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인프라동향

실험실 창업 활성화를 위한 기술사업화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

  • 등록일2019-06-26
  • 조회수5349
  • 분류인프라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9-06-10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실험실 창업#이노베이터#공공기술사업화기업
  • 첨부파일

 

 실험실 창업 활성화를 위한 기술사업화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실험실창업 관련 법률 및 정책
1. 실험실창업 관련 법률
2. 실험실창업 지원정책
3. 실험실창업 지원사업

 

Ⅲ 실험실창업 관련 설문조사 결과
1. 개요
2. 주요 결과 및 시사점

 

Ⅳ 기술사업화 전문인력 양성과정 설계
1. 개요
2.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3. 학생선발 및 지원방안
4. 전문교육기관의 선정

 

Ⅴ 실험실창업 활성화를 위한 대학과 정부의 역할

 

<참고 1> 기술사업화 관련 교육과정 유사사례
<참고 2> 설문지
<참고문헌>

 

 

[내용]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성장과 분배, 특히 일자리 문제에 있어 전 세계적으로 창업기업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기술기반 창업기업들이 좋은

일자리를 만들고 있음

 

?한국경제는 대기업의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성장해 왔으나, 금융위기 이후 저성장 시대에 진입하면서 성장, 고용창출 및

 분배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음 

 

- 잠재성장률은 2000년대 초 5.0%에서 2016년 2.8%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주력산업인 제조기업의 매출이익률과   영업이익률이 모두 감소하는 등 성장세가 둔화됨

 

※ 대기업이 성장하면 그 혜택이 중소기업으로 흘러 선순환 된다는 ‘낙수효과’는 효력을 상실하고 있으며, 사업 구조

자체가 달라져 오히려 연결고리가 약화되는 ‘디커플링(de-coupling)’ 현상 심화
(중소기업 연구원, 2017)

- 자동화 등으로 인한 ‘고용 없는 성장’으로 고용 창출력이 약화되고 있으며, 특히 청년일자리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표 1-1> 연도별 청년 일자리 현황(%)


20190626_093033.png

(출처: 고혁진 외(2018), 기술창업 스카우터 활성화 방안에서 재인용)

 

 

?최근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산업 전반의 체질 변화의 직면으로 노동력 수요 및 일자리의 급감이 예상되는 바, 세계적으로

융합 기술·산업구조에 빠르게 대응 할 수 있는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중요성 대두

 

- OECD(2013)에 따르면 창업 후 6년 이상 기업은 매년 일자리가 연 평균 2.07% 감소하였으나, 창업 후 5년 이내의 기업은 매년 2.87%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한 것으로 보고됨.

※ 스마트팩토리의 대표 사례인 독일 암베르크 부품공장은 26년 전에 비하여 생산량은 8배 증가
했으나, 일자리는 1,000개로 동일

 

※ 미국의 경우도 ‘15년 41만개 이상의 창업기업들이 2백 5천만 개의 일자리를 새롭게 창출(’17년
통계국(US Census Bureau))

- 국가별 초기단계기업활동지수(TEA)는 1인당 GDP와 U자형 상관관계를 보이는데, 1인당 GDP가 높은 국가는 신성장동력의

일환으로 창업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음(신동평 외, 2015)

 

 

?한편, 기술기반의 창업은 청년들이 선호하는 좋은 일자리(Good Job)를 만들어 내고 있음

 

- 기술기반 창업은 다른 형태의 창업은 물론, 대기업에 비해서도 일자리 창출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김선우 외, 2015)

 

- 최근 들어 ‘좋은 일자리’에 대한 생각이 변화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창업 기업의 급여에도 불구하고 창업기업을 좋은 일자리로 인식

※ 노동시장서의 ‘좋은 일자리’란 일자리부터 주어지는 결과로서의 보상(경제적 측면)과 직업적 위세 (사회적 측면)

그리고 근로자 자신이 그 일자리에 대해 갖게 되는 직무만족도(주관적-심리적 측면)가 복합적으로 충족되어야 함

(방하남·이상호, 2005)

 

※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직장인 585명을 상대로 벌인 온라인 설문조사(2017)에서 좋은 직장의 조건을 물은 결과 50.6%(복수응답)가 '근무시간 보장'을 지목했으며, 우수한 복지제도'(34.2%), 일과 사생활의 양립(27.5%), 높은 연봉(24.1%),

고용 안정성 보장(15.2%) 등을 좋은 직장의 조건으로 제시

 


<‘연봉 반토막도 좋다, 대기업 때려치고 스타트업 우르르’>


- 모바일 콘텐츠를 제작하는 스타트업 ‘피키캐스트’에서 에디터로 일하는 김모씨(30): “대기업 에서 계속 일 할 자신이 없었어요. 행복하지 않았어요” 대기업보다 연봉은 30%가량 줄어들었지만 좋아하는 글쓰기 일을 하는 것이 행복하다.

 

- 1년전 A제조기업에서 2년차 소셜미디어 스타트업으로 이직한 최모(39)씨: 연봉은 6000만원에서 5000만원 선으로 깎였다.

그러나 직급은 사원에서 팀장으로 올랐다. 무엇보다 매년 일정금액 범위 내에서 주식을 받는다. 최씨는 “지난해 약 3000주를 받았다. 현재 주식 가치는주당 1만원 정도”라며 “미래가 밝은 회사에서 일하는 게 자랑스럽다”
(출처: http://news.chosun.com/misaeng/site/data/html_dir/2016/03/16/2016031601425.html)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