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동향
신약개발 역량 강화를 위한 혁신시스템
- 등록일2017-05-11
- 조회수6353
- 분류인프라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7-04-28
-
출처
KDB산업은행 산업기술리서치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약개발#역량강화#혁신시스템#바이오클러스터#육성 정책
- 첨부파일
출처 : KDB산업은행 산업기술리서치센터
신약개발 역량 강화를 위한 혁신시스템
엄기현 / 산업기술리서치센터 선임연구원
[목 차]
I. 혁신시스템 개요
II. 신약개발과 혁신시스템
III. 결론 및 시사점
신약개발은 장기간 소요되고 고비용이 들기 때문에 한 기업이 단독으로 추진하기에는 너무 어렵고 리스크가 크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각 기업은 우수한 연구 네트워크와 우호적인 투자환경 등을 갖춘 혁신시스템을 통하여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혁신 시스템이란 정부, 대학, 기업 등의 상호연계 속에서 기업이나 대학이 단독으로 달성하기 어려운 과학의 발전 또는 기술개발을 촉진시키는 환경을 말한다. 유럽을 포함한 각국 정부는 제약?바이오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80년대부터 생명공학 관련 육성 정책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며 근래에는 미국 보스턴, 샌프란시스코 등의 바이오클러스터 성공사례를 연구 및 벤치마킹 중이다.
또한, 전체 신약의 상당수가 대학교 연구에서 유래된 점을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 정부의 기초과학 연구지원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대학?기업 간 중개연구는 신약개발의 핵심요소 중 하나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 등을 통해 장려되어야 한다. 최근 등장한 혁신생태계란 용어는, 정부?대학?기업 외에 금융기관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벤처캐피탈과 같은 금융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최근 바이오섹터 전문 벤처캐피탈의 수가 늘어나고 투자도 증가하였지만, 추가 정책펀드 조성 없이는 이러한 증가 기조가 유지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결론적으로 신약개발에 적합한 혁신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정부의 간접적인 역할 확대, 대학?기업의 도전적인 연구개발, 금융기관의 지속적인 투자가 요구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