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인프라동향

혁신역량에 따른 중소·중견기업 지원 기준에 대한 연구

  • 등록일2023-06-07
  • 조회수2158
  • 분류인프라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3-05-31
  • 출처
    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혁신역량#중소·중견기업#지원 기준
  • 첨부파일
    • pdf 산업경제분석(혁신역량에+따른+중소.중견기업+지원+기준에+대한+... (다운로드 6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혁신역량에 따른 중소·중견기업 지원 기준에 대한 연구


◈ 목차

1. 서론

2. 혁신형 기업의 선별 기준

(1) 혁신형 강소기업군 선별 기준

(2) 혁신형 중견기업군 선별 기준

3. 혁신형 강소·중견기업의 특징 및 정책 수요

(1) 혁신형 강소·중견기업의 현황 및 혁신 관련 지표

(2) 혁신형 강소·중견기업의 정책 수요

4. 결론



 

◈본문

본 연구는 우리 경제의 허리 역할을 담당하면서 급변하는 세계경제 조류에 대응할 수 있는 일정 규모 이상의 역량을 지닌 기업들을 혁신형 강소·중견기업이라 정의하고 이러한 기업들을 식별하는 기준과 그 기준을 만족하는 기업들의 특성에 대해 살펴본다혁신형 기업군을 식별하기 위해 최소한의 혁신의지와 노력을 기울이는 중소·중견기업을 정책 수혜의 대상으로 삼기 위한 혁신의지 기준과 내수 매출과 수출을 통해 경제적 성과를 거두고 있는 기업들을 선별하기 위한 판로개척 역량 기준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한국기업혁신조사(2018)를 통해 식별한 혁신기업군의 혁신성은 비혁신기업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그러나 혁신 관련 정책 수요는 여전히 존재하며대부분의 정책 수요가 혁신형 기업군과 비혁신형 기업군의 차별성을 드러내지만일부 저해 요인은 혁신기업과 비혁신기업에서 비슷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정책 수요 관련 한국기업혁신조사(2018) 문항의 구체성이 떨어지는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정책 대상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역량 수준에 기초하여 혁신형 기업군의 정책 수요와 관련구체적인 지원사업 발굴과 활용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제시한 혁신역량별 지원 대상 선별 방안은 기존의 중소·중견기업 지원 정책에서 일관되게 드러난 규모별·산업별 지원과는 다소 차별화된 전략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으며기업의 역량별로 혁신성과 혁신 관련 정책 수요 등이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따라서 일정 규모 이상의 중소·중견기업 지원 정책을 펼치기 위해 기업 역량 평가 기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

 

디지털전환탄소중립의 가속화와 같은 급격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세계 경제의 변동성이 심화되는 가운데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선도할 수 있는 중소·중견기업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특히 공급망 안정글로벌 진출 등과 같은 중요한 현안에 대한 대응은 일정 규모 이상이면서 특정 수준 이상의 혁신역량을 보유한 기업이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따라서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와 기술 개발 조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역량을 가진 기업군을 선별하여 지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 정부는 그간 글로벌 경제의 변동성 및 공급망 안정 등의 현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혁신기업군을 통한 위기 극복이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관련 정책을 제시해 왔다그러나 해당기업군에 대한 뚜렷한 선별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업종 및 규모별로 상이한 특성을 고려하면 혁신기업군을 선별하는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혁신기업군 기준에 대한 최소한의 정의를 개념적으로 제시하고이러한 기업들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혁신기업군 선정 기준의 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