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인프라동향

(GT주간브리프-브뤼셀) 유럽 클러스터(Clusters) 프로그램

  • 등록일2020-10-16
  • 조회수4660
  • 분류인프라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0-09-10
  • 출처
    GT코리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유럽#클러스터#프로그램
  • 첨부파일

 

[글로벌 산업기술 주간브리프]

 

유럽 클러스터(Clusters) 프로그램

 

1. 개요

□ 유레카 클러스터 프로그램(ECP; Eureka Cluster Program)은 경제·사회적 이익 등 공공부문과의 밀접한 협력으로 주요 전략과제 연구개발혁신(R&D&I) 커뮤니티를 지원하기위한 장기간 국가협력 이니셔티브

ㅇ 유레카는 참여국들이 국가별 R&D 프로그램에 기반을 두어 연구개발 협력을 할수 있도록 보장

ㅇ 유레카 클러스터는 산학연 협업을 통해 신제품 및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시장에출시하도록 지원하는 중장기 R&D&I 에코시스템으로, R&D&I 커뮤니티 지원을위해 프로젝트 구축, 전문가 코칭, 전략적 연구 아젠다 등 수행

 

□ ECP는 지난 30년간 산업 R&D 허브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였으나, 미래변화 대응관점에서 기존 클러스터 컨셉트에 대한 조정 및 변화가 요구됨

ㅇ 클러스터를 둘러싼 혁신생태계는 최초 도입 시기 대비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최근몇 년간 각국의 재정 지원이 감소되는 추세

ㅇ 또한, 최근 유럽연합 프로그램은 산업과 연관된 연구혁신 파트너십을 매우 강조하고 있어 이는 유레카 고유의 특성을 축소시키는 결과를 초래

 

□ 개편된 ECP는 상향식 과제발굴, 공공-민간 간 협업, 차세대 혁신을 위한 신뢰도 높은R&D&I 생태계 역할이라는 유레카 클러스터의 고유 강점을 유지할 것임

ㅇ 다만, 유럽 연구혁신 체계에서 다른 프로그램 대비 ECP의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 해결 필요

ㅇ 클러스터는 대형 산업 이니셔티브에서 주제별 에코시스템으로 민첩하게 전환이 가능해야 하며, ECP가 새롭게 부상하는 우선순위 주제에 대해 R&D&I 협력을 유연하게연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임

ㅇ 국가별 산업 전략은 정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는데, ECP는 유레카 참여국의 국가정책우선순위 변화를 대응할 수 있어야 함

 

□ ECP의 유연성은 클러스터들과 공동 유레카 클러스터 공모 조직, 그리고 새로운 R&D&I커뮤니티를 수용하는 신속성을 조화롭게 운영하는 과정을 통해 가능

ㅇ 이러한 근본적인 인식은 클러스터의 운영체계, 조직 및 프로그램 실행조직을 재조명하였으며, 그 결과 ECP의 새로운 조직구조가 도출됨

ㅇ 산학연 혁신 생태계는 ECP의 핵심에 유레카 클러스터로 남아있을 것이며, 공공-민간 간의 대화는 통합조정기구(Cetral Coordinating Function) 역할에 의해 촉진될 예정 (그림 1)

ㅇ 그간 유레카 클러스터의 귀중한 자산이었던 "bottom-up(상향식)" 방식은 ECP의필수적 부분으로 유지될 예정

 

□ 본 계획의 시행에 따라 유럽 연구혁신 환경에서 ECP의 부가가치가 명확해 질 것으로 기대

ㅇ EU 이니셔티브들에 비해 ECP는 국가별 새로운 R&D&I 우선순위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향후 유럽의 경쟁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ㅇ 또한 참여자의 행정부담 경감, 상향식 과제 도출, 신뢰성 있는 R&D&I 생태계 내의전문가 코칭으로 자리매김할 것

 

□ 본 계획서는 통해 유레카 클러스터의 원칙을 규정하고, 유레카 클러스터 가이드라인등 이전에 정의된 모든 문서들을 대체함 (2021년 12월까지 전환 기간을 조건으로 함)ㅇ ECP는 SWOT 분석을 기반으로, 2019년 영국 유레카 클러스터 의장국 하에 수행되었으며, 유레카 회원국과의 긴밀한 협력에 의해 개발되었음

 

[그림 1] 조직 구조


1.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