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동향
난치병으로 고통받는 이들을 위한 또 한 번의 도약 - 국가줄기세포은행 운영 개시
- 등록일2012-10-18
- 조회수8042
- 분류인프라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2-10-16
-
출처
질병관리본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줄기세포
- 첨부파일
난치병으로 고통받는 이들을 위한 또 한 번의 도약
- 국가줄기세포은행 운영 개시
□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조명찬)은 줄기세포?재생의료 연구 활성화를 위한 국가 인프라 구축의 일환으로 국가줄기세포은행을 ‘12년 10월 17일(수)에 개소한다.
○ 국가줄기세포은행은 2015년 건립 예정인 줄기세포·재생센터의 핵심 기구로서 국내에서 수립되는 줄기세포주를 확보?보관?관리하고, 미국, 영국 등 해외 줄기세포은행과 협력하여 해외 줄기세포주 및 관련 연구정보를 확보하여 국내 연구자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국가줄기세포은행은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가에서 등록?관리하는 인간배아줄기세포주와 금번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기술로 수립된 역분화줄기세포주를 공급함으로써 관련 기술 실용화 연구에 힘을 보탤 계획이다.
□ 국가줄기세포은행 개소에 따라 국립보건연구원은 국내 줄기세포주의 대외 신뢰도 강화, 줄기세포?재생의료 인프라 구축에 따른 연구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아울러 국가줄기세포은행의 개소는 의료비 지원 등과 같은 사후 대책 마련이 아닌 적극적인 예방 조치로서 난치병 치료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는 줄기세포·재생의료 연구의 인프라를 국가가 직접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국립보건연구원은 국가줄기세포은행 개소 후 이를 중심으로 국내외 줄기세포 연구자 간 교류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줄기세포주 등의 연구자원 관리 인프라의 중심 축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 한편, 국립보건연구원은 국가줄기세포은행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지난 5월 독일 베를린-브란덴부르크 재생치료센터와도 MOU를 맺는 등 줄기세포·재생의료 분야의 국내외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붙임> 1. 국가줄기세포은행 세부 운영 계획
국가줄기세포은행 세부 운영 계획
□ 기본 기능
○ (목표) 중앙 저장고(National Repository)로써 줄기세포주를 확보, 안전하게 보관하고, 민간연구자에게 공급하여 재생의료 연구 활성화
○ (내용) 줄기세포주 확보, 관리 및 보관, 분양(‘12~)
- 줄기세포주 확보 : 줄기세포주의 적극적 기탁 유도 및 역분화줄기세포주 직접 수립을 통한 자원 확보
- 보관 및 분양 : 수립자의 요구에 따른 줄기세포주 안전 보관 및 기탁?관리중인 세포주 분양
□ 줄기세포 품질관리
○ (목표) 줄기세포주 특성분석 및 품질관리를 강화하여 줄기세포주 품질 향상 및 신뢰성 제고
- 줄기세포주 품질관리 : 표준운영지침에 따라 줄기세포주의 특성분석 및 품질관리
? 기초특성 : 배양조건, 성장?분화능력, 안전성(미생물 오염) 등
? 상급특성 : 분화특성(세포주 간 비교분석) 및 안정성(핵형변화 및 돌연변이) 등
□ 줄기세포주 표준화 및 국제협력
○ (목표) 줄기세포?재생의학 표준랩 및 표준화위원회 운영을 통한 제2세대 세포치료제의 국제 표준화 기조에 대응
○ (내용) 재생의학기술 표준화위원회 및 줄기세포?재생의학 표준랩을 통한 국내 기술 표준화 및 국제 협력
- 재생의학기술 표준화위원회 : 줄기세포주 및 세포치료제 생산 기술 표준화를 위한 협의체
? 줄기세포주 배양?특성분석 등 기반 기술 표준화
- 국제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는 국제줄기세포은행이니셔티브(ISCBI)에 주도적으로 참여, 국제 표준화 기조에 적극 대응
? 미국, 영국 등 국가줄기세포은행과 협력을 통한 줄기세포주 및 관련 연구정보 상호교류
<붙임> 2. 해외 유사기관 사례
○ 영국
- 영국줄기세포은행
? 기능 : 배아줄기세포은행(보관, 배양, 품질관리, 표준화, 분양)
? 현황 : 배아줄기세포주 70주(임상등급 포함) 보유, 20여개주 상시 분양가능
- 스코틀랜드 재생의학센터(Scottish Center for Regenerative Medicine)
? 기능 : 줄기세포 기초 및 세포치료제 연구 개발
○ 스페인
- 안달루시아 재생의학센터(CABIMER)
? 기능 : 줄기세포 기초 및 세포치료제 연구 개발
- 바르셀로나 재생의학센터(CMRB)
? 기능 : 재생의료 연구(만성질환극복), 인간 발생학 연구, 배아줄기세포 수립 및 은행(보관, 배양, 품질관리, 표준화, 분양)
? 현황 : 배아줄기세포주 29개주 보유
○ 일본
- 교토대 역분화줄기세포응용연구소(CiRA)
? 기능 : 줄기세포 기초 및 세포치료제 연구 개발(역분화줄기세포중심)
- 이화학연구소 발생생물학센터(RIKEN CDB)
? 기능 : 인간 발생학 및 재생의학 기반 연구
○ 미국
- 미 국립보건원 재생의학센터(NIH CRM)
? 기능 : 줄기세포은행 구축?운영 및 역분화줄기세포 이용 재생의학 연구 수행
- 웨이크포레스트 재생의학연구소(WFIRM)
? 기능 : 재생의학 기초?임상 및 산업화 연구(생체재료 중심)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