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동향
KISTI ISSUE BRIEF 제24호 : 뉴노멀 시대의 과학기술 데이터 기반 R&D 전략
- 등록일2020-09-14
- 조회수5510
- 분류인프라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8-21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뉴노멀#과학기술#데이터#R&D
- 첨부파일
뉴노멀 시대의 과학기술 데이터 기반 R&D 전략
[CONTENTS]
1.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뉴노멀 시대의 도래
ㆍ 코로나19 사태와 비대면 경제의 확산
ㆍ 코로나19 위기 극복 과정에서 데이터의 분석과 활용
ㆍ 뉴노멀 시대의 도래
2. 뉴노멀 시대를 위한 과학기술 정책 동향
ㆍ 해외 과학기술 정책
ㆍ 국내 과학기술 정책
ㆍ 주요 시사점
3. 과학기술 데이터의 분석과 활용 방향
ㆍ 데이터 분석과 활용 기회
ㆍ 데이터 분석과 활용을 위한 협력 강화
ㆍ 데이터 분석과 활용 환경 조성
4. 과학기술 데이터 기반 R&D 전략
ㆍ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주요 역할
ㆍ 데이터 분석과 활용 제고를 위한 방안
ㆍ 정책적 제언
<요약>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는 일상생활에서의 비대면 문화(Untact culture)확산과 경제사회 전반에 걸친 비대면 경제(Untact economy)라는 큰 변화를 촉발시켰다. 이러한 비대면화는 디지털化와 온라인化를 기반으로 더욱 심화ㆍ확산되어 감염병 만연시대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아 뉴노멀(New Normal) 시대를 열고 있다. 뉴노멀 시대에서는 기존의 새 시대의 가치들이 혼재하기 때문에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과학기술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세계 주요국에서는 뉴노멀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자국의 과학기술 역량을 총 집결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기반의 한국판 뉴딜 전략을 통해 경제구조 고도화, 일자리 창출과 함께 디지털 경쟁력 확보에 중점을 두는 전략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19가 데이터 경제를 수용하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축적된 대규모 데이터의 분석과 활용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과학기술 데이터와 인공지는 기술을 융합하여 미래를 예측하고, 이를 공공 및 산업 분야의 다양한 데이터와 결합하여 각종 사회현한 해결과 국민 삶의 질 향상 등과 관련된 의사결정 지원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 각층에서의 데이터 분석 역량 강화는 국민의 인식 전환과 함께 중요시되어야 하며, 과학기술 데이터 분석과 사회적 활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선도형 R&D를 활성화하는 계기를 조성하기 위한 선제적인 정책 및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
- 정책동향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사회서비스 통합, 역량강화형 복지·돌봄혁신 방안 2025-05-02
- 정책동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심의회의를 통한 과학기술혁신 종합조정기능 강화 방안 연구 2025-04-29
- 정책동향 지역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기획 및 제도 구축‧활성화 방안 연구 2025-04-25
- 기술동향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연구(5차년도): 제7회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사전기획 연구 2025-04-09
- 정책동향 2024년도 과학기술분야 정책점검 체계 구축 및 국가과학기술현황 종합인식조사 연구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