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동향
수학적 모델을 이용한 신종인플루엔자 환자 예측 및 대응 전략 평가
- 등록일2010-05-18
- 조회수11629
- 분류인프라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0-05-17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 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종인플루엔자
- 첨부파일
수학적 모델을 이용한 신종인플루엔자 환자 예측 및 대응 전략 평가
Mathematical modeling of the pandemic novel influenza A(H1N1) virus and evaluation of epidemic response strategies in the Republic of Korea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연세대학교 WCU 계산과학공학과
질병관리본부 전염병대응센터 공중보건위기대응과
Ⅰ. 들어가는 말최근 각 국가에서는 2009년도의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의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추가적인 대유행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보건의료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비록, 작년에 유행한 신종인플루엔자의 경우, 치명률이 낮았으며, 기존의 약제에 적절하게 반응을 보여, 준비가 완전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기본감염재생산지수 및 치명률이 높은 질환이 유행할 경우, 환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한 보건의료시스템의 붕괴뿐만 아니라, 기업의 연속성과도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질 수 밖에 없어 이에 대한 대응은 국가적인 위험관리(risk management)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1999년부터 신종인플루엔자의 대유행을 경고하며 국가적 대응책 마련을 촉구하였으나,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이 발생하기 전까지 국내외 관심은 저조하였다. 이후 2005년에 수학적 모델을 활용한 조류인플루엔자 봉쇄전략에 대한 결과가 발표되어[1], 국가적 차원의 대응책 개발의 중요한 근거로서 활용되었으며, WHO는 이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유행의 조기 차단을 위한 항바이러스제의 비축을 제시한 바 있다[2].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