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동향
바이오 연구 인프라의 관리·활용 실태 및 개선 방안
- 등록일2016-01-19
- 조회수6237
- 분류인프라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5-12-31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 연구 인프라
- 첨부파일
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바이오경제시대 과학기술정책의제 연구 사업(5차년도):
바이오 연구 인프라의 관리·활용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바이오경제시대를 개척하기 위해 연구 인프라 정비를 통해 양질의 연구개발 성과를 창출해나가는 일이 새로운 경쟁력으로 부상함
○ 바이오분야에서는 일반적인 연구시설?장비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생물자원과 관련 생명정보가 핵심 연구소재가 되어 왔으며, 이들을 제공하는 생물자원은행(Biological Resource Center, BRC)의 인프라적 기능이 재조명받고 있음
○ 국내외적으로 바이오연구가 활성화되면서 생물자원은행(BRC)도 증가해왔으나, BRC의 양적 성장에 걸맞는 질적 성장이 있었는지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음
○ BRC의 기능을 종합 진단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일이 요청되는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BRC에 관한 선행 연구는 제한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왔음
○ 본 연구는 BRC의 연구 인프라적 기능에 주목하여 BRC의 관리?활용 실태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향후 바이오연구 활성화를 위한 BRC 정책 과제를 제시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 연구 인프라의 정의
□ BRC의 개념 정의 및 구성 요소
□ 시스템적 관점에서 바라본 연구 인프라와 BRC
□ 바이오 연구의 핵심 거점으로서 BRC의 기능
□ BRC에 관한 사회경제적 분석틀
□ BRC에 관한 기술경영적 분석틀
□ 국가 관리 BRC에 대한 분석틀
□ 국가 관리 BRC의 형성 과정
□ 현재 운영 중인 국내 BRC 개괄
□ BRC 운영을 둘러싼 바이오 연구 환경
[결론 및 정책제언]
○ 본 연구에서 BRC가 바이오 연구의 핵심 인프라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개선이 필요한 문제점들도 드러났음. 이상의 종합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추진해야할 정책 과제 다섯 가지를 제안하고자 함
(1) 국가적 종합 전략 수립 및 조정 메커니즘 확립
(2) "가치" 중심 관리로 전환
(3) "이용자" 중심 관리로 전환
(4) BRC 관리의 과학화 및 전문화
(5) 재정적 지속가능성 강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