
를 포함하고 있다.

SESTAT를 통한 정보
과학,기술자 고용시장에 관한 정보
취업자에 대해 주직업과 급여, 은퇴여부, 고용기관의 유형 및 고용형태, 직무상 관리 대상의 인원, 일과 최
종 학력과의 관계, 전형적인 일의 형태, 직무상 요청되거나 소지하고 있는 면허 및 자격증, 미국 정부의 연
구지원(정부 부처나 에이전트 등을 통한 지원 포함), 부업(직종, 급여, 일과 최종학위분야와의 관련 포함)
에 관한 사항들이다.
한편, 비취업자에 대하여는 조사기간(조사주간) 내에 일을 할 수 없는 이유, 최근의 고용시기, 최근의 직
업 등에 대한 사항들이다.

기타 과학,기술자 관련 정보
전문적인 사회활동 및 협회(모임 참가 포함), 일과 관련한 연수활동 참가(연수형태 및 참가 이유 포함) 등
이다.

교육
처음 받은 학사학위와 최근의 두가지(있는 경우)학위에 대한 정보, 분야(주,부), 받은 시기 및 취업이전
의 교육과 현재의 지속교육(대학이후 교육 과정, 사유와 교육분야, 고용주의 재정적 지원)에 대한 사항이
다.

기타 정보
가족관계에 관한 정보는 결혼 상태, 배우자 고용 상태(전일제/시간제, 기술적 전문성 요구 사항), 가정에서
의 어린이 양육(연령 포함)여부, 부모의 교육정도이다.
인구통계적 정보는 사회보장 형태(유형), 연령, 민족/인종, 성별, 장애여부, 출생지 등이다.

특별조사 사항
지속적이 아닌 연도별 특별조사 자료의 정보이다.
1993년에는 1988년도의 노동고용 상태에 대한 특별조사를 했다. 그 내용은 고용주와 직업의 유형, 지금 직
업과 다른 경우(고용주와 직업 변경에 대한 사유), 전문적인 일의 경력 등이다.

1995년에는 SDR에 있어서 Post-doc. 이수에 관한 사항을 특별 조사했다. 그 내용은 현재까지 Post-doc. 이
수를 하고 있는 지, 경력직 Post-doc.의 수, 고용주의 형태(지원받는 수익형태를 포함하여), 현재의 직업
이 과거 Post-doc. 이수기관이었는 지에 관한 사항 등이다. 또한 NSCG와 SDR에 있어서 특허와 출판 활동에
관한 특별조사도 실시했다. 그 내용은 논문 또는 기타 출판물의 수, 특허출원수 및 등록수와 상용화에 기여
한 정도에 관한 사항이다.

1997년에는 대안적인 또는 임시적인 일의 경력에 대한 특별 조사를 실시했고, 그 내용은 대안적인 일 또는
임시적인 일에 있어서 고용주와의 관계(컨설팅, 계약 등), 그러한 일을 하게된 연유, 어떤 수익을 받았는
지, 받았다면 어떤 형태의 수익이었는 지에 관한 사항 등이다.

SESTAT 분석의 이용
SESTAT 분석에 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이용되고 있다.
“Degrees and Occupations in Engineering: How Much Do They Diverge?”(NSF 99-318)
“How Much Does the U.S. Rely on Immigrant Engineers?”(NSF 99-327)

“What Follows the Postdoctorate Experience? Employment Patterns of 1993 Postdocs in 1995”(NSF 99-
307) “Is The Gender Gap In Unemployment Dis- appearing?”(NSF 97-323)(SDR only).

“Recent Engineering Graduates Out-Earn Their Science Counterparts”(NSF 96-327).

“Will Small Business Become the Nation’s Leading Employer of Graduates with Bachelor’s Degrees
in Science and Engineering?”(NSF 99-322).

“Employment of Scientists and Engineers Reaches 3.2 Million in 1995”(NSF 98-325).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국은 과학,기술에 관한 인력에 대해 철저하게 자료를 수집하고 관리를 하고 있
다. 서두에 말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에 대해서는 미국보다 더 우수한 관리시스템을 구축
하는 것이 바로 과학,기술지식이 근간이 되는 지식기반 사회의 경쟁에서 선진국의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방안 중의 하나라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것이 “기능 한국”에서 시작한 우리나라가 이제는 “기술 한국”
의 시대를 거쳐서 “과학 한국”의 시대를 이루는 기반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우리는 이제야 미국의 SDR과 비슷한 프로젝트를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향후 이와 유사한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서 과학,기술과 관련된 인력을 박사학위자뿐만 아니라 학사 및 석사학위자, 기술사
등 과학,기술 관련 인력을 총괄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문 의 : 한국과학재단 지식확산팀장 정현희(hhchung@kosef.re.kr)

(과학재단소식 2001년 11월호)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