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동향
헬스케어 데이터경제의 미래
- 등록일2022-02-18
- 조회수3525
- 분류인프라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2-01-11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헬스케어 데이터경제
- 첨부파일
헬스케어 데이터경제의 미래
◈목차
I. 서론
II. 헬스케어 데이터경제 환경 분석
III. ‘헬스케어 데이터경제의 미래' 예측연구
I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
I.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표
1. 연구의 배경
□ 최근,코로나 핀데믹의 영향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헬스케어, 교통, 교육, 문화 등 사회 전 영역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음
O 디지털화는 삶의 질 및 노동생산성의 향상,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 환경 보호 등을 가능하게 하는 긍정적 측면 존재
- 헬스케어 영역에서는 DTC 서비스*를 중심으로 개인의 유전 정보, 임상 정보, 생활 습관 정보 등을 분석하여 질병의 진단,치료,예측,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최적의 맞 춤형 의료 •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 DTC(Direct To Consumer : 소비자 직접 의뢰}는 의료기관이 아닌 유전자검사기관에서 소비자에
게 직접 검사를 의뢰받아 유전자 검사를 수행하여 서비스 제공
O 하지만,디지털 기술사용의 증가에 따른 전력수요, 사이버 보안,사회경제적 불평등 등의 새로운 위협과 도전을 초래하고 있음
- 빅데이터,인공지능 등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제품 및 서비스 등의 등장으로 인해 관련 산업 •직종 일자리 감소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 될 가능성 존재
□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는 “지속가능한 성장” 측면에서 전세계적으로 새로운 기회와 위험을 동시에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방안 마련 필요성 증대
O UN등 전세계 주요 연구기관은 디지털 기술이 “지속가능한 성장”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음
※ UN은 2015년 17개의 목표와 169개의 세부목표로 구성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발표했는데, 많은 목표들이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필요로 함 (OECD,2017)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