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인프라동향

데이터로 세상을 바꾸다-포스트 퀀텀 시대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KREONET 양자암호통신

  • 등록일2022-11-03
  • 조회수2457
  • 분류인프라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10-24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데이터 중심 연구환경#양자암호통신
  • 첨부파일

 

 포스트 퀀텀 시대의 안전한 통신


 

◈ 목차

⑴ 양자암호통신 개요
⑵ 양자암호통신 핵심기술
⑶ 양자암호통신 구축동향
⑷ KREONET 양자암호통신 구축전략제언
 

 

◈본문

1. 양자암호통신 개요
 포스트 퀀텀시대의 보안
 (양자컴퓨터) 중첩과 같은 양자역학의 고유한 물리적 현상을 활용하는 양자비트 (Quantum bit) 기반의 확률적 연산 컴퓨터로, 구글은

  2019년 53개의 양자비트 양자컴퓨터 칩을 발표함

 (양자우월성) 특정 문제에 대해 양자컴퓨터가 기존컴퓨터를 능가하는 연산성능이 증명된 경우, 해당문제에 대한 양자우월성이 달성되었

  다고 일컬음 

 (현재 보안기술에 대한 위협)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RSA 암호체계는 복잡한 계산을 요구하는 소인수 분해와 같은 방법에 기반하며, 

  소인수분해 문제는 1996년 Peter Shor에 의해 양자우월성이 증명되었음 

 (포스트 퀀텀시대의 보안요구) 따라서 도래하는 포스트 퀀텀시대에서의 안전한 통신을 위하여, 계산에 기반 한 종래암호통신기술의 한

  계를 극복한 일회성패드 (one-time pad)와 같은 암호기술이 필수로 요구됨


 양자암호통신이란

 (양자암호통신) 양자암호통신은 복제 불가성과 같은 양자의 내재적 특성을 활용한 통신의 물리적 보안기술 이며, 특히 도래하는 포스트 

  퀀텀시대에서도 무조건적인 보안을 달성할 수 있는 기술로 기대되고 있음

 (양자키분배) 양자키분배(QKD)는 데이터암호화에 활용되는 양자키를 사용자 간 분배하고 관리하는 기술로써, 도청이 불가하다는 양자의

 물리적 특성을 통해, 일회성패드를 현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로 이해되고 있음


 양자암호통신 국내외 현황

 (국내외 시장현황) 매우 높은 수준의 보안을 요구하는 정부부처, 국방, 금융, 통신사업자 등의 유무선 인프라 보호 및 인증을 위한 네트워

  크 보안시장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음

 (국내 시장규모)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에 따르면, 국내 양자암호통신관련 시장은 2021년 1,363억원 규모로 추산되며, 2025년엔 1조 

  4,051억원 선으로 성장할것이 전망됨 

 (세계 시장규모) 세계 양자암호통신시장은 2020년 약 778백만 달러로 추산되며, 2030년에는 29,012백만 달러규모로 성장할 것이 전망되

  며 특히, 2030년에는 세계 전체 보안시장의 12% 규모 수준인 약 29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